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1> 지역별 모집단과 표본 대학의 분포․8
<표 Ⅱ-2> 지역별 모집단과 표본 대학 학생의 분포․9
<표 Ⅱ-3> 국공립여부별 모집단과 표본 대학의 분포․9
<표 Ⅱ-4> 국공립여부별 모집단과 표본 대학 학생의 분포․10
<표 Ⅱ-5> 성별 모집단과 표본 대학 학생의 분포․10
<표 Ⅱ-6> 전공대분류별 모집단과 표본 대학 학생의 분포․11
<표 Ⅱ-7> 이용 자료의 강점과 한계․15
<표 Ⅲ-1> 실업계고등학교 설립주체별 학교수․18
<표 Ⅲ-2> 실업계고등학교 학교유형별 학교수․19
<표 Ⅲ-3> 제7차 교육과정 상의 실업계고등학교 계열별 기준학과․20
<표 Ⅲ-4> 일반계고등학교 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비율․21
<표 Ⅲ-5> 실업계고등학교 계열별 학생수․21
<표 Ⅲ-6> 실업계고등학교 계열별 입학자수․22
<표 Ⅲ-7> 실업계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 현황․22
<표 Ⅲ-8> 실업계고등학교 계열별 졸업자의 진로 현황(2003학년도)․23
<표 Ⅲ-9> 일반계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 현황(2004학년도)․27
<표 Ⅲ-10> 공단 직업전문학교 학교-노동시장 이행 프로그램․28
<표 Ⅲ-11> 공단 직업전문학교 학교 훈련생 특성․29
<표 Ⅲ-12> 공단 직업전문학교 학교 수료자의 진로 현황․30
<표 Ⅲ-13> 공단 직업전문학교 학교의 학교-노동시장 이행지원 프로그램․31
<표 Ⅲ-14>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교과편성․35
<표 Ⅲ-15>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주요 공과․36
<표 Ⅲ-16>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훈련생 남녀(병역)별 현황․37
<표 Ⅲ-17>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훈련생 학력별 현황․38
<표 Ⅲ-18>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훈련생 연령별 현황․38
<표 Ⅲ-19>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수료자의 진로 현황․39
<표 Ⅲ-20> 대한상의 인력개발원의 학교-노동시장 이행 프로그램․41
<표 Ⅲ-21> 기능대학 개설 학과․46
<표 Ⅲ-22> 기능대학 훈련생 연령별 현황․48
<표 Ⅲ-23> 기능대학 훈련생 출신학교별 신입생 현황․49
<표 Ⅲ-24> 기능대학 다기능 기술자과정 졸업자의 진로 현황․49
<표 Ⅲ-25> 기능대학 학교-노동시장 이행 프로그램 특성․51
<표 Ⅲ-26> 전문대학 설립주체별 학교수․55
<표 Ⅲ-27> 전문대학 계열별 학과수(2004학년도)․56
<표 Ⅲ-28> 전문대학 계열별 학생수․57
<표 Ⅲ-29> 전문대학 계열별 입학자수․58
<표 Ⅲ-30> 전문대학 계열별 학생 현황(2004학년도)․58
<표 Ⅲ-31>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로 현황․60
<표 Ⅲ-32> 전문대학 계열별 졸업자의 진로 현황(2004학년도)․60
<표 Ⅲ-33> 일반대학 설립주체별 학교수․63
<표 Ⅲ-34> 일반대학 계열별 학과수(2004학년도)․64
<표 Ⅲ-35> 일반대학 계열별 학생수․66
<표 Ⅲ-36> 일반대학 계열별 입학자수․67
<표 Ⅲ-37> 일반대학 계열별 학생 현황(2004학년도)․67
<표 Ⅲ-38> 일반대학 졸업자의 진로 현황․69
<표 Ⅲ-39> 일반대학 계열별 졸업자의 진로 현황(2004학년도)․70
<표 Ⅲ-40> 실무중심의 현장지향적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사례․71
<표 Ⅲ-41> 산업대학 설립주체별 학교수․75
<표 Ⅲ-42> 산업대학 졸업자의 진로 현황․76
<표 Ⅲ-43> 산업대학 계열별 졸업자의 진로 현황(2004학년도)․77
<표 Ⅳ-1> 4년제 대학 특성과 졸업생 취업률․85
<표 Ⅳ-2> 4년제 대학 특성별 및 전공 대분류별 취업률․86
<표 Ⅳ-3> 4년제 대졸자의 수능성적과 취업률․87
<표 Ⅳ-4> 4년제 대졸자의 전공 중분류별 취업률․88
<표 Ⅳ-5> 취업률 결정 요인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4년제 대학 졸업생: 교육, 의약계열 제외)․92
<표 Ⅳ-6> 전문대학 특성과 졸업생 취업률․93
<표 Ⅳ-7> 전문대학 졸업생의 수능성적과 취업률․93
<표 Ⅳ-8> 전문대학 졸업생의 전공 대분류별 취업률․94
<표 Ⅳ-9> 전문대학 졸업생의 전공별 취업률(전공 중분류)․95
<표 Ⅳ-10> 취업률 결정 요인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전문대학 졸업생)․97
<표 Ⅳ-11> 전문대학, 기능대학, 대한상의 인력개발원의 취업률 비교․98
<표 Ⅳ-12> 취업률 결정 요인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전문대학, 기능대학, 대한상의 인력개발원의 비교)․100
<표 Ⅳ-13> 직업훈련기관 1년 과정 수료생의 취업률 비교․101
<표 Ⅳ-14> 직업훈련기관 1년 과정 수료생의 전공 중분류별 취업률 비교․101
<표 Ⅳ-15> 로짓분석 결과(직업전문학교와 대한상의 인력개발원의 비교)․102
<표 Ⅳ-16> 성별․학력별 취업률․104
<표 Ⅳ-17> 취업률 결정 요인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학력별 비교)․104
<표 Ⅳ-18> 4년제 대학 특성과 졸업생의 현직장 임금․107
<표 Ⅳ-19> 4년제 대학 특성별 및 전공대분류별 현직장 임금․109
<표 Ⅳ-20> 4년제 대졸자의 수능성적과 현직장 임금․110
<표 Ⅳ-21> 4년제 대졸자의 전공 중분류별 현직장 임금․111
<표 Ⅳ-22> 임금회귀식 추정 결과(4년제 대학 졸업생)․114
<표 Ⅳ-23> 전문대학 특성과 졸업생의 현직장 임금․116
<표 Ⅳ-24> 전문대학 졸업생의 수능성적과 현직장 임금․116
<표 Ⅳ-25> 전문대학 전공 대분류별 현직장 임금․117
<표 Ⅳ-26> 전문대학 전공 중분류별 현직장 임금 수준․117
<표 Ⅳ-27> 임금회귀식 추정 결과(전문대학 졸업생)․119
<표 Ⅳ-28> 전문대학, 기능대학,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졸업생의 현직장 임금․121
<표 Ⅳ-29> 임금회귀식 추정 결과(전문대학, 기능대학, 대한상의 인력개발원의 비교)․122
<표 Ⅳ-30> 직업훈련기관 1년 과정 수료생의 현직장 임금 비교․123
<표 Ⅳ-31> 직업훈련기관 1년 과정 수료생의 전공 중분류별 현직장 임금 비교․124
<표 Ⅳ-32> 임금회귀식 추정 결과(직업전문학교와 대한상의 인력개발원의 비교)․125
<표 Ⅳ-33> 성별․학력별 현직장 임금․126
<표 Ⅳ-34> 임금회귀식 추정 결과(학력별 비교)․126
<표 Ⅳ-35> 4년제 대학 특성과 졸업생의 평균근속기간․130
<표 Ⅳ-36> 4년제 대학 특성별 및 전공 대분류별 평균근속기간․130
<표 Ⅳ-37> 4년제 대졸자의 수능성적과 평균근속기간․131
<표 Ⅳ-38> 4년제 대졸자의 전공 중분류별 평균근속기간․132
<표 Ⅳ-39> 미취업 상태로의 이행에 대한 해저드 분석 결과(4년제 대학)․134
<표 Ⅳ-40> 전문대학 특성과 졸업생 평균근속기간․135
<표 Ⅳ-41> 전문대학 졸업생의 전공 대분류별 평균근속기간․136
<표 Ⅳ-42> 전문대 졸업생의 수능성적과 평균근속기간․136
<표 Ⅳ-43> 전문대 졸업생의 전공 중분류별 평균근속기간․137
<표 Ⅳ-44> 미취업 상태로의 이행에 대한 해저드 분석 결과(전문대학)․138
<표 Ⅳ-45> 전문대학, 기능대학,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졸업생의 평균근속기간․139
<표 Ⅳ-46> 미취업 상태로의 이행에 대한 해저드 분석 결과(전문대학, 기능대학 및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비교)․140
<표 Ⅳ-47> 직업훈련기관 1년 과정 수료생의 평균근속기간 비교․141
<표 Ⅳ-48> 직업훈련기관 1년 과정 수료생의 전공 중분류별 평균근속기간 비교․141
<표 Ⅳ-49> 미취업 상태로의 이행에 대한 해저드 분석 결과(직업전문학교와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1년 과정 비교)․142
<표 Ⅳ-50> 성별․학력별 평균근속기간․143
<표 Ⅳ-51> 미취업 상태로의 이행에 대한 해저드 분석 결과(학력별 비교)․143
<표 Ⅳ-52> 4년제 대졸자의 대학 특성과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 비중․147
<표 Ⅳ-53> 4년제 대졸자의 전공 대분류별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 비중․147
<표 Ⅳ-54> 4년제 대졸자의 수능성적별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 비중․148
<표 Ⅳ-55> 4년제 대졸자의 전공 중분류별 괜찮은 일자리 취업자 비중․149
<표 Ⅳ-56> 괜찮은 일자리 취업가능성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151
<표 Ⅴ-1> 기초통계․157
<표 Ⅴ-2> 표본 내역․158
<표 Ⅴ-3> 학교유형별, 전공계열별 초임수준․159
<표 Ⅴ-4> 학교유형별, 전공계열별 직업분포․160
<표 Ⅴ-5> 학교유형별, 전공계열별 기업체규모․161
<표 Ⅴ-6> 임금함수 추정식과결과: 남자․164
<표 Ⅴ-7> 임금함수 추정식과 결과: 여자․165
<표 Ⅴ-8> 첫직장 이행기간의 분포: 성, 학교유형, 전공계열별․169
<표 Ⅴ-9> 첫직장 이행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Cox 비례위험 모형, 전체․178
<표 Ⅴ-10> 첫직장 이행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Cox비례위험모형, 대학․전문대학․179
<표 Ⅴ-11> 첫직장 근속자비율과 평균근속기간․181
<표 Ⅴ-12> 특성별 첫직장의 근속기간의 분포․182
<표 Ⅴ-13> 피보험자격 상실사유․183
<표 Ⅴ-14> 이직여부에 대한 프로빗모형 추정결과: 전체․186
<표 Ⅴ-15> 이직여부에 대한 프로빗모형 추정결과: 대학․전문대․187
<표 Ⅴ-16> 첫직장 유지에 관한 해저드모형: 전체․197
<표 Ⅴ-17> 첫직장 유지에 관한 해저드모형: 대학․전문대․198
<표 Ⅵ-1> 각 변수들의 기초통계량․204
<표 Ⅵ-2> 남녀별 교육훈련기관별 취업 횟수․207
<표 Ⅵ-3> 청년층 취업횟수에 미치는 영향 변수들․210
<표 Ⅵ-4> 직장 취업의 범주별 근속 기간․213
<표 Ⅵ-5> 남녀별, 교육훈련기관별 취업 직장 근속 기간․213
<표 Ⅵ-6> 청년층 취업기간 결정 요인․216
<표 Ⅵ-7> 청년층 직장 이직시 재취업까지의 미취업 기간․219
<표 Ⅵ-8> 교육훈련기관별 이직시 미취업 기간․220
<표 Ⅵ-9> 첫직장과 현직장의 규모간 이동․221
<표 Ⅵ-10> 남성 청년층의 첫직장과 현직장의 규모간 이동․222
<표 Ⅵ-11> 여성 청년층의 첫직장과 현직장의 규모간 이동․223
<표 Ⅵ-12> 대학졸업자의 첫직장과 현직장의 규모간 이동․224
<표 Ⅵ-13> 전문대 졸업생들의 첫직장과 현직장 규모간 이동․224
<표 Ⅵ-14> 직업전문학교 졸업자의 첫직장과 현직장 규모간 이동․225
<표 Ⅵ-15> 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 졸업자들의 첫직장과 현장 규모간 이동․226
<표 Ⅵ-16> 기능대 졸업자들의 첫직장과 현직장 규모 이동․227
<표 Ⅵ-17> 고졸자의 첫직장과 현직장 규모간 이동․228
<표 Ⅵ-18> 첫직장과 현직장 임금대별 이동․229
<표 Ⅵ-19> 첫직장 대비 현직장 임금 수준대 이동․230
<표 Ⅵ-20> 첫직장 대비 현직장 임금 수준대 이동(대학, 전문대, 고졸)․231
<표 Ⅵ-21> 첫직장 대비 현재직장 임금 수준대별 이동․233
<표 Ⅵ-22> 대졸자 수능점수대별 첫직장과 현재직장 임금수준 이동․236
<표 Ⅵ-23> 임금증가율 요인․240
<표 Ⅵ-24> 동일 규모로의 노동 이동 비율․243
<표 Ⅵ-25> 청년층 노동이동의 방향 - 규모․244
<표 Ⅵ-26> 대학, 전문대, 고등학교 졸업자들의 직장 이동 - 규모․246
<표 Ⅵ-27> 기능대,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직업전문학교 졸업생 직장 이동 - 규모․248
<표 Ⅵ-28> 청년층의 직종간 이동(첫번째 직장에서 두번째 직장으로)․250
<표 Ⅵ-29> 청년층의 직종내 이동 비율․251
<표 Ⅵ-30> 전체 표본 및 남녀별 직종간 이동․252
<표 Ⅵ-31> 교육훈련기관별 직종간 이동(대학, 전문대, 고졸자)․254
<표 Ⅵ-32> 교육훈련기관별 직종간 이동(기능대학,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직업전문학교)․255
<표 Ⅵ-33> 청년층 업종간 이동․256
<표 Ⅵ-34> 직장 이동과 전공일치로의 이동․257
[그림 Ⅲ-1] 청년층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경로․79
[그림 Ⅳ-1] 교육훈련기관유형별 취업률(%)․105
[그림 Ⅳ-2] 수능점수별 취업률․106
[그림 Ⅳ-3] 교육훈련기관유형별 졸업(수료)생의 현직장 임금․127
[그림 Ⅳ-4] 수능점수별 현직장 임금 수준(단위: 원)․128
[그림 Ⅳ-5] 교육훈련기관유형별 평균근속기간(개월)․145
[그림 Ⅳ-6] 수능성적별 평균근속기간(개월)․146
[그림 Ⅴ-1] 첫직장으로 이행기간의 유형․167
[그림 Ⅴ-2] 성별 조건부이행확률․173
[그림 Ⅴ-3] 성별 실업탈출률․173
[그림 Ⅴ-4] 학교유형별 조건부이행확률․175
[그림 Ⅴ-5] 학교유형별 실업탈출률․175
[그림 Ⅴ-6] 전공계열별 조건부이행확률․176
[그림 Ⅴ-7] 전공계열별 실업탈출률․176
[그림 Ⅴ-8] 첫직장 유지(근속기간)유형(취업기간의 우측절단 설명)․188
[그림 Ⅴ-9] 첫직장 유지율: 성별․190
[그림 Ⅴ-10] 첫직장 유지율: 학교유형별․190
[그림 Ⅴ-11] 첫직장 유지율: 대학전문대의 전공계열별․191
[그림 Ⅴ-12] 첫직장 유지율: 수도권대학 여부별․191
[그림 Ⅴ-13] 첫직장 유지율: 수능성적 분위별․192
[그림 Ⅴ-14] 첫직장 이탈율: 성별․192
[그림 Ⅴ-15] 첫직장 이탈율: 학교유형별․193
[그림 Ⅴ-16] 첫직장 이탈율: 전공계열별․193
[그림 Ⅴ-17] 첫직장 이탈율: 수도권대학 여부별․194
[그림 Ⅴ-18] 첫직장 이탈률: 수능성적 분위별․194
[그림 Ⅵ-1] 교육훈련기관별 취업(직장) 횟수․206
[그림 Ⅵ-2] 청년층 직장 경험회수의 비율․208
[그림 Ⅵ-3] 청년층의 취업 직장 순서별 평균 취업 기간․212
[그림 Ⅵ-4] 청년층의 이직시 평균 미취업 기간․218
[그림 Ⅵ-5] 대학졸업자의 첫직장과 현직장 임금수준대별 분포․231
[그림 Ⅵ-6] 전문대 졸업자의 첫직장과 현직장 임금수준대별 분포․232
[그림 Ⅵ-7] 고졸자의 첫직장과 현직장 임금수준대별 분포․232
[그림 Ⅵ-8] 직업전문학교 첫직장 대비 현재직장 임금수준대별 분포․234
[그림 Ⅵ-9] 대한상의 인력개발원 첫직장 대비 현직장 임금수준대별 분포․234
[그림 Ⅵ-10] 기능대 졸업자의 첫직장 대비 현직장 임금수준대별 분포․235
[그림 Ⅵ-11] 수능점수 하위권 첫직장과 현직장 임금수준 이동 비교․236
[그림 Ⅵ-12] 수능점수 중위권 첫직장과 현직장 임금수준 이동․237
[그림 Ⅵ-13] 수능 상위권 첫직장과 현직장 임금수준 이동․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