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개발과 리더십 :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Leadership with a Special Focus on Local Governments
- 저자
- 주용국 김수원 김선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4-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08.30
- 등록일
- 2004.08.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4 1. 연구의 내용 4 2. 연구의 절차 5 제3절 연구의 방법 6 제4절 연구의 제한점 8 제5절 용어의 정의 9 제2장 인적자원개발과 리더십의 선행연구 분석 제1절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의 실태, 사례 및 과제 11 1.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의 실태 11 2.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의 사례 17 3.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의 과제와 방향 21 제2절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실태, 사례 및 강화 방향 24 1.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실태 24 2.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사례 35 3.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강화 방향 39 제3장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사례연구 개요 및 결과 제1절 조사 개요 41 1. 조사모형 41 2. 조사방법 42 제2절 조사 결과 43 1. 사례조사 기관 및 참가자 인적사항 43 2. 광역자치단체의 사례조사 결과 45 3. 기초자치단체의 사례조사 결과 51 4.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비교 58 제3절 시사점 63 1. 중앙정부차원의 지역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강화 방안 63 2. 지방자치단체차원의 지역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강화방안 65 제4장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설문조사 개요 및 결과 제1절 조사의 개요 67 1. 조사의 방법 67 2. 조사의 내용 72 제2절 조사의 결과 76 1. 설문참여 지방자치단체 및 응답자의 일반사항 76 2.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현황 및 실태 78 3.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리더십 현황 및 실태 91 제3절 시사점 117 1.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의 실태와 강화 방안 117 2.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실태와 강화 방안 118 제5장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강화 방안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강화 방안 개요 121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강화 방안 123 1.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강화 방안 123 2.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리더십 강화 방안 131 제6장 결론 제1절 요약 137 제2절 제언 140 SUMMARY 143 <부록 1>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설문조사지 157 <부록 2>지방자치단체별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사례조사결과 173 참고문헌 227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역의 성장과 발전은 지역 스스로가 지식을 창의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유능한 인적자원을 얼마나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관리, 활용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지역의 지속적 발전을 담보하기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예를 들면, 장성군은 ‘교육군'으로, 부산광역시는 ‘인간존중, 인재중심의 Human-Polis'로, 광주광역시는 ’삶과 앎이 하나로, 인간동력 사회 구현’의 비전하에 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이 보고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현상에 대한 진단과 향후 활성화 방안, 지방자치단체장 및 고위정책결정자의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표준모델과 리더십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보고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의 정책 전략과 과제 수립, 지방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리더를 육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local human resources has been seen by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s the key to reforming the regional human resources structure and to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needed to implement regional projects. The number of policy measure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that have as their goal the education and usage of local human resources, which are rightfully seen as the driving force behind local development, has increased exponentially. This study focused on two aspects of this drive to strengthen and invigorate loc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irst, given that this drive to develop local human resources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ffort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is drive. Second,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identify policy measures to strengthen the skills that the leaders of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need to possess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in their respective regions.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in this paper included a case study and a survey. The case study consisted of an analysis of interviews with 24 managers and specialists from the human resources departments of 12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s well as the analysis of other related materials. With regards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175 completed surveys, which had originally been sent out to 248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were analyzed. ...
<표 Ⅱ-1> 지역인적자원개발 추진 장․단기 방향․23 <표 Ⅱ-2> 리더십의 주요 시대별 이론과 연구․25 <표 Ⅲ-1> 사례조사 기관 및 참가자 인적사항․44 <표 Ⅲ-2> 광역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의 현황과 과제․48 <표 Ⅲ-3> 기초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의 현황과 과제․54 <표 Ⅲ-4>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의 비교․61 <표 Ⅳ-1> 설문조사 세부문항 내용․72 <표 Ⅳ-2> 설문응답 기관 및 응답자의 일반사항․77 <표 Ⅳ-3> 응답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78 <표 Ⅳ-4> 인적자원개발사업의 추진 기간․79 <표 Ⅳ-5> 인적자원개발의 추진배경․80 <표 Ⅳ-6> 지역인적자원개발의 추진 목적․81 <표 Ⅳ-7> 인적자원개발의 초점․82 <표 Ⅳ-8> 인적자원개발 추진 조직․83 <표 Ⅳ-9> 인적자원개발 투자 경비․85 <표 Ⅳ-10> 현재 추진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영역․87 <표 Ⅳ-11> 인적자원개발의 문제점․89 <표 Ⅳ-12> 지역인적자원개발의 성과․90 <표Ⅳ-13>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현재 역할 수행도 및 미래 역할 중요도․91 <표Ⅳ-14>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리더십 현재 역할 수행도 및 미래 역할 중요도 비교․93 <표Ⅳ-15>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세부역할별 현재 수행도 및 미래 역할 중요도․94 <표 Ⅳ-16>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세부역할별 현재 수행도 및 미래 역할 중요도․96 <표 Ⅳ-17>인적자원개발 리더의 현재 보유역량 및 미래요구역량․99 <표Ⅳ-18>인적자원개발 리더의 현재 보유역량 및 미래요구역량 우선순위․101 <표 Ⅳ-19>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인적자원개발 리더의 현재 보유역량 및 미래요구역량․102 <표 Ⅳ-20> 인적자원개발의 연계 및 상호협력․104 <표 Ⅳ-21> 인적자원개발 기관간 연계 및 협력체제․107 <표Ⅳ-22>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인적자원개발 기관간 연계 및 협력체제․109 <표 Ⅳ-23> 인적자원개발의 미연계 사유․111 <표 Ⅳ-24>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문제점․112 <표 Ⅳ-25> 인적자원개발 성과와 관련 요인간 상관관계․113 <표 Ⅳ-26> 성과 회귀분석 결과 I․114 <표 Ⅳ-27> 성과와 리더십 역할간 상관관계․114 <표 Ⅳ-28> 성과의 회귀분석 결과 Ⅱ․115 <표 Ⅳ-29> 인적자원개발 리더십 강화 방안․116 <표 Ⅴ-1> 인적자원개발 및 리더십 강화 방안․122 <표 Ⅴ-2> 인적자원개발 발전단계 모델․124 [그림 Ⅰ-1] 연구의 절차․5 [그림 Ⅲ-1] 조사 모형․42 [그림 Ⅴ-1] 인적자원개발 리더십의 모델․13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적자원개발과 리더쉽-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2004.01.01~2004.08.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