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 조사
Surveys on Adult Basic Workplace Skills Programs
- 저자
- 이정표 박윤희 홍선이 나승일 이병욱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4-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10.30
- 등록일
- 2004.10.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절차 4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및 중요성 4 2.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설정 5 3. 주요국의 성인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지원 실태 분석 6 4. 성인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요구 조사 6 5. 성인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대책 7 제3절 연구 방법 9 1.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9 2. 분석 대상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영역 설정 9 3.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사례 분석 10 4. 전문가 협의회 개최 16 5. 자료 수집 및 면담을 위한 출장 16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용어 정의 17 1. 연구의 범위 17 2. 용어의 정의 18 제2장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및 중요성 제1절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19 제2절 직업기초능력의 대두 배경 및 중요성 23 1. 지식기반경제에서 요구되는 직업능력 23 2. 직업기초능력의 중요성 26 3. OECD의 성인 직업기초능력 조사(ALL: Adult Literacy and Lifeskills survey) 배경 29 제3장 직업기초능력 영역 설정 제1절 국내외 직업기초능력 영역 설정 연구동향 33 1. 미국 33 2. 영국 36 3. 호주 38 4. 한국 40 5. 종합 41 제2절 성인대상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조사를 위한 영역설정 44 1.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하위능력 설정 44 2. 성인 대상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조사 영역 50 제4장 주요국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 제1절 영국 57 1. 관련법 및 제도 58 2.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실태 60 3. 프로그램 인증 체제 66 4. 프로그램 개발과 인증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 지원 체계 68 제2절 호주 72 1. 관련 법ㆍ제도 72 2. 프로그램 개발 운영 실태 81 제3절 일본 97 1. 사업의 추진 배경 및 의의 98 2.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절차 99 3. 인증 및 사업추진체제 105 제4절 주요 국가의 특징 및 시사점 106 제5장 성인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사례 분석 제1절 프로그램 운영 실태 설문조사 분석 111 1.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여부 111 2.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운영방식에 대한 인식 113 3.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현황 117 4. 요구 사항 122 제2절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123 1. 국민은행(KB) 연수원 123 2. 국방대학교 군 리더십과정 131 3. 중소기업연수원의 ‘의식과 행동혁신(창의력개발과 마인드 파워)’프로그램 137 4. 우송공업대학의 ‘직업기초능력개발’ 교과 143 5. LG 인화원의 ‘커뮤니케이션 &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148 6. 현대인재개발원의 ‘직장인을 위한 Win-Win 협상’ 프로그램 153 7. 서울특별시중부여성발전센터의 ‘화술 스피치’ 프로그램 163 8. 한국생산성본부의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170 9. 롯데쇼핑㈜의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178 10. (주)크레듀의 ‘효과적 갈등관리 기법’과 ‘글로벌 스탠다드와 직업윤리’ 프로그램 183 11. 포스코(POSCO) 인재개발원의 ‘비지니스 매너’ 프로그램 194 12. 한국능률협회의 ‘임파워링 리더십 과정’과 ‘대인관계 갈등해소과정’ 199 13. 경일대학교의 ‘직업과 진로’ 210 14. 삼성 SDS의 ‘성과창출! 최고의 팀 빌딩’과 ‘비즈니스 협상 스킬 업’프로그램 216 제3절 프로그램 실태 조사 결과 요약 및 논의 226 1.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 요약 226 2. 직업기초능력의 프로그램 사례의 특징 및 논의 231 3. 교육훈련기관의 ‘리더십 과정’ 실태 비교 248 제6장 성인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대책 제1절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활성화 대책 253 제2절 제언 262 1.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요소 도출을 위한 새로운 작업 필요 262 2.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대책 수립 필요 263 3.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추진 필요 263 SUMMARY 265 <부록 1> 설문조사지 273 <부록 2> 사례조사 면담지 280 <부록 3>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 284 참고문헌 459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를 종합적으로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하위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직업기초능력이 중요하게 대두된 배경을 살펴본다. 둘째,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 분석을 위해 조사해야 할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주요국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개발 ·지원 실태를 파악하고, 이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넷째, 우리 나라 기업 및 대학, 전문교육훈련기관 등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한다. 다섯째, 직업기초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활성화 대책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basic workplace skills programs of adults in Korea and provide development directions to improve the basic workplace skills of adul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rstly,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basic workplace skills were reviewed. Secondly, the domains and elements of basic workplace skills were specified to analyse the operation status of programs. Thirdly,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for fostering basic workplace skills among adults in England, Australia and Japan were reviewed. Fourthly, an analysis was made of the adult basic workplace skills programs operating in the enterprises, higher education institutes,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at large in Korea. Lastly, the policy directions and measures to improve adult basic workplace skills were proposed. ...
<표 Ⅰ-1> 조사대상 직업기초능력 영역․10 <표 Ⅰ-2>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조사 대상 선정 및 조사 방법․11 <표Ⅰ-3>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내용․13 <표 Ⅰ-4>사례분석 대상 교육훈련기관 및 프로그램 영역․15 <표 Ⅲ-1> 미국의 직업기초능력 영역 설정․34 <표 Ⅲ-2> 영국의 직업기초능력 영역 설정․37 <표 Ⅲ-3> 호주의 직업기초능력 영역 설정․39 <표 Ⅲ-4> 국내 직업기초능력 영역 분류․40 <표 Ⅲ-5> 국내외 직업기초능력 영역 분류 종합․43 <표 Ⅲ-6> 주요 국가의 직업기초능력 영역별 하위능력․48 <표 Ⅲ-7>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하위능력의 정의․50 <표 Ⅲ-8> 국내 기업체 및 기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직업기초능력 영역․53 <표 Ⅳ-1> 직업기초능력 학습과정에 대한 직업기초능력 영역간 관계․62 <표 Ⅳ-2> 영국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지침서․65 <표 Ⅳ-3> 영국의 직업기초능력 적용 안내서 구성내용․65 <표 Ⅳ-4> 영국 자격제도의 운영 현황․67 <표 Ⅳ-5> 호주의 직업기초능력 개발 논의에 대한 역사적 발전사․73 <표 Ⅳ-6> Mayer의 key comptencies와 ACCI/BCA의 employability skills․78 <표 Ⅳ-7> 호주의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하위 내용․82 <표 Ⅳ-8> 호주 직업기초능력의 성취 수준․84 <표 Ⅳ-9> Employability Skills Framework․84 <표 Ⅳ-10> 교육부문별 호주자격체계(AQF) 자격․95 <표 Ⅳ-11> 일본의 청년취직기초능력 구성 내용․102 <표 Ⅳ-12> 일본의 취직기초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의 습득 목표․103 <표 Ⅴ-1>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여부․112 <표 Ⅴ-2>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112 <표 Ⅴ-3> 향후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시 계획 여부․112 <표 Ⅴ-4>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 정도․113 <표 Ⅴ-5>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필요성 정도․113 <표 Ⅴ-6> 직업기초능력의 바람직한 습득 방식․114 <표 Ⅴ-7>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개발․운영 방법․115 <표 Ⅴ-8>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을 이수한 성과의 바람직한 평가․활용 방법․116 <표 Ⅴ-9>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시 기업 현황․117 <표 Ⅴ-10>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참여 방식․117 <표 Ⅴ-11>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118 <표 Ⅴ-12>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실시 시기․118 <표 Ⅴ-13>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강사 ․119 <표 Ⅴ-14>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이 근무자의 직무 향상과 생산성 제고에 도움을 주는 정도․119 <표 Ⅴ-15> 직업기초능력 관련 프로그램 자체 개발 여부․120 <표 Ⅴ-16>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경우) 프로그램 개발 담당자․120 <표 Ⅴ-17>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경우) 프로그램 개발 방식(다중응답)․121 <표 Ⅴ-18>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발․운영시 애로사항․121 <표 Ⅴ-19>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 사항․122 <표 Ⅴ-20> KB 연수원의 경영스킬과정 체계도․125 <표 Ⅴ-21> KB 연수원의 사이버 경영스킬 과목․125 <표 Ⅴ-22> KB 연수원의 사이버 경영스킬과목의 구성 예시안․126 <표 Ⅴ-23> KB 연수원의 계층별 리더십 역량․129 <표 Ⅴ-24> KB연수원의 리더십 프로그램 연수시간표․130 <표 Ⅴ-25> KNDU 리더십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133 <표 Ⅴ-26> 중소기업연수원의 직업기초능력 관련 연수과정(2004년도)․138 <표 Ⅴ-27> 의식과 행동 혁신(창의력 개발과 마인드 파워) 프로그램 연수 일정․139 <표 Ⅴ-28> ‘직업기초능력개발’ 교과 내용 구성․143 <표 Ⅴ-29> 우송공업대학의 직업기초능력개발 교과 구성 및 운영 방식․144 <표 Ⅴ-30> LG 인화원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개요․149 <표 Ⅴ-31> ‘커뮤니케이션 &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구성 내용․150 <표 Ⅴ-32> 현대인재개발원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요․154 <표 Ⅴ-33> 현대인재개발원의 “직장인을 위한 Win-Win 협상” 프로그램 구성 내용․156 <표 Ⅴ-34> ‘직장인을 위한 Win-Win 협상’ 프로그램의 성취도 평가 방법․157 <표 Ⅴ-35> 서울시 중부여성발전센터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개요․164 <표 Ⅴ-36> ‘화술 스피치’ 프로그램 구성 내용․166 <표 Ⅴ-37> 한국생산성본부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개요․170 <표 Ⅴ-38> 한국생산성본부의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구성 내용․173 <표 Ⅴ-39> 롯데쇼핑(주)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요․178 <표 Ⅴ-40> 롯데쇼핑의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주요 구성 내용․179 <표 Ⅴ-41> (주)크레듀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요․184 <표 Ⅴ-42> ‘효과적 갈등관리 기법’ 프로그램 주요 구성 내용․186 <표 Ⅴ-43> ‘효과적 갈등관리 기법’ 프로그램의 과제물 평가 내용․187 <표 Ⅴ-44> ‘글로벌 스탠다드와 직업윤리’ 프로그램 구성 내용․189 <표 Ⅴ-45> 포스코 인재개발원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요․195 <표 Ⅴ-46> 포스코 인재개발원의 비니지스 매너 프로그램 구성 내용․196 <표 Ⅴ-47> 한국능률협회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 개요․200 <표 Ⅴ-48> ‘임파워링 리더십과정’ 개요․201 <표 Ⅴ-49> ‘임파워링 리더십과정’ 모듈 구성 내용․202 <표 Ⅴ-50> 임파워먼트 리더십 과정의 모듈 구성․203 <표 Ⅴ-51> ‘대인관계 갈등해소 과정’ 구성 내용․205 <표 Ⅴ-52> ‘대인관계 갈등해소 과정’ 모듈 구성 내용․206 <표 Ⅴ-53> 경일대학교 ○○학부의 교과과정․212 <표 Ⅴ-54> 삼성SDS 멀티캠퍼스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요․213 <표 Ⅴ-55> ‘성과창출! 최고의 팀 빌딩’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219 <표 Ⅴ-56> ‘비즈니스 협상 스킬 업’ 프로그램 주요 구성 내용․220 <표 Ⅴ-57> 사례분석기관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발 운영 실태 개요․232 <표 Ⅴ-58> 교육훈련기관간 ‘리더십과정’ 비교․250 [그림 Ⅰ-1] 연구의 추진 절차․8 [그림 Ⅱ-1] 생애능력의 구성요소․23 [그림 Ⅲ-1] 분석 대상 직업기초능력 영역 설정․55 [그림 Ⅳ-1] 국가직무능력표준과 단위간의 관계․60 [그림 Ⅳ-2] 직업기초능력 단위의 구성 방식․61 [그림 Ⅳ-3] 직업기초능력 교육프로그램의 순환과정 모형․62 [그림 Ⅳ-4] 영국 직업기초능력지원프로그램(Key Skills Support Programme) 홈페이지․64 [그림 Ⅳ-5] 국가자격제도와 관련한 정보 및 민간기구의 관계․69 [그림 Ⅳ-6] 훈련패키지(training package) 개발 절차․90 [그림 Ⅳ-7] 일본의 청년취직기초능력지원사업 추진 흐름도․100 [그림 Ⅳ-8] 일본의 청년취직기초능력지원사업 추진 체제․106 [그림 Ⅴ-1] 현대인재개발원의 ISO 표준 과정개발 절차․159 [그림 Ⅴ-2] 프로그램 운영 체계․190 [그림Ⅴ-3]경일대학교 직업기초능력 교과목에서 제시된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주요 내용․21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연구: OECD ALL Project를 중심으로(2004)-성인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조사- | 2004.01.01~200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