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s for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저자
- 김기홍 신익현 옥준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4-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09.30
- 등록일
- 2004.09.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제2절 연구 질문 4 제3절 연구 내용 5 제4절 연구 추진 방법 6 1. 문헌연구 7 2. 교과서 분석 7 3. 면담 및 실태 조사 9 4. 델파이 조사 10 5. 전문가협의회와 자문회의 개최 13 제5절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14 제2장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과 개념에 대한 정의 제1절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 17 제2절 기초직업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 접근과 정의 20 제3장 초ㆍ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 실태 분석 제1절 초ㆍ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31 1.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초직업교육 31 2. 초등학교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 32 3. 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 38 제2절 기초직업교육관련 지원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44 1. 교육인적자원부의 기초직업교육관련 지원 정책 44 2. 시ㆍ도교육청의 기초직업교육관련 지원 정책 45 3. 기초직업교육관련 문제해결 위한 제도 개선 49 제3절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직업교육의 내용 분석 및 진단 55 1. 교과서 내용 분석을 위한 접근 방법 55 2. 초등학교 교과별 분석 및 진단 60 3. 중학교와 고등학교 1학년 교과별 분석 및 진단 73 제4절 논의와 시사점 90 1. 초ㆍ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 실태 관련 논의와 시사점 90 2. 기초직업교육관련 지원 정책관련 논의와 시사점 93 3.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직업교육관련 논의와 시사점 96 제4장 기초직업교육관련 인식 및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조사 분석 제1절 제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103 제2절 논의와 시사점 117 제5장 초ㆍ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 방안 제1절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 방향 121 1.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를 위한 방안 수립 전략 122 2.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의 기본 방향 124 제2절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를 위한 방안 125 1. 기초직업교육 체제의 내실화 125 2. 기초직업교육의 전문성과 질 제고 127 3.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 확보 136 4. 차기 교육과정 개정시 반영해야 할 내용 141 제3절 정책 방안의 추진 주체별 내용 146 제4절 제언 147 Summary 151 부록 1 분석 교과서 목록 157 부록 2 교과서 분석 결과 159 부록 3 델파이 조사 323 부록 4 연구 협력진 명단 336 참고문헌 339
본 연구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이 어떠한 의미에서 중요성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기초직업교육이 의미를 어떻게 규정하고 개념 정리를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 둘째,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학교급별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정부 및 시·도교육청의 정책적 지원 실태를 살펴보고, 기초직업교육을 내실화하고 강화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본다. 셋째, 제7차 국민공통교육과정에서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교과서 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해야할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보완점을 도출한다. 넷째,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을 내실화하고 강화하기 위한 방향과 방안을 마련한다.
Depending upon IMF economic crisis, the importance of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is more broadly recognised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ut the National Core Curriculum(designed for one through ten) have a few relating to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However, most of schools are confused in developing and selecting program and textbook for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because of no guidelines on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In recognition of this need, the research look at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s for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required for the workforce to be successful, defined with many document analysis including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well as Korean and foreign materials was connected with identify objective an content elements described by researchers and experts. We tried to analyze seven textbooks with this determined Definition. It was also concluded that seven Textbooks were included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But the results of this Textbook analysis were problematical following: ① The absence of a main curriculum for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② The lack of contents and objectives for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③ The lack of the understanding a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meanings for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system reforms ④ The lack of quality control system for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It was concludes that there's must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revised. Delphi method was finally applied to make a consensus on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among experts comprising of representatives from scholars, researcher, school teacher, policy makers etc. This was carried out twice to collect ideas what is formed with contents of next curriculum that is reflected problems and solutions, system of supporting policy and social change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strengthened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ith the results of the consensus, there were contents should be supplement some items, that is, in character of human being to pursuit, curriculum policy to construct, education objectives of school level organization and time of subjects to chang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transform of cognition for school teacher and policy marker to improve possibility of change concerning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in reforming of later curriculum. but also to need of practical and positive utilization of educational media, television, internet and materials, to strengthen and activate the preliminary vocation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표 Ⅰ-1 교과서 분석 단계․8 표 Ⅰ-2 델파이 조사의 표본 집단 대상․11 표 Ⅰ-3 델파이 조사 내용․12 표 Ⅰ-4 제2차 조사지 응답 척도․13 표 Ⅱ-1 기초직업교육과 전문직업교육의 비교 논점․24 표 Ⅱ-2 기초직업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의 접근․27 표 Ⅲ-1 초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문제․37 표 Ⅲ-2 중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문제․42 표 Ⅲ-3 고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문제․43 표 Ⅲ-4 A교육청의 진로지도관련 지원 업무 내용․45 표 Ⅲ-5 B교육청의 진로지도관련 지원 업무 내용․46 표 Ⅲ-6 시․도교육청 산하 교육과학연구원의 진로지도관련 업무 내용․47 표 Ⅲ-7 기초직업교육관련 제도 개선 사항․49 표 Ⅲ-8 기초직업교육 강화 정책과 지원제도 및 사회인식의 변화․52 표 Ⅲ-9 기초직업교육관련 분석 교과서․55 표 Ⅲ-10 기초직업교육관련 분석 내용의 준거․58 표 Ⅲ-11 기초직업교육관련 각 교과서 분석 내용의 기술 방법․59 표 Ⅲ-12 초등 국어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60 표 Ⅲ-13 초등 바른 생활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63 표 Ⅲ-14 초등 사회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64 표 Ⅲ-15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69 표 Ⅲ-16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70 표 Ⅲ-17 초등 실과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71 표 Ⅲ-18 중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74 표 Ⅲ-19 생활국어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77 표 Ⅲ-20 중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79 표 Ⅲ-21 중등 도덕 교과서에의 기초 직업 교육 반영 정도․82 표 Ⅲ-22 중등 기술․가정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85 표 Ⅲ-23 중등 진로와 직업 교과서에의 기초직업교육 반영 정도․88 표 Ⅳ-1 추구하는 인간상과 교육과정 구성 방침에서의 변화․104 표 Ⅳ-2 학교급별 교육 목표에서의 변화․105 표 Ⅳ-3 교과목의 편제와 시간 변화․107 표 Ⅳ-4 추구하는 인간상과 교육과정 구성 방침에서의 변화 가능성이 낮은 항목의 순위․109 표 Ⅳ-5 학교급별 교육목표에서의 변화․111 표 Ⅳ-6 교과목의 편제와 시간변화․113 표 Ⅳ-7 변화 촉진 집단 및 이유․115 표 Ⅳ-8 변화 촉진 교육매체 및 이유․116 [그림 Ⅰ-1] 연구의 접근 틀․6 [그림 Ⅱ-1] 일의 의미 차원․22 [그림 Ⅱ-2] 기초직업교육 개념의 다차원적인 연계성․28 [그림 Ⅴ-1]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 방안 수립 전략․12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 연구:OECD ALL Project를 중심으로(2004)-초·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과제 | 2004.01.01~2004.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