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연구 : OECD ALL Project를 중심으로(2004)

Survey on Adults' Key Competences: OECD ALL Survey
저자
임언 최동선 최지희 오은진
분류정보
기본사업(2004-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4.12.31
등록일
2004.12.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성인능력에 대한 측정의 필요성 1
   2. IALS 결과 및 활용 2
   3. All(Adult Literacy & Life Skill) Survey 3
   4. 한국의 ALL 조사 참여 경과 및 사업의 목적 4
   5. 용어정의 5
 제2절  사업의 주요 내용 및 방법 7
   1. 연도별 사업 추진 내용·7
   2. 설문 및 검사 문항 제작·8
   3. 조사 과정에 요구되는 안내서 준비·13
   4. 표본설계·15
   5. 면접원 선발 및 교육·18
   6. 조사 과정 모니터링·19
   7. 채점·19
   8. 교육, 직업, 산업 분류·20
   9. 자료 입력·20
   10. 데이터 파일 제작·20
   11. 국가 보고서 작성 및 제출·21
제2장  조사 문항 및 매뉴얼 제작
 제1절  조사 문항 제작 23
   1. 배경 설문지 23
   2. 능력 검사지 31
 제2절  조사 매뉴얼 작성 36
   1. 면접원 교육 교재 36
   2. 면접안내서 37
   3. 채점안내서 37
   4. 자료처리 지침서 38
   5. 자료입력 안내서 38
 제3절  Survey Design and Implementation Planning Report 작성 39
제3장  본조사 실시
 제1절  면접원 선발 및 교육 43
   1. 면접원 선발 43
   2. 1차 면접원 교육 43
   3. 2차 면접원 교육 47
 제2절  조사의 질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47
   1. 조사회사 측에서 실시한 모니터링 작업 48
   2. KRIVET 연구팀이 실시한 모니터링 49
 제3절  채점 56
   1. 채점자의 선발 및 훈련 56
   2. 채점의 절차 및 실적 57
   3. 재채점 60
   4. 국가간 일치도 분석을 위한 3차 채점 62
제4장  조사 결과 처리
 제1절  자료입력 및 코딩 63
   1. 자료 입력 매뉴얼 제공 63
   2. BQ입력 프로그램 점검 64
   3. 직업 및 산업 코팅 66
   4. 문제해결력 자료입력 67
   5. 리코팅 리스트 작성 70
 제2절  가중치 부여 71
   1. 사전 작업 71
   2. 표본설계 가중치 72
   3. 무응답 조정 표집 가중치 73
   4. 벤치마크 가중치 74
   5. 잭나이프 가중치 74
   6. 가중치 부여에 대한 보고서에 포함될 내용 75
 제3절  데이터 파일 제작 75
   1. 파일제작 75
   2. 파일검증 76
   3. 데이터 편집 76
제5장  조사결과 분석
 제1절  데이터의 특성 및 응답자 특성 79
   1. 지역별 비율 79
   2. 성장 비율 80
   3. 연령별 비율 81
   4. 직업별 비율 81
   5. 학력별 비율 82
 제2절  직업활동 정보 83
   1. 성별 및 연령별 현재 고용상태 83
   2. 지난 1년 간 직업상태(성별, 연령별, 학력별) 85
   3. 고용형태 86
   4. 지난 1년 간 구직경험 유무 86
   5. 직장에서의 지위 87
   6. 직장규모 88
 제3절  교육 및 학습 참여 90
   1. 지난 12개월 동안의 교육 및 훈련에의 참여 현황 90
   2. 교육 프로그램 참여 현황 95
   3. 강좌 참여 현황 101
   4. 비형식적 학습활동에의 참여 105
   5. 평생학습에 대한 수요 107
 제4절  언어능력 및 수리력 활용 114
   1. 직장에서의 언어능력 및 수리력 활용·114
   2. 일상 생활에서의 언어능력 및 수리력 활용·120
 제5절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121
   1. 공식적인 단체 참여도 122
   2. 비형식적 사회 봉사 활동 참여 123
 제6절  삶의 질과 건강(Well-Being) 123
   1. 삶의 질 123
   2.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124
 제7절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126
   1. 일반 PC 활용도 126
   2. 인터넷 활용도 128
   3. 컴퓨터 사용 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 128
   4. 기타 정보 통신 관련 기기 활용도 130
 제8절  소득 관련 정보 130
   1. 가구 정보 정보 131
   2. 개인 및 가구 소득 수준 131
   3. 소득원 133
제6장  향후 추진 사업 내용
 제1절 본조사 결과 마무리 135
 제2절 2005년도 추진 내용 138
 제3절 후속 국제 비교 준비 139
SUMMARY 143
<부록 1> 배경설문지 및 능력검사지(별첨부록 1) 149
<부록 2> 능력검사 수정 사항 요약 151
<부록 3> 차별문항기능 분석결과 조치 사항(영문) 165
<부록 4> 면접원 교육 자료 179
<부록 5> 채점안내서 수정 사항 요약 215
<부록 6> ALL 조사 설계 및 실시계획 보고서 227
<부록 7> 채점안내서(별첨부록 2) 279
참고문헌 281
  본 연구사업의 수행을 통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직업기초능력의 국제적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타 국가 대비 우리나라 성인의 부족한 직업기초능력 요소를 확인하고, 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에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성인의 영역별(산업, 직업, 학력, 지역 등) 직업기초능력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훈련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spite the wide agreement on the importance of key competencies in the changing society components, in-depth studies that investigate and analyze adults' key competencies or core skills, which are required in their daily lives as well as in the workplace, have not been carried out to date. Therefore, this research was aimed at assessing Korean adults' literacy and life-skill levels to provide a wide array of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The Adult Literacy and Life Skills Survey in Korea is expected to show implications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showing potential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the ALL Survey in Korea was to estimate the status of Korean adults' with regards to key competencies needed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competencies, such as prose and document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other objective wa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literacy and life-skills.
...
<표 Ⅰ-1> 연도별 주요 추진 사업 내용․7
<표 Ⅰ-2> 배경설문지의 조사 영역별 내용․8
<표 Ⅰ-3> 언어능력 블록별 문항 내용․11 
<표 Ⅰ-4> 수리력 블록별 문항 내용․12
<표 Ⅰ-5> 문제해결력 블록별 문항 내용․12 
<표 Ⅰ-6> ALL 조사와 관련하여 산출될 검사지, 안내서 및 보고서․14
<표 Ⅰ-7> 본 조사의 표집틀과 표집추출 단계․15
<표 Ⅰ-8> 본 조사의 지역별 표본수 ․16
<표 Ⅰ-9> 본조사 실시 과정에서의 작업내용․22
<표 Ⅱ-1> 배경설문지 수정 내용(공통사항)․25
<표 Ⅱ-2> 배경 설문 영역별 수정 사항․25
<표 Ⅱ-3> 차별문항기능 분석에 따른 조치 사항 요약․33
<표 Ⅱ-4> Survey Design and Implementation Planning Report․39
<표 Ⅲ-1> 본조사 실시를 위한 면접원 교육 일정 및 내용․44
<표 Ⅲ-2> 조사회사 전화모니터링결과 확인된 문제 유형․48
<표 Ⅲ-3> 조사 회사 내용 검증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 유형 및 사례수․49
<표 Ⅲ-4> 동행 면접 모니터링 개요․52
<표 Ⅲ-5> 전화모니터링 프로토콜․54
<표 Ⅲ-6> 회기별 전화 모니터링 작업 현황․55
<표 Ⅲ-7> 채점자 교육훈련의 내용 및 시간․57
<표 Ⅲ-8> 실사과정에 따른 채점일정 및 채점규모․59
<표 Ⅳ-1> 표집 단계별 추출 확률․72
<표 Ⅴ-1> 지역별 응답자 비율․80
<표 Ⅴ-2> 응답자의 성별 비율․81
<표 Ⅴ-3> 응답자의 연령별 비율․81
<표 Ⅴ-4> 직업별 비율․82
<표 Ⅴ-5> 최종학력․83
<표 Ⅴ-6> 학력별 할당 및 조사 비율․83
<표 Ⅴ-7> 현재 고용상태․84
<표 Ⅴ-8> 지난 1년 간 직업상태․85
<표 Ⅴ-9> 고용 형태․86
<표 Ⅴ-10> 성별, 연령, 학력별 지난 1년 간 구직경험 유무․87
<표 Ⅴ-11> 직장에서의 지위․88
<표 Ⅴ-12> 직장규모(피고용인의 수)․89
<표 Ⅴ-13> 지난 12개월 동안의 교육 및 훈련에의 참여 여부․91
<표 Ⅴ-14> 지난 12개월 동안의 학력 및 고용상태별 교육 및 훈련․93
<표 Ⅴ-15> 지난 12개월 동안의 교육 및 훈련 참여 유형․94
<표 Ⅴ-16> 지난 12개월 동안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관의 유형․96
<표 Ⅴ-17> 지난 12개월 동안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간․97
<표 Ⅴ-18> 지난 12개월 동안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방식․99
<표 Ⅴ-19> 지난 12개월 동안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이유․100
<표 Ⅴ-20> 교육 프로그램 비용 부담의 주체․101
<표 Ⅴ-21> 연령, 학력, 고용상태별 강좌 참여 현황․102
<표 Ⅴ-22> 지난 12개월 동안의 강좌 참여 이유․103
<표 Ⅴ-23> 강좌 비용 부담의 주체․104
<표 Ⅴ-24> 연령, 최종학력, 고용상태별 비형식적 학습에의 참여 유형․106
<표 Ⅴ-25> 지난 12개월 동안 참여하지 못한 희망 교육․훈련 분야․108
<표 Ⅴ-26> 참여를 희망하였으나 교육․훈련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110
<표 Ⅴ-27> 정규교육 이외에 참여를 희망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112
<표 Ⅴ-28> 교육․훈련을 위해 부담 가능한 액수․113
<표 Ⅴ-29> 문서 종류에 따른 활용 빈도(직장에서)․115
<표 Ⅴ-30> 문서 종류별 작성 빈도(직장에서)․116
<표 Ⅴ-31> 직장에서의 수리 능력 관련 활동 빈도․117
<표 Ⅴ-32> 문해 및 수리 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118
<표 Ⅴ-33> 언어능력 관련 활동 참여 빈도(직장 및 학교 외 활동)․120
<표 Ⅴ-34> 사회적 자본 관련 활동 참여도․122
<표 Ⅴ-35> 삶에 대한 만족도․124
<표 Ⅴ-36> 신체 건강 상태․125
<표 Ⅴ-37> 지난 4주 간의 감정 상태․125
<표 Ⅴ-38> 컴퓨터 활용자 비율․127
<표 Ⅴ-39> 컴퓨터 활용 용도별 사용 빈도․128
<표 Ⅴ-40> 컴퓨터 기능 관련 자기 평가․129
<표 Ⅴ-41> 기타 정보 통신 기기 활용 빈도․130
<표 Ⅴ-42> 세대 구성 가족 수․131
<표 Ⅴ-43>  2003년 연간 개인 총소득․132
<표 Ⅴ-44> 연간 가구 총소득(2003년)․132
<표 Ⅴ-45> 개인 소득원․133
<표 Ⅵ-1> PIAAC(성인역량 국제 비교)가 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140
<표 Ⅵ-2> 성인능력 측정 영역별 도구 개발 현황․141
[그림 Ⅲ-1] 면접원의 행동 수칙 교육 내용 예시․45
[그림 Ⅲ-2] 검사문항지 채점 과정․58
[그림 Ⅳ-1] PUNCHING PROGRAM을 이용하여 배경설문지를 입력하는 화면    예시․64
[그림 Ⅳ-2] 검사문항지 채점 결과를 입력 화면 예시․65
[그림 Ⅳ-3] Problem Solving Data Capture Application의 입력 화면 예시․68
[그림 Ⅳ-4] BQ 자료 입력 기준표(예시)․71
[그림 Ⅴ-1] 연령별 교육 및 훈련 참여 비율․9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연구: OECD ALL Project를 중심으로(2004) 2004.01.01~200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