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 한국사회의 새로운 직업윤리 모색 : 철학적 기초와 사회적 제도
New Vocational Ethics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Transition Period : Philosophical Fundamentals and Social System
- 저자
- 박순성 정원섭 황경식 이홍균 김종걸 이근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4-2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11.24
- 등록일
- 2004.11.24
제1편 본서의 목적과 범위 제1장 문제의식 : 전환기 한국사회와 직업윤리 3 제1절 전환기 한국사회 3 제2절 전환기 직업윤리 5 제2장 본서의 과제와 범위 7 제2편 직업윤리의 철학적 기초 제1장 전환기 한국사회와 새로운 직업윤리 13 제2장 현실과 당위의 만남 : 직업윤리 19 제1절 윤리와 직업 19 제2절 직업과 윤리간의 긴장 23 제3장 직업윤리와 역할 도덕 27 제1절 직위와 역할 27 제2절 직업과 역할 도덕 30 제3절 직업윤리에서 역할 도덕의 한계 34 제4장 맺음말 : 한국 사회에서의 직업윤리 39 제3편 전문직(Professionalism)과 직업윤리 제1장 머리말 45 제2장 윤리의 이해와 도덕적 숙련 47 제3장 전문직 윤리의 일반적 특징 53 제4장 전문직의 이념, 성공과 봉사 57 제5장 특수 전문직의 역할과 윤리 63 제1절 의료 전문직의 직업윤리 63 제2절 법조 전문직의 직업윤리 69 제3절 기업 전문직의 직업윤리 74 제4절 공인 전문직의 직업윤리 80 제6장 맺음말 85 제4편 한국 경제발전과 직업윤리 제1장 경제발전과 직업윤리 - 한국의 경험 91 제2장 한국의 경제발전 - 성과와 특징 95 제3장 근대적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형성과 경향성 105 제4장 경제위기 이후 직업윤리의 변화와 평가 117 제5장 새로운 직업윤리를 위한 과제 125 제5편 한국 사회 발전과 직업윤리 제1장 전환기의 한국 사회 133 제2장 직업윤리의 사회사상사적 기초 137 제3장 현대 사회의 발전과 새로운 직업윤리 141 제4장 ‘교환을 위한 상품 생산’과 ‘직접 생산자와 생산 계획자의 분리’ 147 제5장 직업윤리 I - ‘성과에 따른 보상’ 153 제6장 직업윤리 II - ‘효용의 상호의존성’ 157 제7장 한국 사회의 성장과 직업윤리의 지체 161 제8장 맺음말 165 제6편 아시아적 가치와 일본의 경제성장 제1장 머리말 171 제2장 아시아적 가치와 경제성장 173 제1절 아시아적 가치담론의 다의성(多義性) 173 제2절 아시아적 가치논쟁의 분류법 175 제3장 일본의 경제시스템과 문화ㆍ가치 187 제1절 일본경제시스템과 일본의 문화 187 제2절 일본경제 시스템 : 그 변화와 지속성 193 제4장 맺음말 : ‘상생’적 가치의 복원을 위해서 203 제7편 자유와 상생 제1장 머리말 211 제2장 신자유주의 213 제1절 신자유주의의 역사적 배경 213 제2절 신자유주의의 내용 215 제3장 신자유주의의 장점과 폐해 219 제1절 신자유주의의 장점 : 국가의 실패의 교정 219 제2절 신자유주의의 폐단 : 자본주의의 실패의 심화 221 제4장 한국사회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 자유와 상생 225 제1절 자유주의의 원리 225 제2절 상생의 원리 231 제3절 상생의 갈등과 적대적 갈등 233 제4절 정치적 자유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 234 제5장 한국경제발전의 새 패러다임 : 자유와 내포적 발전전략 239 제6장 상생의 원리와 새로운 윤리 243 제1절 인간소외의 극복 243 제2절 윤리 회복 246 제3절 환경보호 248 제7장 공동체로서의 기업 251 제1절 기업의 탈공동체화 251 제2절 기업의 공동체 역할 회복과 기업의 생산성 증대 효과 253 제8장 맺음말 259 제8편 요약과 결론 제1장 전환기의 한국사회 269 제2장 윤리와 직업윤리 271 제1절 윤리와 직업윤리 271 제2절 현대사회의 윤리 상실 272 제3절 전문직 윤리의 모색 273 제3장 한국의 직업윤리의 변화와 위기 275 제4장 일본의 경험 279 제5장 새로운 직업윤리의 모색 283
<표 1> 국민소득의 변화 1: 1954~1970년ㆍ96 <표 2> 국민소득의 변화 2: 1970~2002년ㆍ98 <표 3> 총인구 및 경제활동인구(단위: 천명, %)ㆍ99 <표 4> 산업별 취업자 비율ㆍ100 <표 5>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ㆍ100 <표 6> 노동조합조직률, 노사분규건수, 근로손실일수ㆍ101 <표 7> 종사자규모별 사업체 및 종업원 비율(%)ㆍ103 <표 8> 종사자규모별 월급여총액(원)ㆍ104 <표 9> 사회변동에 따른 한국 사회의 직업의식 변화ㆍ110 <표 10> 직업의식·윤리의 구성요소 - 비교ㆍ113 <표 11> 임금근로자의 근로여건에 대한 만족도ㆍ118 <표 12> 직업에 대한 태도(4점 척도 평가) - 1998년 / 2002년 비교ㆍ120 <표 13> 직업선택요인ㆍ121 [그림 1] 직업의식·윤리의 가치체계 - 비교ㆍ11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전환기 한국사회의 새로운 직업윤리 모색 - 철학적 기초와 사회제도 | 2004.04.27~2004.11.24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