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4)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urriculum(The Year of 2004)
- 저자
- 이용순 박윤희 변숙영 정향진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04-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10.30
- 등록일
- 2004.10.30
요 약 제1장 사업의 개요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사업의 필요성 1 2. 사업의 목적 2 제2절 사업의 내용 2 1. 직무분석 관련 선행 내용 분석 2 2. 직무분석 지침서 수정 보완, 인쇄 및 배포 2 3.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3 4. 선정된 직업별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작성 3 제3절 사업의 추진 방법 3 1. 문헌 및 자료 분석 4 2. 설문 조사 5 3. 델파이 조사 5 4. 전문가 협의회 6 제2장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모형 제1절 직무분석 모형의 개요 9 제2절 직무분석 모형의 단계별 구성 12 1. 직무분석 준비(1단계) 12 2. 직무모형 설정(2단계) 14 3. 지식, 기능, 도구 추출(3단계) 16 4. 코스 및 교과목 선정(4단계) 18 5. 교육훈련 내용 상세화(5단계) 18 6. 출제기준 설정(6단계) 19 제3장 직무분석 자료 활용 및 개선 의견 조사 결과 제1절 설문 조사의 개요 21 1. 설문 조사 대상 21 2. 설문 조사의 영역 및 방법 22 제2절 설문 조사 분석 결과 23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징 23 2.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24 3. 직무분석 자료의 구성 내용에 대한 보완 요구 28 제3절 시사점 30 제4장 직무분석 대상 직업의 선정 제1절 유망 직업의 선정 기준 34 제2절 국내외 유망 산업 및 유망 직업의 동향 41 1. 국내의 유망 산업 및 유망 직업의 동향 41 2. 국외의 유망 산업 및 유망 직업의 동향 60 제3절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기준과 최종 선정 직업 73 1. 직업 선정의 기준 74 2.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을 위한 델파이 조사 76 3. 최종 선정 직업 86 제5장 직업별 직무분석 결과 요약 제1절 병원코디네이터 89 1. 직무의 정의 89 2. 직무의 모형 89 3. 직업의 전망 90 4. 직업 활동 영역 91 5.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 91 제2절 보건교육사 92 1. 직무의 정의 92 2. 직무의 모형 93 3. 직업의 전망 93 4. 직업 활동 영역 94 5.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 94 제3절 산후조리전문관리사 96 1. 직무의 정의 96 2. 직무의 모형 96 3. 직업의 전망 98 4. 직업 활동 영역 98 5.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 99 제4절 요양보호사 100 1. 직무의 정의 100 2. 직무의 모형 100 3. 직업의 전망 102 4. 직업 활동 영역 102 5.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 103 제5절 자원봉사관리조정자 104 1. 직무의 정의 104 2. 직무의 모형 104 3. 직업의 전망 106 4. 직업 활동 영역 106 5.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 106 제6절 장애인직업능력평가사 107 1. 직무의 정의 107 2. 직무의 모형 107 3. 직업 전망 108 4. 직업 활동 영역 109 5.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 109 제7절 특수교육보조원 110 1. 직무의 정의 110 2. 직무의 모형 110 3. 직업의 전망 112 4. 직업 활동 영역 113 5. 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 113 제6장 요약 및 직무분석 자료 활용 방안 제1절 요약 115 제2절 직무분석 자료 활용 방안 118 SUMMARY 121 <부록 1> 전문가 협의회 참석자 명단 129 <부록 2> 텔파이 조사 참여자 명단 130 <부록 3> 직업별 직무분석 자료집필자 명단 131 <부록 4> 직무분석 자료 활용 및 개선 의견 조사를 위한 설문지 133 <부록 5> 제1차 텔파이 조사지 137 <부록 6> 제2차 텔파이 조사지 141 <부록 7> 직업별 직무분석 자료 목록(1998~2004) 148 <부록 8> 직업교육 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서(2004) 151 참고문헌 295
본 사업은 1998년부터 수행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계속 사업으로서, 기 개발된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며,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자격검정 출제기준 개발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직업 중에서 7개 직업을 선정한 후, 이 직업들의 직무를 분석하여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작성·보급하는 데 목적이 있다.
Our Institute carried out the project of job analysis research project from 1998 to 2003 and developed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We analyzed 75 vocations and distributed the results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s. In particular, since 2001, the Institute has executed job analysis by vocation by developing a job analysis model and a guide book which can be utilized to develop not only curriculum and training criteria but also criteria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Based on this, we have developed and distributed a draf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urriculum and examination criteria. This project, which is a continuation of "Job Analysis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executed from 1998, is aimed at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existing guidebook for job analysis, and at selecting 7 promising vocations requiring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llowed by executing job analysis for these vocations, and preparing and distributing basic data to develop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elines for preparing examination.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project are as follows. ...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4) | 2004.01.01~200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