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구축(Ⅱ)

Establishment of a Teaching-Learning Metho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s(Ⅱ)
저자
김선태 정향진 변숙영 박윤희
분류정보
기본사업(2004-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4.12.31
등록일
2004.12.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사업의 필요성 1
   2. 사업의 목적 2
 제2절  사업 내용 4
 제3절  사업의 추진 방법 및 절차 5
 제4절  연구사업의 범위와 향후 추진 내용 7
제2장  사업의 배경
 제1절  관련 정책 동향 분석 9
   1. 교수ㆍ학습 센터 운영 관련 교육인적자원부 정책 추진 동향 9
   2. 교수ㆍ학습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동향 12
 제2절  선행 연구ㆍ사업 결과 고찰 14
   1. 2003년 교수ㆍ학습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축 관련 기초연구 14
   2. 2003년 교수ㆍ학습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축 관련 수탁사업 16
제3장  시험운영 교수ㆍ학습 콘텐츠 개발
 제1절  콘텐츠 제시 유형의 사례 분석 23
   1. 사례 1: 삼성 SDS 멀티캠퍼스(http://www.e-campus.co.kr) 23
   2. 사례 2: 열린 사이버대학(http://www.ocu.or.kr) 30
   3. 사례 3: YBM e4u 사이버 어학원(http://www.e4u.com) 33
   4. 사례 4: 열린 온라인 대학 교육 커뮤니티(http://klassroom.net) 36
   5. 시사점 37
 제2절  cylearn 특성을 고려한 온라인 교수ㆍ학습 콘텐츠 체제(안) 39
   1. 기본 방향 39
   2. 온라인 교수ㆍ학습 콘텐츠 체제 적용 유형 40
 제3절  cylearn 시험운영을 위한 e-learning 시범 콘텐츠 및 LMS 개발 77
   1. 개발 목적 및 필요성 77
   2. e-learning 학습의 확산 이유 77
   3. e-learning 구성 요소 및 기술 표준 78
   4. 주요 학습 대상 및 학습 형태 79
제4장  cylearn 시험운영 실태 및 요구 조사
 제1절  cylearn 콘텐츠 탑재 및 시험운영 현황 91
   1. 콘텐츠 탑재의 현황 91
   2. 시험운영 현황 97
   3. 시험운영 중인 cylearn에 대한 검토 의견 98
 제2절  cylearn 설문 조사 결과 및 해석 101
   1. 설문 조사의 개요 101
   2. 설문 조사 결과 분석 103
   3. 시사점 117
제5장  cylearn 개편 및 발전 방안
 제1절  cylearn의 개편 방안 121
   1. 메뉴 개선안 121
   2. 콘텐츠 개선안 122
   3. 운영 체제 개선을 위한 향후 사업 계획(안) 123
 제2절  cylearn의 공유체제 및 인프라 보완 방안 126
   1. 공유 체제 126
   2. 인프라의 보완 방안 131
 제3절  직업교육훈련 교수ㆍ학습 자료의 질 관리 방안 136
   1. 질 관리 전략 탐색 137
   2. 교수ㆍ학습 자료의 질 관리 전략 139
   3. 교수ㆍ학습 자료의 질 관리 모형 구안 144
   4. 질 관리의 실제 147
   5. 질 관리의 활성화 방안 169
   6. 질 관리를 위한 연계 협력 체제 구안 171
 제4절  직업교육훈련 통합정보시스템의 확대ㆍ발전 방안 173
   1. NHRD와 연계한 직업교육훈련 경쟁력 강화 방향 173
   2. 직업교육훈련 교수ㆍ학습 통합정보시스템(cylearn) 발전 방안 174
<부록 1> 설문지 181
<부록 2> cylearn 메뉴별 콘텐츠 탑재 현황표 190
<부록 3> cylearn 시험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추진계획 191
<부록 4> cylearn 메뉴별 콘텐츠 탑재 현황표(2004년 11월 30일 현재) 201
<부록 5> 네트워크 세부 장비 사양 204
참고문헌 225
  본 사업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cylearn) 시험운영 체제를 가동하여 이용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여 실질적인 현장지원 서비스 체계화 방안을 마련한다. 
  둘째,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의 교수·학습 자료의 공유체제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그리고 직업훈련기관 등에 산재한 직업교육훈련 관련 정보를 수집·선별·가공 및 샘플 자료 등을 개발하여 웹사이트에 탑재한다.
  넷째, cylearn의 로딩 시간 지연의 해소 , 동영상 서비스의 향상, 다운로드 시간 단축 등을 위해 정보·통신 인프라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표 Ⅰ-1>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3개년 추진 계획표․7
<표 Ⅲ-1> 전자교과서의 아이콘 예․42
<표 Ⅲ-2> 전문가들의 역할․44
<표 Ⅳ-1> cylearn 콘텐츠 탑재 현황(2004년 11월)․91
<표 Ⅳ-2> cylearn 콘텐츠 ‘공지사항 및 새소식’ 탑재 현황․97
<표 Ⅳ-3> 각 콘텐츠별로 총 탑재 건수와 총 조회수․98
<표 Ⅳ-4> 소속기관별 회수율․102
<표 Ⅳ-5> 설문지의 구성 영역 및 내용․102
<표 Ⅳ-6>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103
<표 Ⅳ-7> cylearn 메뉴 분류의 적절성․104
<표 Ⅳ-8> 다섯 가지 메뉴 분류에 추가 또는 삭제되어야 할 메뉴․105
<표 Ⅳ-9> cylearn 메뉴의 직업교육훈련 계열 중심 분류의 적절성․105
<표 Ⅳ-10> cylearn 내에서 자료의 탐색 후 재구성 가능성․106
<표 Ⅳ-11> 소속에 따른 자료의 재구성 가능성․106
<표 Ⅳ-12> cylearn의 자동 링크 서비스․107
<표 Ⅳ-13> 소속에 따른 자동 링크 서비스․107
<표 Ⅳ-14> cylearn의 내용의 다양성․108
<표 Ⅳ-15> cylearn 내용의 질적 완성도․109
<표 Ⅳ-16> cylearn에 추가적으로 탑재되어야 할 콘텐츠․109
<표 Ⅳ-17> cylearn 자료 로딩의 신속성․111
<표 Ⅳ-18> cylearn 내에서 다른 정보를 찾기 위한 이동의 용이성․112
<표 Ⅳ-19> cylearn 내에서 탐색창이나 키워드를 이용한 정보검색의 적절성․112
<표 Ⅳ-20> cylearn 활성화 방안 우선순위(총점 순)․113
<표 Ⅳ-21> 교수․학습 자료의 우수한 질 확보를 위한 질적 관리의 필요성․113
<표 Ⅳ-22> 다양한 자료 확보 등 양적 관리의 필요성․114
<표 Ⅳ-23> cylearn의 발전 방안: 행․재정적 지원 인식․114
<표 Ⅳ-24> cylearn의 발전 방안: 정보의 수직적 공유․115
<표 Ⅳ-25> cylearn의 발전 방안: 정보의 수평적 공유․116
<표 Ⅳ-26> cylearn의 발전 방안: 공유 시스템의 표준화․116
<표 Ⅴ-1> cylearn 메뉴 및 콘텐츠 개선안․122
<표 Ⅴ-2> 연도별 평균사용량․132
<표 Ⅴ-3> 통신장비 업그레이드(향후 45Mbps까지 호환됨)․134
<표 Ⅴ-4> 신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질 관리 항목의 유목화․140
<표 Ⅴ-5 > 기 개발 교수․학습 자료 질 관리 항목의 유목화․142
<표 Ⅴ-6> ‘직업교육훈련’의 분류체계 구성․148
<표 Ⅴ-7> 데이터 통신 실습실․155
<표 Ⅴ-8> 교육훈련 교육 개요․159
<표 Ⅴ-9>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위원 인적사항(농업)․167
[그림 Ⅰ-1]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구성도(안)․3
[그림Ⅰ-2]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정보공유체제 확장 개념도․5
[그림 Ⅱ-1] 중앙 및 지방 단위 교수․학습 센터 체계도․11
[그림 Ⅱ-2] 교수․학습 센터의 주체별 역할․13
[그림 Ⅱ-3]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웹사이트 메인 화면․17
[그림 Ⅲ-1] 피닉스 리더십 세미나 과정 맛보기․24
[그림 Ⅲ-2] 피닉스 리더십 세미나 - 들어가기(이야기 속으로)․25
[그림 Ⅲ-3] 피닉스 리더십 세미나 - 들어가기(학습 개요)․26
[그림 Ⅲ-4] 피닉스 리더십 세미나 - 들어가기(학습 목표 및 내용)․26
[그림 Ⅲ-5] 피닉스 리더십 세미나 - 알아보기(화상 특강)․27
[그림 Ⅲ-6] 피닉스 리더십 세미나 - 알아보기(강의 화면)․28
[그림 Ⅲ-7] 피닉스 리더십 세미나 - 생각하기․29
[그림 Ⅲ-8] 피닉스 리더십 세미나 - 정리하기․30
[그림 Ⅲ-9] 열린 사이버대학의 동영상 강의․31
[그림 Ⅲ-10] 열린 사이버대학의 이지 펜(Easy Pen)을 이용한 강의․32
[그림 Ⅲ-11] YBM e4u 사이버어학원의 웹 페이지 형식 강의․34
[그림 Ⅲ-12] YBM e4u 사이버 어학원의 동영상 강의와 Flash 형태의 강의 노트․35
[그림 Ⅲ-13] 열린 온라인 대학 커뮤니티의 강의 노트 변환․36
[그림 Ⅲ-14] 강의 노트 작성기를 통한 열린 온라인 대학 커뮤니티의 강의 노트․37
[그림 Ⅲ-15] 전자교과서 구상도․41
[그림 Ⅲ-16] 각 전문가 집단의 상호 협력 체제․44
[그림 Ⅲ-17]e-learning 콘텐츠 개발 절차․46
[그림 Ⅲ-18] 학습 시나리오․52
[그림 Ⅲ-19] 학습 흐름도(Flow Chart)․53
[그림 Ⅲ-20] LMS 프로세서 흐름도․64
[그림 Ⅲ-21]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메인․65
[그림 Ⅲ-22]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학습․66
[그림 Ⅲ-23]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학교별 학습 커뮤니티․67
[그림 Ⅲ-24]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종합 학습 커뮤니티․68
[그림 Ⅲ-25]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학습자 토론방․69
[그림 Ⅲ-26]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토론방 올리기․70
[그림 Ⅲ-27]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시험평가․71
[그림 Ⅲ-28]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과제물 평가․72
[그림 Ⅲ-29]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나의 학습 상태․72
[그림 Ⅲ-30]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실습 학습방․73
[그림 Ⅲ-31]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직업탐구 영역의 자료나눔터․74
[그림 Ⅲ-32]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자료나눔터 : ICT 활용도구․75
[그림 Ⅲ-33] LMS 시스템 화면별 설명 - 상담실․76
[그림 Ⅲ-34] e-learning 학습 과정 구조도․80
[그림 Ⅲ-35] 로그온 화면 - 1․81
[그림 Ⅲ-36] 강좌 소개 - 2․82
[그림 Ⅲ-37] 강의 단원보기 와 메뉴 - 3․83
[그림 Ⅲ-38] 이론 정리와 평가 - 4․84
[그림 Ⅲ-39] 핵심 정리 4-1․84
[그림 Ⅲ-40] 핵심 평가 4-2․85
[그림 Ⅲ-41] 학습 따라하기 - 5․85
[그림 Ⅲ-42] 학습한 내용 실습하기 - 6․86
[그림 Ⅲ-43] 실습할 과제물 보기 - 7․86
[그림 Ⅲ-44] 실습물 제출하기 - 8․87
[그림 Ⅲ-45] 질의 응답하기 - 9․87
[그림 Ⅲ-46] 실습물 평가결과 - 10․88
[그림 Ⅲ-47] 학습 진행관리 - 11․88
[그림 Ⅲ-48] 나의 강좌 관리 - 12․89
[그림 Ⅴ-1]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정보 공유체제 확장 개념도․124
[그림 Ⅴ-2] 2004년 8월 네트워크 사용현황․132
[그림 Ⅴ-3] 시험체계 연계시스템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추세․133
[그림 Ⅴ-4] 현재 네트워크 아키텍처․135
[그림 Ⅴ-5] 향후 네트워크 아키텍처․135
[그림 Ⅴ-6] 관리 사이클․138
[그림 Ⅴ-7] 유지와 개선의 연결․139
[그림 Ⅴ-8] 기 개발 교수․학습 자료 질 관리 사이클․141
[그림 Ⅴ-9] 교수․학습 자료 질 관리 체제․143
[그림 Ⅴ-10] 교수․학습 자료 질 관리를 위한 협조 체제․144
[그림 Ⅴ-11] 신규 자료에 대한 질 관리 모형․145
[그림 Ⅴ-12] 기 개발 교수․학습 자료 질 관리 모형․146
[그림 Ⅴ-13] 교육훈련 프로그램 예시: 통합형 고등학교 시범운영 발표자료․149
[그림 Ⅴ-14]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곡류로 만든 음식(가정․가사 계열)․151
[그림 Ⅴ-15] 교수․학습 우수 사례․152
[그림 Ⅴ-16] 수능 직업탐구 영역의 과목별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농업 이해)․153
[그림 Ⅴ-17] 동영상 자료․154
[그림 Ⅴ-18] e-book: 고등학교 전기이론 교과서․156
[그림 Ⅴ-19] e-learning 콘텐츠․157
[그림 Ⅴ-20] 교육훈련 데이터 베이스 검색․158
[그림 Ⅴ-21] 진로 및 진학 정보․160
[그림 Ⅴ-22] 취업 및 창업 정보․161
[그림 Ⅴ-23] 자격 정보․162
[그림 Ⅴ-24] 직업과 관련된 교수자 전문 능력의 신장 자료․163
[그림 Ⅴ-25] 프로그램 개발 이론 및 교수․학습 자료의 제작 이론․164
[그림 Ⅴ-26] 최신 기술 정보․164
[그림 Ⅴ-27] 가상체험 동영상 자료․165
[그림 Ⅴ-28] 교육훈련 커뮤니티․168
[그림 Ⅴ-29] 분류 체계가 적용된 원자료 등록․168
[그림 Ⅴ-30] 질 관리 연계 협력 체제․172
[그림 Ⅴ-31] NHRD와 연계한 직업교육훈련 경쟁력 강화 방안․173
[그림 Ⅴ-32] 인력수급 전망예측 인프라 시스템․173
[그림 Ⅴ-33] 인력자원 공급-수요 market place(cylearn)․174
[그림 Ⅴ-34]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성․175
[그림 Ⅴ-35]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축․176
[그림 Ⅴ-36]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 시스템 간의 연계․연동 체제․176
[그림 Ⅴ-37]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자료 유통 흐름도․177
[그림 Ⅴ-38] 질 관리 시스템 개요․17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구축(Ⅱ) 2004.01.01~200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