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인적자원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

The Trend Analysi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저자
장홍근 전재식 윤여인 홍광표 엄준용 김민경
분류정보
기본사업(2004-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4.12.31
등록일
2004.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인적자원개발 통계
요 약
제1장  사업의 개요
 제1절  사업의 필요성 1
 제2절  사업의 목적 2
 제3절  사업의 기대효과 3
제2장  사업의 내용
 제1절  사업의 기본 구조 5
 제2절  사업의 세부 내용 6
   1. 사업의 주요 흐름도 6
   2. 세부 사업 내용 9
<부록 1> 「직업과 인력개발」 정책동향 예시 25
 정보격차와 인적자원개발 25
 누리사업(NURI)과 대학의 경쟁력 40
<부록 2>  인적자원개발 동향분석 예시 53
 노동시장 53
 교육 65
 직업훈련 74
<부록 3>  인적자원개발 해외 동향 분석 예시 81
 청년층 고용의 국제동향 81
<부록 4>  인적자원개발 이슈분석 예시 91
 지역혁신과 인적자원개발 91
 지역단위 평생학습체제 구축과 평생학습도시 106
<부록 5>  인적자원개발 정책 및 연구자료 예시 117
 국가경쟁력 평가와 대응 117
<부록 6>  인적자원개발 일지 예시 133
 9월 1일 ~ 9월 30일 133
<부록 7>  인적자원개발 통계 예시 143
  인구 이동 143
  주요 경제활동상태 변화(전체) 144
  노동력 불완전활용 지표 추이 145
  가구당 월평균 교육비 지출 구성 146
  대학교 계열별 재적학생수 추이 147
  전문대학 계열별 재적학생수 추이 148
  전공분야별 대학생 구성 분포 변화 추이 149
  고등교육기관 전임교원, 시간강사 수 149
  국가과학기술인력 현황 150
  고용보험 피보험자 현황 151
  산업별 직업능력개발사업 현황 152
  규모별 직업능력개발사업 현황 154
<부록 8>  인적자원개발 정책 이슈 설문조사 결과 조사 분석 예시 157
 주5일근무제 시행의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 파급효과 157
본 사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첫째,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인적자원개발 통계 구축 시스템 마련  
  둘째, 인적자원개발 정책 관련 연구기관으로서 확보해야 할 기초자료 인프라 구축
  셋째, 인적자원개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통계의 개발 및 업데이트  
  넷째, 시의성 있는 동향 및 정책자료의 생성
<표 Ⅱ-1> 노동시장․직업훈련․교육․평가․자격 등 인적자원개발 관련 통계의 체계적인 수집 및 가공시스템 구축 현황․11
<표 Ⅱ-2> 인적자원개발 동향지 발간 현황․15
<표 Ⅱ-3>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발간 현황․19
<표 Ⅱ-4> 이슈페이퍼 및 정책페이퍼 작성 현황․20
[그림 Ⅱ-1] 동향분석팀의 발전 단계․6
[그림 Ⅱ-2] 동향분석 연구사업의 사업영역, 산출물 및 서비스 대상․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적자원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 2004.01.01~200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