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총체적 학습사회와 e-Learning

Comprehensive Learning Society and E-Learning
저자
강경종 장명희 이병욱 권성연
분류정보
기본연구(2004-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4.10.30
등록일
2004.10.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3
 제3절  연구의 내용 3
 제4절  연구의 방법 4
   1.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4
   2. 사례조사 및 집중 면담 4
   3. 전문가 협의회 5
   4. 세미나 5
   5. 자문위원 활용 5
제2장  총체적 학습사회와 e-Learning의 개념 및 특성
 제1절  학습사회론의 일반적 개념 및 성격 분석 7
   1. 학습사회 7
   2. 학습도시ㆍ지역 10
   3. 학습공동체ㆍ 조직 12
   4. 학습과 관련된 주요 용어 간의 관계 14
 제2절  총체적 학습사회의 개념 및 특성 17
 제3절  e-Learning의 개념 및 특성 21
   1. e-Learning과 관련 용어와의 관계 22
   2. e-Learning의 개념 24
   3. e-Learning의 특성 27
 제4절  총체적 학습사회와 e-Learning의 연계성 29
제3장  국내 e-Learning 실태
 제1절  e-Learning 현황 3
   1. e-Learning 산업의 영역 35
   2. e-Learning 산업의 시장 현황 37
   3. e-Learning 관련 업계 현황 38
   4. e-Learning 관련 정부 정책 현황 40
   5. e-Learning 관련 법령 현황 47
 제2절  학교교육에서의 e-Learning 실태 51
   1. 유아교육 51
   2. 초ㆍ중등교육 53
   3. 고등교육 60
   4. 시사점 62
 제3절  기업교육에서의 e-Learning 실태 63
   1. e-Learning 발전 형태와 현황 64
   2. 시사점 68
 제4절  평생교육에서의 e-Learning 실태 69
   1. 원격대학에서의 e-Learning 활용 현황 69
   2. 시사점 76
제4장  총체적 학습사회와 e-Learning을 위한 사례 분석
 제1절  사례 분석을 위한 틀 79
   1. 정책ㆍ제도ㆍ전략 82
   2. 문화ㆍ분위기ㆍ인식 83
   3. 리더십 84
   4. 네트워크 85
   5. 파트너십 86
   6. IT시스템 88
 제2절  조사 대상 선정 88
 제3절  사례조사ㆍ분석 89
   1. 한솔교육 및 한솔GEN 89
   2. LG-Caltex정유(주) 92
   3. LG CNS 96
   4. 대전광역시 동부교육청 동부사이버학습실 105
   5. 경기도 광명시 평생학습원 115
 제4절  총체적 학습사회와 e-Learning을 위한 시사점 129
   1. 정책ㆍ제도ㆍ전략 129
   2. 문화ㆍ분위기ㆍ인식 131
   3. 리더십 133
   4. 네트워크 134
   5. IT시스템 136
   6. 파트너십 137
제5장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 모형과 지원 방안
 제1절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방법으로서 e-Learning의 가능성 탐색 139
 제2절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의 모형 구안 143
 제3절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 지원 방안 모색 149
   1. 중앙정부ㆍ지방자치단체간의 정책 연계 강화 150
   2. e-Learning 통합법 마련 150
   3. 의사결정권자의 학습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지원 151
   4.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기회 제공의 체계화 152
   5.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확보와 활성화 153
   6. 사회적 KMS 구축 및 통합운영 153
   7. e-Learning 실시 기관들간의 정책적 컨소시엄 구성 153
   8. 지원부처, 기관간 균형된 네트워크 구축 154
   9. 범정부 차원의 IT시스템 확보 154
   10. 조직 내 다른 시스템들과의 연계성 155
   11. 다양한 학습 경험의 인정ㆍ지원제도 도입 155
   12. 지식공유 문화 조성 및 보상 155
   13. 학습문화 확산을 위한 학습축제 활성화 156
SUMMARY 159
참고문헌 165
  본 연구는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의 역할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총체적 학습사회와 e-Learning에 대한 개념 및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의 역할과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셋째,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의 모형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한다.
 The importance of life-long learning has been emphasized and the main stream of learning society has been changed due to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An exemplary existing definition of learning society was the society in which people could do continuous-learning voluntarily and independently through their whole lives in pursuit of self-realization, the improvement of living, or the acquisition of vocat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Lee and others, 2000).
 Kim(2004), however, proposed a concept of comprehensive learning society(CLS) and presented a new direction of learning society. The CLS suggested by Kim(2004) means the society in which lifelong learning systems in individual level, learning systematization in organization level, and learning network in individual-organization level have been constructed. 
 Even though the terminology of CLS has not been verified and established academically, the concept of CLS needs to be newly established and embodied when we propose a direction of a new learning society accompanied with circumstantial changes.
 Meanwhile e-Learning, which is emphasized and applied recently in industri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improvement of IT, is prospected to be a useful tool to supply learning and network necessary for C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CLS and probed the possibility how e-Learning can be applied to embody in CLS, models of CLS, and support plans for CLS.
...
<표 Ⅱ-1> 학습사회론의 유형․10
<표 Ⅱ-2> 평생학습도시의 유형․12
<표 Ⅱ-3> 학습과 관련된 주요 용어들․15
<표 Ⅲ-1> PC 보급 현황․34
<표 Ⅲ-2> 인터넷 이용자 현황․34
<표 Ⅲ-3> 초고속인터넷 이용자 현황․34
<표 Ⅲ-4> 60개국의 e-Learning 준비도 순위․35
<표 Ⅲ-5> 디지털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시장 매출액 규모․37
<표 Ⅲ-6>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매출액 규모․37
<표 Ⅲ-7> e-Learning 솔루션 시장의 매출액․38
<표 Ⅲ-8> 분야별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사업체 수․39
<표 Ⅲ-9> 디지털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시장 종사자수․40
<표 Ⅲ-10> 유아 온라인 주요 교육업체 현황(2002)․52
<표 Ⅲ-11> EDUNET을 통해 공유되는 e-Learning 학습자료 현황․57
<표 Ⅲ-12> EDUNET자료 나눔터의 분류 및 내용․58
<표 Ⅲ-13> 국내 초․중등 온라인교육시장 규모 전망․59
<표 Ⅲ-14> 연도별 인터넷통신훈련 인원 현황․66
<표 Ⅲ-15> 연도별 인터넷통신훈련 기관 현황․66
<표 Ⅲ-16> 연도별 인터넷통신훈련 과정 현황․66
<표 Ⅲ-17> 학교법인이 설립한 원격대학․70
<표 Ⅲ-18> 컨소시엄형 재단법인이 설립한 원격대학․71
<표 Ⅲ-19> 일반 재단법인이 설립한 원격대학․72
<표 Ⅲ-20> 사이버대학의 연령별 등록생 분포 비율․72
<표 Ⅲ-21> 사이버대학의 학력별 등록생 분포 비율․73
<표 Ⅲ-22> 사이버대학의 직업별 등록생 분포 비율․73
<표 Ⅲ-23> 사이버대학의 주소지별 등록생 분포 비율․74
<표 Ⅲ-24> 사이버대학의 교육과정 분석․75
<표 IV-1> 네트워크의 유형․85
<표 Ⅳ-2> 한솔교육의 사례조사 결과․92
<표 Ⅳ-3> LG-Caltex정유 여천공장의 사례조사 결과․95
<표 Ⅳ-4> LG CNS의 사례조사 결과․105
<표 Ⅳ-5> 동부사이버학습실의 운영 체계․109
<표 Ⅳ-6> 동부사이버학습실의 사례조사 결과․114
<표 Ⅳ-7> 2004년 광명시 평생학습원 주요 추진 사업의 특징․123
<표 Ⅳ-8> 광명시 평생학습원의 사례조사 결과․128
<표 Ⅴ-1> 총체적 학습사회 구성 요소와 e-Learning 지원 방안과의 관계․157
[그림 Ⅱ-1] 총체적 학습사회와 관련된 주요 용어의 관계․16
[그림 Ⅱ-2] e-Learning과 유사 용어와의 관계․24
[그림 Ⅱ-3] e-Learning 기술의 발전․25
[그림 Ⅱ-4] 총체적 학습사회와 e-Learning의 연계성․32
[그림 Ⅲ-1] 노동부의 기업 e-Learning 중기 발전 계획․41
[그림 Ⅲ-2] 교육인적자원부 e-Learning지원체제 종합발전방안 추진과제 로드맵․46
[그림 Ⅲ-3] 중앙교수학습센터․EDUNET 홈페이지 구성․56
[그림 Ⅲ-4] EDUNET의 교육 커뮤니티 구조․58
[그림 Ⅳ-1] 분석틀․80
[그림 Ⅳ-2] 총체적 학습사회 및 e-Learning과 분석틀의 구성 요소 간의 관계․81
[그림 Ⅳ-3] LG CNS의 K-Village 성공 요소․98
[그림 Ⅳ-4] LG CNS 지식경영 활동의 두 축․100
[그림 Ⅳ-5] 동부사이버학습실의 학습관리 시스템․106
[그림 Ⅳ-6] 동부사이버학습실의 학습 절차․107
[그림 Ⅳ-7] 광명시 평생학습도시 건설 5개년 계획․117
[그림 Ⅳ-8] 2003년도 광명시 평생학습원의 중점 추진 과제․119
[그림 Ⅳ-9] 2004년 광명시 평생학습원의 주요 추진 사업 방향․122
[그림 V-1] 총체적 학습사회에서 e-Learning의 역할․142
[그림 V-2]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 통합 전략․145
[그림 V-3]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 모형․14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총체적 학습사회와 e-Learning 2004.01.01~200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