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의 수업연한 제도 개선
Improving the School Term System in Junior Vocational Colleges
- 저자
- 권진수 강경종 홍선이 김호동 백형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4-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12.31
- 등록일
- 2004.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3 3. 연구 내용 4 4. 연구 방법 5 Ⅱ. 직업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 7 1. 직업사회의 변화 7 2. 직업교육의 변화 15 3. 선행연구 26 III. 수업연한제도 현황과 과제 37 1. 수업연한과 학위수준과의 연관성 37 2. 전문대학 비학위과정의 수업연한과 학점인정 44 3. 수업연한, 학위 및 자격제도의 관계 51 4. 3년제 학과 운영현황 58 5. 다양한 학생자원과 수업연한의 연계성 62 Ⅳ. 전문대학 인력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분석 67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67 2. 산업체의 요구분석 69 3. 요구분석의 종합 및 시사점 80 Ⅴ. 외국의 수업연한 운영실태 85 1. 일본 85 2. 호주 93 3. 독일 104 4. 핀란드 115 5. 시사점 종합 124 Ⅵ. 수업연한의 다양화 방안 129 1. 수업연한 다양화의 방향 127 2. 다양한 학기제의 운영 129 3. 다양한 학습자의 수용을 위한 학점제 130 4. 수업연한제도 개선 및 관련제도 정비 방향 135 Ⅶ. 결론 및 제언 141 참고문헌 145 Abstract 150 부 록 155
이 연구는 전문직업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는 전문대학 교육의 성과가 직업능력을 구체적으로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명제에서 출발한다. 산업체에서는 그들이 고용할 인력에게 학위보다는 자격증과 계속교육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요구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고정된 전문대학 수업연한제도는 이러한 산업체의 수요에 부응하는데에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는 인식 아래 관련제도 정비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수업연한제도 개선을 위하여 고등교육법 제48조 및 고등교육법시행령 제57조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직업교육과 관련된 환경변화와 선행연구 등에 대한 이론적 배경 검토, 그리고 전문대학이 배출하는 인력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제도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premise that education in the junior vocational college, which pursue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s in various vocations, should produce tangible results. Industries are increasingly looking for certificates and continuing education as opposed to academic degrees when they recruit people, and this tendency is expected to intensify. The fixed-term system currently adopted by junior vocational colleges were found to have many limitations in meeting these demands. This research suggests ways to reform the system. Notably, it recommends the amendment of Higher Education Act Article 48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Higher Education Act Article 57. To start with the researchers made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studied prior research works on the subject. To make our own contribution,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to identify what demands the industries have for the workforce that have been trained by junior vocational colleges. ...
<표 Ⅱ-1> 총인구 및 인구 성장률 9 <표 Ⅱ-2> 연령별 인구구조의 변화 추세 10 <표 Ⅱ-3> 직업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20 <표 Ⅱ-4> 25세-64세 인구 중 직업관련 계속교육 참여비율 24 <표 Ⅱ-5>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 25 <표 III-1> 고등교육법 및 동시행령 상의 수업연한과 학위의 연관성 42 <표 III-2> 전문대학 계열별 전공심화과정 현황(2002.3.1 ~ 2003.2.28) 45 <표 III-3> 연도별 전공심화과정 설치․운영 현황 46 <표 III-4> 전문대학 특별과정 설치․운영 현황 47 <표 III-5> 전공심화과정 및 특별과정의 수업연한과 학점인정 48 <표 III-6> 전문대학의 비학위과정 49 <표 III-7> 대학(전문대학 포함)과 국가기술자격제도와의 연계성 52 <표 Ⅲ-8> 자격등급의 유무 53 <표 Ⅲ-9> 자격등급의 종류 54 <표 Ⅲ-10> 하위업무 분야가 존재하는 국가자격 55 <표 Ⅲ-11> 3년제 학과 학생 수 현황(2003학년도 현재) 58 <표 Ⅲ-12> 지역별 3년제 학과 현황(2002학년도 현재) 59 <표 Ⅲ-13> 계열별 3년제 학과 현황(2002학년도 현재) 60 <표 Ⅲ-14> 권역별․수업연한별 입시지원 현황(2002학년도) 61 <표 Ⅲ-15> 컴퓨터과 및 유아교육과 수업연한별 입시지원 현황 62 <표 Ⅲ-16> 전문대학 우선전형 선발기준 63 <표 Ⅳ-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68 <표 Ⅳ-2> 인력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 69 <표 Ⅳ-3> 학위와 자격증간의 중요도 71 <표 Ⅳ-4> 학위는 있으나 자격증이 없는 사람을 선택한 이유 71 <표 Ⅳ-5> 자격증은 있으나 학위가 없는 사람을 선택한 이유 72 <표 Ⅳ-6>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할 때 전문대학의 수업연한에 대한 의견 74 <표 Ⅳ-7> 전문대학의 전공 교육과정 운영을 일반대학에서 4년제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의견 76 <표 Ⅳ-8> 전문대학 수업연한 자율 운영에 대한 결과 77 <표 Ⅳ-9> 종업원 수에 따른 학위와 자격증 가운데 하나만 갖춘 사람에 대한 채용 여부의 차이 79 <표 Ⅳ-10> 소재지에 따른 학위와 자격증 가운데 하나만 갖춘 사람에 대한 채용 여부의 차이 79 <표 V-1> 단기대학 전공과 입학자수와 단기대학수 88 <표 V-2> 단기대학 졸업생의 4년제 대학 편입 추이 88 <표 V-3> 일본 전수학교의 학교 및 학생 수 90 <표 V-4> 일본 전수학교의 학과별 수업연한 현황 91 <표 Ⅴ-5> TAFE 수업기간 인정 96 <표 Ⅴ-6> New South Wales TAFE의 교육과정 98 <표 Ⅴ-7> 교육부문별 AQF자격 100 <표 Ⅴ-8> 독일의 고등교육 105 <표 Ⅴ-9> 폴리테크닉과 전체 학생 수 및 신입생 수 117 <표 Ⅴ-10> 폴리테크닉의 학생 현황(2002년 현재) 118 <표 Ⅵ-1> 다양한 수업연한체제와 현재 학사운영체제 비교 128 <표 Ⅵ-2> 대상 유형별 교육운영 모델 133 <표 Ⅵ-3> 고등교육법상 수업연한 조항 개정안 135 <표 Ⅵ-4> 고등교육법시행령상 수업연한 조항 개정안 137 [그림 V-1] 일본의 전수학교 운영 체제 90 [그림 Ⅴ-2] Australian Qualifications Framework Advisory Board(1996) 102 [그림 V-3]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 116 [그림 Ⅵ-1] 다양한 학기제의 운영 129 [그림 Ⅵ-2] 학점을 기준으로 한 교육체제 예시 13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전문대학의 수업연한 제도 개선 | 2004.01.01~2004.07.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