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 방향 탐색

A Strategy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저자
이종성 정향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4-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4.10.30
등록일
2004.10.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4
   1. 연구내용 4
   2. 연구의 범위와 제한 6
 제3절  연구 방법 7
   1.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7
   2. 전문가 협의회 개최 7
   3. 실업계 고등학교 방문 및 교원과의 면담을 통한 현황 파악 7
   4.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교원의 의견 조사 7
   5. 세미나 개최 9
제2장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고찰
 제1절  중등교육과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11
   1. 중등교육의 성격과 기능 11
   2. 인적자원개발과 중등교육 15
   3. 직업교육과 중등교육 18
 제2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가치와 성격 21
   1.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가치 21
   2.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의 성격 24
제3장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념과 현황
 제1절  직업교육과정의 개념 33
 제2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37
   1. 교과중심 교육과정(1945~1963) 37
   2. 경험중심(생활중심) 교육과정(1963~1971) 38
   3. 직무중심 교육과정(1972~1981) 40
   4. 직업군 중심(전문기초교육) 교육과정(1982~1992) 42
   5.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1992~현재) 44
 제3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운영 46
   1.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운영 46
   2. 공업계 고등학교「2ㆍ1체제」의 운영 51
   3. 교육과정 자율운영 고등학교의 시범 운영 54
   4. 특성화 고등학교의 설립과 확대 58
   5. 통합형 고등학교의 시범 운영 61
제4장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외·내적 환경변화
 제1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외적 환경 변화 67
   1. 지식 및 정보화 사회 67
   2. 산업 및 고용 구조 70
   3. 직업 및 직무 내용 73
 제2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내적 환경 변화 81
   1. 평생학습 및 수요자 중심 교육 82
   2.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능력 90
   3. 교사 98
   4. 시설 및 설비 101
   5.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103
   6. 자격검정제도와의 연계 107
제5장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편에 관한 요구 분석
 제1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요구 113
   1. 응답자의 일반사항 113
   2. 설문조사 결과 분석 114
   3. 설문조사 결과의 종합 145
 제2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요구 147
   1. 실업계 고등학교와 학제 147
   2. 실업계 고등학교의 성격 148
   3.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목적 149
   4. 실업계 고등학교의 유형 151
   5.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 152
   6. 시설 및 장비 157
   7. 교사 158
제6장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편 방향
 제1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성격과 목적 161
 제2절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편 방향 163
   1.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구조 변경 163
   2. 기초수학능력과 직업기초능력의 강화 164
   3.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 제고 164
   4. 대학진학을 위한 수학능력 시험의 검토 166
   5. 지역 분권화의 반영 166
   6.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167
   7.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 자격검정의 분리 168
   8. 시설 및 설비의 보편성 유지 168
   9. 교육과정의 개편 방법과 절차의 개선 169
 제3절  교육과정 개편과 교사의 능력 향상 170
SUMMARY 173
<부록 1>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에 관한 설문지 179
참고문헌 185
  본 연구는 그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성격과 목적 구명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편을 위한 요구 확인
  넷째,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개편하기 위한 방향 제시
 The prim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our folds: 1)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in Korea, 2) to investigate the factors effecti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3) to explore the needs for remodeling the Curriculum, and 4) to prepare the remodeling directions of th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to investigate 1)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as secondary education, 2) the concepts and the type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3)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effecting the Curriculum. The intensive interview with the high school teachers was also made to grasp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the Curriculum, and the survey technique was administered to 2,464 major/general subject teachers to explore the remodeling directions of the Curriculum. Furthermore, the seminar for 'Exploring the Remodeling Directions for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was held with major theme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and substantialit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the internal/external factors and countermeasures effecti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perceptions of the remodeling the Curriculum.
...
<표 Ⅰ-1> 설문조사 대상과 표집ㆍ8
<표 Ⅰ-2> 세미나 주제 및 발표자ㆍ9
<표 Ⅱ-1> 실업계 고등학교 성격 규정에 관한 논의ㆍ28
<표 Ⅱ-2>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의 다양화 방안ㆍ29
<표 Ⅲ-1> 직업 교육과정 분석 요소와 제7차 교육과정 분석ㆍ48
<표 Ⅲ-2> 제7차 교육과정 상의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기준학과ㆍ50
<표 Ⅲ-3>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징ㆍ60
<표 Ⅲ-4> 통합형 고등학교 운영 목표 설정 현황ㆍ64
<표 Ⅲ-5> 통합형 고등학교 운영 현황(2004년)ㆍ66
<표 Ⅳ-1> 산업구조의 GDP 및 취업자 구성비 변화(1980~1998년)ㆍ71
<표 Ⅳ-2> 산업별 일자리 창출과 소멸(전년 대비)ㆍ72
<표 Ⅳ-3> 21세기 한국 산업의 전망과 발전 전략ㆍ73
<표 Ⅳ-4> 직업군별 직업구성의 변화 추이ㆍ74
<표 Ⅳ-5>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ㆍ75
<표 Ⅳ-6> 지식기반산업의 고용 창출 전망ㆍ76
<표 Ⅳ-7> 실업계 고등학교 입학자 수ㆍ77
<표 Ⅳ-8> 계열별 실업계 고등학교 입학자 수ㆍ78
<표 Ⅳ-9>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대표적인 설치학과ㆍ79
<표 Ⅳ-10> 일반계 고등학교 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비율ㆍ80
<표 Ⅳ-11> 연령 계층별 대학 이상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2001년)ㆍ84
<표 Ⅳ-12> 부모의 자녀 교육 기대 수준ㆍ85
<표 Ⅳ-13> 고등학교의 중도 탈락생 현황ㆍ88
<표 Ⅳ-14> 교육 단계별 직업교육훈련기관 졸업자의 취업률ㆍ89
<표 Ⅳ-15>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의 전문대학 과목별 평균 점수 및 최저 통과 점수 도달 비율ㆍ91
<표 Ⅳ-16> 직업기초능력의 영역ㆍ92
<표 Ⅳ-17>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에 따른 과부족 교원의 발생ㆍ99
<표 Ⅳ-18> 실업계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의 주요 비교ㆍ101
<표 Ⅳ-19> 기자재 확보 및 운영 현황ㆍ102
<표 Ⅳ-20> 계열별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국가기술자격 취득ㆍ107
<표 Ⅴ-1> 응답교사 현황ㆍ113
<표 Ⅴ-2>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성격ㆍ115
<표 Ⅴ-3> ‘중등보통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16
<표 Ⅴ-4> ‘중등보통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16
<표 Ⅴ-5> ‘시민으로서의 생활에 필요한 능력습득’에 대한 계열별 교사의견ㆍ117
<표 Ⅴ-6> ‘직업기초교육으로서 직업군에 관련된 기초능력 습득’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18
<표 Ⅴ-7> ‘전문직업교육으로서의 직무수행 능력 습득’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18
<표 Ⅴ-8>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역할ㆍ119
<표 Ⅴ-9> ‘기술․기능인 양성’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20
<표 Ⅴ-10>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목적ㆍ121
<표 Ⅴ-11> 실업계 고등학교의 유형ㆍ121
<표 Ⅴ-12> ‘현행과 같은 계열별 형태로 육성’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22
<표 Ⅴ-13> ‘현행과 같은 계열별 형태로 육성’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22
<표 Ⅴ-14> ‘종합 고등학교와 같은 형태로 육성’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23
<표 Ⅴ-15> ‘일반계와 실업계가 구분 없는 형태로 육성’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23
<표 Ⅴ-16>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의 권한ㆍ124
<표 Ⅵ-17> ‘중앙정부가 교육과정에 관한 모든 권한을 가짐’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25
<표 Ⅴ-18> ‘중앙정부가 기본 권한을 갖고 구체적인 사항은 시․도교육청이 가짐’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25
<표 Ⅴ-19>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문교과와 보통교과ㆍ126
<표 Ⅴ-20> ‘보통교과 비중이 전문교과 비중보다 훨씬 커야 함’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26
<표 Ⅴ-21> ‘보통교과의 비중과 전문교과의 비중이 비슷해야 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27
<표 Ⅴ-22> ‘보통교과 비중이 전문교과 비중보다 훨씬 작아야 함’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28
<표 Ⅴ-23> ‘보통교과 비중이 전문교과 비중보다 훨씬 작아야 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29
<표 Ⅴ-24>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과 선택ㆍ130
<표 Ⅴ-25> ‘기본적 보통 및 전문교과를 시․도교육청에서 선택하고 그 외 교과는 단위 학교장이 선택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31
<표 Ⅴ-26> ‘모든 보통 및 전문교과를 단위학교장이 선택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31
<표 Ⅴ-27> ‘보통 및 전문교과는 단위학교장이 선택하고 그 외 교과는 학생이 선택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32
<표 Ⅴ-28>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ㆍ133
<표 Ⅴ-29> ‘기본적 원리와 지식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인쇄매체 또는 원격교육 활용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34
<표 Ⅴ-30>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험․실습ㆍ134
<표 Ⅴ-31> ‘학교에서는 기본적인 원리에 치중하고 실험․실습은 산업체에서 이루어져야 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35
<표 Ⅴ-32> 실업계 고등학교와 산업체와의 산학협동ㆍ136
<표 Ⅴ-33>  ‘학교에서 모든 전문지식과 실험․실습을 가르치므로 장기간 현장실습은 필요 없음’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37
<표 Ⅴ-34> ‘학교에서는 교양교과만 가르치고 기초 및 전문지식과 실험․실습은 산업체에서 가르침’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37
<표 Ⅴ-35> ‘학교에서는 교양교과만 가르치고 기초 및 전문지식과 실험․실습은 산업체에서 가르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38
<표 Ⅴ-36>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사ㆍ139
<표 Ⅴ-37> ‘교육과정 개편 시 재직교사를 위한 부전공 및 자격 연수과정을 확대 운영함’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40
<표 Ⅴ-38> ‘교육과정 개편 시 재직교사를 위한 부전공 및 자격 연수과정을 확대 운영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40
<표 Ⅴ-39> ‘교사의 전문적 능력 신장을 위한 산업체 연수를 확대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41
<표 Ⅴ-40> ‘전문교과 교원을 보통교과 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함’에 대한 교과별 교사 의견ㆍ142
<표 Ⅴ-41> ‘전문교과 교원을 보통교과 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42
<표 Ⅴ-42> 실업계 고등학교의 시설 및 장비ㆍ143
<표 Ⅴ-43> ‘학교가 모든 실험실습 장비를 갖춤’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44
<표 Ⅴ-44> ‘학교는 기초 실험실습을 위한 시설 및 장비를 갖추고 전문적 시설 및 장비는 공동실습소를 이용함’에 대한 계열별 교사 의견ㆍ145
<표 Ⅴ-45>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ㆍ150
<표 Ⅴ-46> 대학진학을 위한 교육과정과 취업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ㆍ155
[그림 Ⅱ-1]  직업교육 가치성향의 내용구조ㆍ23
[그림 Ⅲ-1]  직업교육과정의 요소 연계ㆍ35
[그림 Ⅲ-2]  신경제 5개년 계획과 공고「2·1체제」ㆍ51
[그림 Ⅲ-3]  교육과정 자율운영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비교ㆍ55
[그림 Ⅲ-4]  교육과정 자율 운영 학교의 운영 형태 및 학교 추진 사항ㆍ56
[그림 Ⅲ-5]  교육과정 자율운영 모델ㆍ56
[그림 Ⅲ-6]  통합형 고교 운영 모형 비교ㆍ65
[그림 Ⅳ-1]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 진학률 및 취업률 추이ㆍ87
[그림 Ⅳ-2]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ㆍ97
[그림 Ⅵ-1]  일반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내용ㆍ16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 방향 탐색 2004.01.01~200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