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II)
Development of a career guidanc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 저자
- 임언 이지연 윤형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4-2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11.30
- 등록일
- 2004.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4 1. 자기이해를 돕기 위한 검사 개발 5 2. 진로개발 역량 제고 콘텐츠 개발 6 3. 프로그램 시안 웹상 구현, 시범 적용 및 수정 보완 7 4. 프로그램의 확산 보급 방안 마련 8 제3절 연구내용별 연구방법 8 1. 검사 개발을 위한 연구 방법 9 2. 진로탐색역량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 12 3. 프로그램 시안 구성 및 시범 적용 13 제2장 자기이해를 위한 검사 개발 제1절 진로개발준비도 검사 15 1. 검사의 이론적 틀 및 하위요소 15 2. 문항 시안 개발 21 3. 1차, 2차 예비검사를 통한 문항 수정 24 4. 본검사를 통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토 26 5. 검사결과 제시 방법 및 규준 34 제2절 이공계전공적합도 검사 39 1. 검사 개발의 목적 및 이론적 근거 39 2. 문항 시안 개발 40 3. 1차, 2차 예비검사를 통한 문항 수정 41 4. 본검사를 통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토 43 5. 검사결과 제시 방법 및 규준 56 제3절 주요능력효능감 검사 62 1. 이론적 배경 62 2. 검사의 하위요소 및 문항 형식 65 3. 1차, 2차 예비검사에 따른 문항 수정 66 4. 본검사를 통한 신뢰도 및 타당도 근거 확보 67 5. 검사결과 제시 방법 및 규준 73 6. 검사 개발 과정에 대한 추가 논의 79 제3장 진로탐색 역량 제고 콘텐츠 개발 제1절 의사결정 87 1. 이론적 배경 88 2. 의사결정 콘텐츠의 내용 91 제2절 커리어 포트폴리오 97 1. 커리어 포트폴리오의 목적 98 2. 커리어 포트폴리오의 역할 98 3. 커리어 포트폴리오의 적용 99 4. 커리어 포트폴리오의 유형 100 5. 플로리다 주립대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100 6. 이공계 전공 직업탐색 프로그램에서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102 제3절 취업준비 104 1. 취업준비 조언 요소 도출을 위한 관련 논의 검토 104 2. 취업준비 조언 107 제4절 이공계 진로상담사례 111 1. 상담사례 추출 과정 111 2. 분류 112 3. 확정된 이공계 대학생 진로문제 112 4. 상담 답변 작성 114 제5절 이공계 진로경로 114 1. 직업인 모델 114 2. 이공계 모의인생 게임 119 제6절 전공 및 직업정보 123 1. 전공정보 123 2. 직업정보 125 제4장 웹상의 프로그램 구현 제1절 인터넷 프로그램 구현 127 1. 사이트명 및 개발 방향 127 2. 내용 요소별 구현 129 제2절 시범적용 및 사용자의 평가 142 1. 시범적용의 대상 및 절차 142 2. 이용자의 평가 144 제5장 프로그램 기대 효과 및 제언 제1절 프로그램 개요 및 기대 효과 151 1.『커리어비전』의 개요 152 2. 프로그램 요소별 기대 효과 153 제2절 제언 156 1. 프로그램의 적극적 보급 157 2. 프로그램 효과의 체계적 평가 158 3. 인문사회계 대학생을 위한 『커리어비전Ⅱ』개발 158 4. 프로그램의 지속적 업그레이드 159 SUMMARY 161 <부록 1> 문항개발을 위한 예비검사지 167 <부록 2> 본검사지 183 <부록 3> 이용자 설문(이공계1) 197 <부록 4> 이용자 설문(이공계2) 200 <부록 5> 이용자 설문(비이공계) 203 <부록 6> 타당도검사지 206 <부록 7> 상담사례 212 <부록 8> 전공정보(예시) 251 <부록 9> 커리어비전 홍보용 리플렛 266 참고문헌 267
사회의 통합과 인적자원개발을 위하여 체계적인 진로개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OECD 각 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대학 진학률의 증가 속에 대다수의 대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충분한 준비없이진학하는 경우가 많아 대학생에게 부과된 진로탐색 및 준비의 과제가 막중하다. 대학에 따라서는 진로지도를 대학의 사활이 걸린 문제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나 전문인력과 타당한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이 인터넷 상에서 자기주도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직업과 전공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며,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한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시간 및 예산의 제약으로 인하여 이공계 대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나 계열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가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어 대학생 전체에게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시범적용 결과는 이 프로그램이 대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그 가능성을 뚜렷하게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인『커리어비전』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향후 이공계 뿐만이 아니라 타계열 학생들을 위한 콘텐츠가 추가로 개발되어 대학생 진로개발 지원을 위한 대표 프로그램으로서 더욱 발전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Rapid change in the world of work and advent of the aging society require individuals to cope flexibly and manage actively their career through the whole life span. Lifelong career development is essential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as well as enhancing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One of the main tasks of college students is to carefully prepare for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High youth unemployment rate has further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Despite the urgency of career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colleges provide insufficient services due to the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erefore, an urgent need has risen for a program which can be used in self-directed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which can facilitate college students to explore and choose their career in self-directed way. In order to make a program geared to user-specific needs, we confined the target user of this program to the college studen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is a two-year project. Last year, we assessed the needs for program, selected components of the program, designed its structure, and collected data on major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year, we developed various contents and uploaded those contents on the web. ...
<표 Ⅰ-1> 연구내용별 연구방법․8 <표 Ⅰ-2> 예비검사 표본 특징․10 <표 Ⅰ-3> 본검사 표본의 학년별, 성별 분포․11 <표 Ⅱ-1> 진로개발준비도 관련 검사의 하위요소 분석․19 <표 Ⅱ-2> 진로개발준비도 검사의 하위요인 및 정의․21 <표 Ⅱ-3> 진로개발준비도 검사 예비검사 결과 요약 및 문항 수정 사항․26 <표 Ⅱ-4> 진로개발준비도 검사의 신뢰도․27 <표 Ⅱ-5> 진로개발준비도 검사의 요인분석 결과․28 <표 Ⅱ-6> 전공․직업지식, 진로결정 관련 문항 요인분석 결과․29 <표 Ⅱ-7> 진로결정여부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검사 점수 차이․30 <표 Ⅱ-8> 진로개발준비도 하위영역간 상관․31 <표 Ⅱ-9> 진로개발준비도 학년별 평균비교․32 <표 Ⅱ-10> 진로개발준비도 검사 공인타당도 검사 표본․33 <표 Ⅱ-11> 진로개발준비도 검사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 검사 하위요소간 상관․34 <표 Ⅱ-12> 진로개발준비도 검사 결과에 따른 조언 및 링크 자료․35 <표 Ⅱ-13> 진로개발준비도 검사의 규준․38 <표 Ⅱ-14> 전공교과효능감 검사 예비검사 결과 요약 및 문항 수정 사항․42 <표 Ⅱ-15> 전공 관련 직업흥미 검사 예비검사 결과 요약 및 문항 수정사항․43 <표 Ⅱ-16> 전공교과효능감 및 전공직업흥미의 신뢰도․44 <표 Ⅱ-17> 전공 효능감 요인분석․45 <표 Ⅱ-18> 전공직업흥미 요인분석 결과․47 <표 Ⅱ-19> 전공 교과효능감 및 전공직업흥미와 전공만족도의 상관․49 <표 Ⅱ-20>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의 전공교과효능감 프로파일․50 <표 Ⅱ-21>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의 전공직업흥미 프로파일․53 <표 Ⅱ-22> 전공교과효능감과 전공직업흥미의 상관 행렬․56 <표 Ⅱ-23> 전공군별 전공적합도 유형 분포․59 <표 Ⅱ-24> 전공교과효능감 규준․60 <표 Ⅱ-25> 전공직업흥미 규준․61 <표 Ⅱ-26> 다중 지능별 주요 자극, 기능, 관련 직업․63 <표 Ⅱ-27> 대학생용 주요능력효능감 검사의 하위요소․66 <표 Ⅱ-28> 주요능력효능감 검사 예비검사 결과 요약 및 문항 수정 사항․67 <표 Ⅱ-29> 주요능력효능감 검사의 신뢰도․68 <표 Ⅱ-30> 주요능력효능감 검사의 요인분석 결과․69 <표 Ⅱ-31> 언어능력과 창의력 문항 요인분석 결과․70 <표 Ⅱ-32> 자기성찰과 대인관계 문항 요인분석 결과․71 <표 Ⅱ-33>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의 주요능력효능감 검사 하위영역별 표준점수․72 <표 Ⅱ-34> 주요능력효능감 하위영역간 상관․73 <표 Ⅱ-35> 주요능력효능감 검사 결과표 예시․74 <표 Ⅱ-36> 주요능력효능감 검사 결과표․75 <표 Ⅱ-37> 주요능력효능감 검사의 규준․78 <표 Ⅱ-38> 상위권 대학과 하위권 대학 학생들의 반응 양식 차이․80 <표 Ⅱ-39> 전공영역 진로결정준비도․83 <표 Ⅱ-40> 전공영역별 전공만족도 평균 비교․84 <표 Ⅱ-41> 전공영역에 따른 직업결정여부․85 <표 Ⅱ-42> 전공별, 학년별 직업결정 여부․86 <표 Ⅲ-1> 의사결정 프로그램의 구조 및 세부 내용 요약표․92 <표 Ⅲ-2> Harren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의 특징과 내용의 정리․95 <표 Ⅲ-3> 학교 내․외의 상담 대상자 유형․97 <표 Ⅲ-4> 커리어 포트폴리오의 적용․99 <표 Ⅲ-5> 커리어 포트폴리오의 유형․100 <표 Ⅲ-6> 플로리다 주립대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장점․101 <표 Ⅲ-7> 플로리다 주립대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구조․102 <표 Ⅲ-8> 기업의 직원선발 단계별 평가 요소․106 <표 Ⅲ-9>『커리어비전』 ‘취업준비’ 콘텐츠․107 <표 Ⅲ-10> 이공계 대학생의 대표적인 진로상담 문제․113 <표 Ⅲ-11> 이공계 직업인 모델 내용(예시)․115 <표 Ⅲ-12> 이공계 직업인 모델 리스트․117 <표 Ⅲ-13> 진로미결정자를 위한 조언 내용․121 <표 Ⅲ-14> 성인진로개발자를 위한 조언 내용․122 <표 Ⅲ-15> 전공정보 하위요소별 정보 출처․124 <표 Ⅳ-1>『커리어비전 개발에서 적용된 체제․129 <표 Ⅳ-2> 프로그램 시범적용 참가 대학생 특성․142 <표 Ⅳ-3> 집단별 적용 프로그램 내용 및 참가자 수․144 <표 Ⅳ-4> 진로개발준비도 검사에 대한 이용자 평가․145 <표 Ⅳ-5> 이공계전공적합도 검사에 대한 이용자 평가․146 <표 Ⅳ-6> 주요능력효능감 검사에 대한 이용자 평가․146 <표 Ⅳ-7>『커리어비전 진로개발 역량 제고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평가․147 <표 Ⅳ-8>『커리어비전에 전체에 대한 평가․149 <표 Ⅴ-1>『커리어비전 프로그램 내용별 목표․153 [그림 Ⅰ-1] 1차년도 및 2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4 [그림 Ⅰ-2] 커리어비전의 주요 요소별 관계․5 [그림 Ⅱ-1]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의 교과효능감 프로파일․51 [그림 Ⅱ-2]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의 전공직업흥미 프로파일․54 [그림 Ⅱ-3] 전공교과효능감검사와 직업흥미검사 결과 종합 방법․57 [그림 Ⅱ-4] Bandura가 설명하는 자기효능감의 근원 및 행동양식․64 [그림 Ⅱ-5] 전공영역별 전공만족도․84 [그림 Ⅲ-1] 자신과 환경정보 인지여부에 따른 의사결정양식․96 [그림 Ⅲ-2] 이공계 모의 인생 게임의 경로․120 [그림 Ⅳ-1]『커리어비전』로고․128 [그림 Ⅳ-2]『커리어비전의 주요 요소별 내용․130 [그림 Ⅳ-3]『커리어비전』인트로 화면․132 [그림 Ⅳ-4]『커리어비전』심리검사 초기 화면․133 [그림 Ⅳ-5]『커리어비전』전공정보 초기 화면․134 [그림 Ⅳ-6]『커리어비전』직업정보 초기 화면․134 [그림 Ⅳ-7]『커리어비전』의사결정프로그램 화면 예시․135 [그림 Ⅳ-8] 커리어 포트폴리오 초기화면․136 [그림 Ⅳ-9] 취업준비 초기화면․137 [그림 Ⅳ-10]『커리어비전』이공계 직업인모델 초기화면․138 [그림 Ⅳ-11]『커리어비전』이공계 모의인생 게임 초기화면․139 [그림 Ⅳ-12]『커리어비전』상담사례 초기화면․140 [그림 Ⅳ-13]『커리어비전』상담기관 화면․14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Ⅱ) | 2004.01.01~2004.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