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와 기업교육훈련
Aging Society and Industrial Education and Training
- 저자
- 손유미 이재경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4-2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11.30
- 등록일
- 2004.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3 제2절 연구 내용 4 제3절 연구 방법 6 제2장 국내 산업과 철강업 고령화 실태 제1절 국내 산업의 고령화 실태 9 제2절 철강업 고령화 실태와 기업의 대응 12 제3장 국내의 고령근로자를 위한 기업교육훈련 실태 제1절 철강업 교육훈련 실태 37 1. 기업교육훈련 실태 분석틀 37 2. 교육훈련 지원 여건 및 운영 실태 40 3. 회사차원의 퇴직 지원 실태와 요구 사항 50 제2절 조사결과 요약 및 시사점 59 1. 요약 59 2. 시사점 61 제4장 국내 철강업의 고령화 대비 기업 교육훈련 사례 제1절 POSCO의 인적자원개발 시스템 개요 65 제2절 POSCO의 생애통합적 교육훈련 사례: Life Plan System 67 1. Life Plan System 개관 67 2. Life Plan System의 연령대별 교육과정 68 제3절 POSCO의 고령근로자 전직지원 교육훈련 사례 72 1. 프로그램 개요 및 목적 72 2. 운영현황 74 3. Green Life Service 프로그램의 단계별 교육 내용 75 4. Life Plan System 및 Green Life Service의 교육 성과 77 제4절 교육훈련 사례의 시사점 85 1. 전직지원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85 2. 생애통합적 교육훈련 시스템의 시사점 87 제5장 외국의 고령자를 위한 기업교육훈련 사례 제1절 일본 93 1. 일본 고령화 현황 및 대책 93 2. 고령자 고용정책 실시 현황 99 3. 일본 기업의 고령자 교육훈련 사례 101 4. 시사점 108 제2절 영국 111 1. 고령근로자 정책의 변천 111 2. 최근 정책 방안 116 3. 기업의 고령자 교육 훈련 사례 136 4. 시사점 144 제6장 고령화 사회의 기업교육훈련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제1절 기본방향 147 제2절 정책과제 151 1. 고령화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공유 151 2. 정부 지원 방법의 변화를 통한 기업의 참여 활성화 153 3. 제2 경력개발 지원 시스템 구축: 업종별 전직지원서비스 제공 157 4. 노동조합의 혁신 159 SUMMARY 161 <부록 1> 철강산업체 대상 고령화 사회와 기업교육 훈련에 관한 의견조사 167 <부록 2> POSCO Green Life Service 사례분석을 위한 인터뷰 개요 180 <부록 3> 영국/ 일본 고령자 고용정책 비교 182 <부록 4> 영국 Agepositive 우수 사례 183 <부록 5> 일본 고령자 고용 및 능력개발 우수 사례 191 <부록 6> 독립행정법인 고령ㆍ장애자 고용지원기구(일본) 193 <부록 7> 일본 기업 사례: Life Plan 제도의 개요 195 참고문헌 197
본 연구는 고령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 실태 및 사례 조사를 통해, 기업 참여 촉진 요인 및 장애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고령 노동자의 인적자원화를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가 고령화사회로 급속도로 진입하면서 쟁점이 되고 있는 ‘재직근로자의 고령화’ 및 ‘고령근로자의 퇴직이후(제2의 경력개발)’ 에 대한 대책을 교육훈련을 비롯하여 제반 지원 정책의 측면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ew policy direction of industrial education and training as society became aging one. In case of Korea, the speed of aging is expected to be the shortest among all of the countries. Therefore, there are arguments that the aging will affect economics, finance, welfare, and labor market.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cessity of field research and integrity of aging policy. On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ceed the arguments of aging depending on industry type and the other one was to advance the disputes of lifelong-learning policy for employability of the aged workers. Accordingly,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new industrial education and training as well as the motivation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workers. The research problem was based on that the improvement of employability is essential not only to maintain working life but also to develop the quality of working. In addition, corporations, unions, and governments should take more responsibilities for employability of the aged work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steel industry and examined the real work situations of workers' aging and the case of POSCO industri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for the study included survey, field study, and interview as well as seminars and workshops. ...
<표 Ⅱ- 1> 노동력의 연령구성 변화․10 <표 Ⅱ- 2> 산업별 평균연령 추이․11 <표 Ⅱ- 3> 제조업 업종별 평균연령과 고령화지수․12 <표 Ⅱ- 4> 철강업 고령화 현황․16 <표 Ⅱ- 5> 조사 응답기업의 특성․17 <표 Ⅱ- 6> 고령화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18 <표 Ⅱ- 7> 노조 유무별 고령화 문제 심각성 인지도 차이․19 <표 Ⅱ- 8> 고령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20 <표 Ⅱ- 9> 고령화 대비 프로그램 실행 정도․21 <표 Ⅱ-10> 규모별 전직지원 프로그램 실시․22 <표 Ⅱ-11> 고령인력 활용의사와 정년연장 실시․29 <표 Ⅱ-12> 고령인력 활용의사와 계속고용 실시․30 <표 Ⅱ-13> 기업의 고령인력 활용에 장애요인․32 <표 Ⅱ-14> 기업에서 필요한 정부지원․34 <표 Ⅲ- 1> 교육훈련에 대해 회사차원의 지원제도나 정책 유무․44 <표 Ⅲ- 2> 규모별 교육훈련에 대해 갖는 관심이나 지원정도 ․46 <표 Ⅲ- 3> 고령근로자 교육훈련 회귀분석 결과․47 <표 Ⅲ- 4> 교육훈련 업무 수행 담당인력 유무․48 <표 Ⅲ- 5> 자체 교육시설 및 장비․49 <표 Ⅲ- 6> 2003년 대비 2004년도 교육훈련 투자 예산의 증감여부․49 <표 Ⅲ- 7> 퇴직에 대비한 회사차원의 지원이나 제도 실시여부․51 <표 Ⅲ- 8> 경영진이 퇴직지원에 대해 갖는 관심이나 지원정도․53 <표 Ⅲ- 9> 성공적인 퇴직지원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건 (복수응답)․54 <표 Ⅲ-10> 퇴직 지원에 필요한 비용 충당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55 <표 Ⅲ-11> ‘퇴직’지원을 위한 외부컨설팅 기관 활용 방안․56 <표 Ⅲ-12> ‘퇴직’지원을 위한 컨소시엄 운영 방안․56 <표 Ⅲ-13> 경력개발제도 실시 방안․57 <표 Ⅲ-14> ‘전직지원장려금’ 제도에 대한 인식․57 <표 Ⅲ-15> 현재 여건 상 우선적으로 실시할 가능성이 높은 과정(전체 복수응답)․58 <표 Ⅳ-1> POSCO Life Plan System의 연령대별 교육과정․68 <표 Ⅳ-2> POSCO Career Design Workshop의 교육내용․69 <표 Ⅳ-3> POSCO Career Review Workshop의 교육내용․70 <표 Ⅳ-4> POSCO Second Career Workshop의 교육내용․70 <표 Ⅳ-5> POSCO Green Life Service의 교육내용(주임 대상)․71 <표 Ⅳ-6> POSCO Green Life Workshop의 교육내용(반장 대상)․72 <표 Ⅳ-7> POSCO의 Green Life Service 프로그램 교육기간 및 인원․74 <표 Ⅳ-8> POSCO의 Green Life Service 프로그램의 분야별 교육내용․76 <표 Ⅳ-9> Green Life Service 입과 및 퇴직자 현황․78 <표 Ⅴ- 1> 일본의 고령화 현황․94 <표 Ⅴ- 2> 주요국의 인구고령화 속도․94 <표 Ⅴ- 3> 일본의 고령사회 대책 추진을 위한 기본 방향․96 <표 Ⅴ- 4> 일본 고령대책의 통합적 추진을 위한 과제․97 <표 Ⅴ- 5> 일본 고령사회대책 분야와 내용․98 <표 Ⅴ- 6> 일본의 고령 사회대책 관련 예산 추이․98 <표 Ⅴ- 7> 일본의 고령자 고용정책․100 <표 Ⅴ- 8> 일본 고령자 능력개발과 관련된 사례․109 <표 Ⅴ- 9> 고령 근로자 활성화를 위한 9개 핵심 권고사항․120 <표 Ⅴ-10> ‘일에서의 연령 다양성’을 위한 6가지 실천 영역․121 <표 Ⅴ-11> 자영업에 대한 지원단계․135 <표 Ⅴ-12> 기업의 고령화에 대한 5가지 활동 영역․137 <표 Ⅴ-13> 근로연금부(DWP)의 7가지 실천 지침․138 <표 Ⅴ-14> 기업의 훈련 실천 지침 비교․139 <표 Ⅴ-15> 훈련 우수 실천 기업의 진술․140 <표 Ⅵ-1> 고령화 사회의 인적자원개발 및 경력개발의 구조․157 [그림 Ⅱ-1] 철강업 종사자의 직종별 구성 추이․14 [그림 Ⅱ-2] 철강업 종사자의 학력별 추이․14 [그림 Ⅱ-3] 철강업 종사자의 연령별 분포 현황․15 [그림 Ⅱ-4] 철강업 고령화 대비 프로그램 실행 정도․24 [그림 Ⅱ-5] 정년 후에 고령이라도 할 수 있는 업무․27 [그림 Ⅱ-6] 정년 후에 고령이라도 할 수 있는 업무여부․28 [그림 Ⅱ-7] 고령인력 활용 의사․28 [그림 Ⅱ-8] 철강업에서의 고령자 활용이 갖는 장점․31 [그림 Ⅲ-1] 기업교육훈련의 핵심요인에 따른 개념적 유형 구분(예시)․39 [그림 Ⅲ-2] 고령자에게 제공하는 훈련기회 정도․42 [그림 Ⅲ-3] 자기주도적 교육훈련에 대한 지원 정도․42 [그림 Ⅲ-4] 경력관리 제도의 유무․43 [그림 Ⅲ-5] 회사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제도나 정책(복수응답)․44 [그림 Ⅲ-6] 현장 훈련이나 숙련 형성에 대한 요구에 대한 노동조합의 대응도․45 [그림 Ⅲ-7] 교육훈련 실시형태․47 [그림 Ⅲ-8] ‘퇴직’ 대비 회사차원의 퇴직 지원이나 제도․52 [그림 Ⅲ-9] ‘퇴직’ 대비 향후 회사차원의 퇴직 지원 및 제도의 우선 순위․52 [그림 Ⅳ-1] POSCO의 인적자원개발 시스템․66 [그림 Ⅳ-2] POSCO 인재육성의 기본 방향․67 [그림 Ⅳ-3] POSCO Green Life Service의 단계별 교육내용․75 [그림 Ⅴ-1] 고령인구의 노동력 참여 저해 요인과 해결방안․11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령화 사회와 기업교육훈련 | 2004.01.01~2004.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