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평가모형 연구 : 정부사업 참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MEs
저자
김미숙 이의규 주용국
분류정보
기본연구(2004-1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4.10.30
등록일
2004.10.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
 제3절  연구 범위 및 제한점 7
제2장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 관련 제도
 제1절  외국의 인적자원개발체계구축 관련 제도 10
   1. 영국의 IIP 10 
   2. 싱가포르의 PD 20
 제2절  우리 나라의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 관련 사업 28
   1. 노동부『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제 진단평가』 29
   2. 산업자원부「교육훈련체계수립 컨설팅 사업」 31
   3. 노동부사업과 산자부사업 내용 비교 33
 제3절  소결 36
제3장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평가 모형 및 기준
 제1절  영국의 IIP 평가 모형 및 기준 41
   1. IIP 기준의 특성 42
   2. IIP 기준의 세부 내용 44
   3. IIP 평가 지표 47
 제2절  싱가포르의 PD 평가 모형 및 기준 56
   1. PD 평가 기준 개요 56
   2. 평가 지표 58
 제3절  노동부사업의 평가모형 및 기준 67
   1. 노동부사업 평가 기준 개발 67
   2. 노동부사업 평가 지표 69
 제4절  소결 75
제4장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체계 특징 및 조사방법
 제1절  중소기업에서의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의 특징 79
 제2절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 저해요인 82
   1. 중소기업 훈련에 있어서의 일반적 방해 요소 82
   2.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체계인증 방해요인 84
 제3절  우리 나라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 사례 86
   1. 우리 나라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의 문제점 91
   2. 우리 나라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에서의 강점 92
   3.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의 시사점 93
 제4절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효과 조사 방법 94
   1. 사례 조사에 의한 분석 95
   2. 설문조사에 의한 분석 97
   3. 문헌조사 및 설문조사에 의한 분석 99
   4. 조사분석 방법의 시사점 101
제5장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계 참여기업 특성 및 인식조사
 제1절  자료 구성과 내용 103
   1. 자료의 구성 103
   2. 자료 내용 105
   3. 주요 분석 내용 109
 제2절  정부사업 참여기업 특성 110
   1.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 관련 사업에 참여한 기업현황 110
   2. 정부사업 참여기업의 일반적 특징 111
   3. 정부사업 참여기업의 인적자원개발투자의 변화 116
 제3절  사업 참여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129
   1. 참여요인 분석 130
   2. 정부사업 참여 인식조사 분석 137
 제4절  소결 152
제6장  노동부사업과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평가모형
 제1절  평가 자료 개요 155
 제2절  범주별 평가항목 평균점수 157
 제3절  기업 특성별 평가 점수 차이 분석 158
   1. 규모별 평가점수 차이 159
   2. 업종별 평가 점수 차이 162
 제4절  평가요소의 요인분석과 상관관계 163
   1. 평가지표 요인분석 163
   2. 평가 지표의 선형회귀분석 167
   3. 요인분석과 선형회귀 결합을 통한 평가 항목과 지표 169
 제5절  중소기업의 사업 참여인식과 평가요소 170
   1. 중소기업 사업 참여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70
   2. 노동부 사업참여 중소기업의 특징 및 참여인식과 평가지표와의 관계 172
 제6절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평가 모형 175
제7장  결론
SUMMARY 187
<부록 1> 평가지표 분석을 위한 코딩 197
<부록 2> 평가범주별 평가 항목 점수 206
<부록 3> 설문조사 내용 209
참고문헌 227
  본 연구에서는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 관련 사업으로서 노동부의 진단평가사업과 산자부의 교육훈련컨설팅 사업을 중심으로 참여한 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업의 참여에 대한 효과 인식을 조사분석하며, 노동부사업의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에 있어서 이러한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무엇이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서 평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Enterprises have supported voc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and/or employee lifelong learning in recent years. Not only these direct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for employees and/or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but also systematic and structural approaches to construct the infra which enables consistent and systemat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are explored through construction of an organizational system. One of those is the construction of an enterpris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This research suggests a nation-wide evaluation model to bring advantages for both enterprises and individuals.
...
<표 Ⅱ-1> IIP 참여와 인증 조직 현황(1991~1998)ㆍ11
<표 Ⅱ-2> IIP에 참여한 파트너와 주요 역할ㆍ13
<표 Ⅱ-3> IIP UK의 재원별 지원 규모 현황ㆍ14
<표 Ⅱ-4> 2003년 인증업체 현황(2003년 4월 30일)ㆍ18
<표 Ⅱ-5> 단위조직의 역할과 구성ㆍ24
<표 Ⅱ-6> 2001-02년 업종, 분야, 규모별 PD인증 조직 수(1999이후 누적)ㆍ27
<표 Ⅱ-7> 교육훈련체계 컨설팅 참여 대상ㆍ33
<표 Ⅱ-8> 노동부사업과 산자부사업의 비교ㆍ35
<표 Ⅱ-9> 영국의 IIP, 싱가포르 PD, 노동부 사업 비교ㆍ39
<표 Ⅲ-1> IIP 평가 기준ㆍ54
<표 Ⅲ-2> 싱가포르 PD 평가 체크리스트(2004)ㆍ63
<표 Ⅲ-3> 평가지표 세부내용ㆍ69
<표 Ⅲ-4> IIP, PD, 노동부사업 평가 내용 비교ㆍ77
<표 Ⅳ-1>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 내용ㆍ87
<표 Ⅴ-1> 자료의 구성 내용ㆍ106
<표 Ⅴ-2> 설문조사 내용ㆍ107
<표 Ⅴ-3> 분석대상의 기업분포ㆍ110
<표 Ⅴ-4> 정부부처 사업별 기업규모 및 업종분포ㆍ111
<표 Ⅴ-5> 정부사업 참여기업의 사업별, 규모별, 업종별 특성ㆍ113
<표 Ⅴ-6> 정부사업 참여기업의 사업별, 규모별, 업종별 생산성의 차이ㆍ114
<표 Ⅴ-7> 2001년(사업참여 전)과 2003년(사업참여 후)의 차이 비교ㆍ115
<표 Ⅴ-8> 연도별 훈련유형별 지원현황ㆍ116
<표 Ⅴ-9> 직업훈련 지원현황ㆍ118
<표 Ⅴ-10> 훈련방법별 지원현황ㆍ119
<표 Ⅴ-11> 연도별 유급휴가 현황ㆍ121
<표 Ⅴ-12> 수강지원금 현황ㆍ121
<표 Ⅴ-13> 연도별 훈련과정수ㆍ122
<표 Ⅴ-14> 훈련기간 현황ㆍ122
<표 Ⅴ-15> 훈련 직종 현황ㆍ123
<표 Ⅴ-16> 훈련지원현황(년도별, 사업별)ㆍ124
<표 Ⅴ-17> 훈련지원현황(년도별, 규모별)ㆍ125
<표 Ⅴ-18> 훈련지원현황(년도별, 업종별)ㆍ126
<표 Ⅴ-19> 인식조사 응답자 현황ㆍ129
<표 Ⅴ-20> 사업별, 규모별 응답자 수ㆍ130
<표 Ⅴ-21> 전체 참여인식 조사 결과ㆍ138
<표 Ⅵ-1> 주요평가 항목ㆍ155
<표 Ⅵ-2> 조사대상 기업ㆍ157
<표 Ⅵ-3> 평가지표의 평균점수ㆍ158
<표 Ⅵ-4> 규모별 평가점수 차이ㆍ159
<표 Ⅵ-5> 중소기업 사업참여를 통한 인식과 기업특성과의 관계ㆍ170
<표 Ⅵ-6> 평가 결과와 기업특성 및 참여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ㆍ176
<표 Ⅵ-7>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평가 내용ㆍ180
[그림 Ⅰ-1] 연구방법과 연구내용ㆍ6
[그림 Ⅰ-2] 노동부사업 평가모형 수정 방향ㆍ8
[그림 Ⅱ-1] IIP 관련 조직 체계ㆍ11
[그림 Ⅱ-2] IIP 내부조사 과정ㆍ16
[그림 Ⅱ-3] IIP 재인증 절차ㆍ17
[그림 Ⅱ-4] IIP 인증기업 순수이익 및 성장률 :1991-1994ㆍ19
[그림 Ⅱ-5] SPRING 싱가포르의 8가지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ㆍ23
[그림 Ⅱ-6] PD 인증 운영조직도ㆍ24
[그림 Ⅱ-7] PD평가 과정ㆍ26
[그림 Ⅱ-8]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제 구축 방향ㆍ29
[그림 Ⅱ-9]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제 진단평가 절차ㆍ30
[그림 Ⅱ-10]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제 진단평가 참여 현황ㆍ31
[그림 Ⅱ-11] 교육훈련체계 컨설팅 추진 프레임웍ㆍ32
[그림 Ⅲ-1] 영국의 IIP 평가 모형(4가지 원칙)ㆍ44
[그림 Ⅲ-2] 싱가포르의 PD 평가 모형ㆍ57
[그림 Ⅲ-3] 노동부사업 평가모형 개발 및 수정 내용ㆍ67
[그림 Ⅲ-4] 2003년도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제 평가모형ㆍ68
[그림 Ⅴ-1] 자료 구성 및 내용ㆍ104
[그림 Ⅴ-2] 연도별 훈련지원 인원ㆍ118
[그림 Ⅴ-3] 연도별 훈련지원 금액ㆍ119
[그림 Ⅵ-1] 연구내용 범주와 분석 단계ㆍ156
[그림 Ⅵ-2]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계의 핵심 평가 요소ㆍ178
[그림 Ⅵ-3]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평가 모형ㆍ17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계 평가모형 연구- 정부사업 참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04.05.10~2004.10.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