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식강국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III) : 사업 서비스 분야 인적자원개발

Policy Measure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Business Services Industry
저자
백성준 이상돈 윤여인
분류정보
기본연구(2004-26-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4.11.30
등록일
2004.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4
   1. 사업 서비스업의 개념, 유형 및 범위 4
   2. 사업 서비스업의 현황 및 전망 5
   3. 7개 사업 서비스 분야 인적자원개발 현황 및 문제점 5
   4.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부 정책 5
   5.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방안 6
 제3절  연구 방법 6
   1.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방식으로 추진 6
   2. 전문가 및 관계관 협의회 개최 7
   3. 사업 서비스업 실태 조사 7
   4. 서비스 산업 인적자원개발 정책토론회 개최 8
 제4절  연구 범위 9
제2장  사업 서비스업의 개념 및 국가 경제발전에의 의의
 제1절  사업 서비스업의 개념 및 범위 11
 제2절  국가 경제ㆍ사회 발전에의 의의 15
제3장  사업 서비스업의 현황 및 전망
 제1절  국내 사업 서비스 산업 현황 24
   1. 사업 서비스업의 성장 24
   2. 주요 선진국과의 비교분석 33
 제2절  국내 사업 서비스 산업 전망 38
   1. 부가가치 전망 39
   2. 고용전망 40
 제3절  인적자원개발에의 정책적 시사 42
   1. 사업 서비스업 전문인력의 양성 43
   2. 사업 서비스업 시장 규모 확대를 통한 인적자원 수요 창출 44
   3. 현장 수요와 연계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45
제4장  사업 서비스업 분야별 인적자원개발
 제1절  정보처리ㆍ컴퓨터 운영 분야 인적자원개발 47
   1. 정보처리 컴퓨터 운영 산업의 특성, 현황 및 전망 47
   2. S/W 및 컴퓨터 서비스 인적자원개발 방안 69
   3. 정책적 시사 90
 제2절  광고 분야 인적자원개발 92
   1. 광고업의 특성, 현황 및 전망 92
   2. 광고업의 인적자원개발 108
   3. 정책적 시사 134
 제3절  법률 서비스 분야 인적자원개발 135
   1. 법률 서비스업의 현황 및 전망 136
   2. 법률 서비스업의 인적자원개발 148
   3. 정책적 시사 153
 제4절  회계 서비스 분야 인적자원개발 155
   1. 회계 서비스업의 현황 및 전망 157
   2. 회계 서비스업의 인적자원개발 163
   3. 정책적 시사 168
 제5절  경영 컨설팅 분야 인적자원개발 170
   1. 경영 컨설팅업의 현황 및 전망 170
   2. 경영 컨설팅 산업의 인적자원개발 175
   3. 정책적 시사 194
 제6절  조사업 분야 인적자원개발 196
   1. 조사업의 현황 및 전망 196
   2. 조사업의 인적자원개발 201
   3. 정책적 시사 213
 제7절  디자인 분야 인적자원개발 215
   1. 디자인 산업의 현황 및 전망 215
   2. 디자인 산업의 인적자원개발 223
   3. 정책적 시사 241
 제8절  7개 사업 서비스 분야 업체 Survey 결과 243
   1. 조사 대상 업체 특성 243
   2. 인적자원개발 담당자 유무 243
   3. 인적자원개발 담당자가 없는 경우 필요 직무교육 실시 여부 245
   4. 사업 서비스 분야 단기 및 중장기 전망 246
   5. 향후 전문 인력 충원 계획 249
   6. 필요한 직업기초능력(1순위) 250
   7. 신규직원 및 경력직원 채용 방식 252
   8. 도입·운영되고 있는 직무 능력개발 제도 255
   9. 교육훈련 추진 시 애로사항(1순위) 256
   10. 인적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한 개선 사항 257
   11. 교육훈련기관과의 공동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운영 참여 의사 260
   12. 동일 업종 협의체 구성 시 참여 의사 261
   13. 정책적 시사 262
제5장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부 정책
 제1절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책 266
 제2절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부 정책 271
 제3절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ㆍ추진 상의 문제점 278
 제4절  사업 서비스업 및 서비스업 정부정책 개선에의 시사 282
제6장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방안
 제1절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기본 방향 285
   1. 사업 서비스 분야별 전문 인력 교육ㆍ훈련 프로그램의 다양화ㆍ전문화 285
   2. 산업 현장 수요를 반영한 실무위주 교육 실시 286
   3. 사업 서비스 분야 인적자원개발 인프라 구축 286
   4. 정부 지원 정책의 강화 286
 제2절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정책과제 287
   1. 사업 서비스 분야별 전문 인력 양성 및 재교육ㆍ훈련 프로그램 개발ㆍ운영 287
   2. 산ㆍ학 협력에 기반을 둔 교육 프로그램 운영 289
   3. 체계적ㆍ효과적인 사내 인적자원개발 체제 구축ㆍ운영 290
   4. 사업 서비스 분야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보 시스템 구축ㆍ운영 292
   5. 사업 서비스 분야별 자격제도 정비 293
   6. 정부의 사업 서비스 분야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294
 제3절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 294
   1. 사업 서비스 업종별 협의체 구성ㆍ활용 294
   2. 사업 서비스 분야 인적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ㆍ추진 295
   3.「인적자원개발회의」를 통한 관련 정책 사업의 연계ㆍ조정 및 추진 상황 점검 295
   4. 정부 인센티브 정책 295
   5. 정책 추진 결과의 과학적ㆍ체계적 평가 296
SUMMARY 297
<부록 1> 서비스 분야 기업 인적자원개발 실태 조사지 303
참고문헌 313
  사업 서비스업은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등 산업 전반의 생산성 향상 및 고부가가치화에 핵심역할을 담당하며 그 자체가 대표적인 지식기반산업인 바, 지식의 창출 및 활용의 주체인 인적자원의 수준이 그 경쟁력을 결정하게 된다.
  우리 나라의 경우 과거에 비하여 사업 서비스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생산성 측면에서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무역수지 또한 수입이 수출을 훨씬 앞지르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사업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우리 나라 인력의 질적 수준이 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시사하며, 인력의 양성 및 재교육 정책에서 이 분야 인적자원개발 문제를 보다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이 연구는 사업 서비스업 중 정보처리ㆍ컴퓨터 운영업, 법률, 회계, 광고, 시장ㆍ여론조사, 경영자문, 디자인 등 7개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 서비스업의 변화 추세, 인적자원개발 현황 및 전망, 그리고 관련 정책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정책방안과 추진전략을 논의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에서 논의ㆍ제안된 정책 방안들이 우리 나라 사업 서비스업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책의 수립ㆍ집행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usiness services play a central role in increasing the productivity and value-added of other industries. As one of the key knowledge-based industries, the competitiveness of business services is heavily dependant upon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creating and utilizing knowledge. While business services in Korea has grown by 23.3% on annual average in terms of value-added created, it has had problems such as a mismatch between manpower demand and supply and a shortage of in-house education & training opportunities due to the large proportion of SMEs.
  This study analyzed changing trends of business services, manpower development & supply, and the related government policies in the 7 areas of business services -- IT information, advertisement, law, accounting, marketing and public opinion research, management consulting and design, and suggested policy tasks and strategies for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business services industry.
  Policy directions for the HRD in business services are as follows: 1)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s in individual business services area; 2)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ased upon demands from actual service fields; 3) design and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such as information, finance, organization etc.; 4) enhancement of government support to education & training for SMEs in business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above policy directions, following policy tasks are discussed. 1)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s for training and retraining professionals in individual business services areas: ①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professionals tailored to individual business services industries, ② securing competent teachers & trainers, ③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training programs and qualifications, ④ development of reeducation and retraining programs for upgrading professional knowledge & skills of incumbent workers, ⑤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for cultivating generic skills, ⑥ introduction of accreditation for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in individual business services area; 2) implementation of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based on industry-education cooperation: ①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and sector councils, ② provision of incentives to enterprises participating in the industry-education cooperation programs; 3) establishment of systematic and effective in-house HRD systems in enterprises: ① organization of a HRD unit within each enterprise or appointment of HRD personnel, ② provision of diverse retraining programs for incumbent workers, ③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areer development plans for individual workers; 4)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ystem for HRD in business services: ① setting-up of a DB for professionals and related institutes in each business services area, ② building-up of manpower forecasting system; 5) improvement of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each business services area: ① revision of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② preparation of a new qualific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transferability; 6) provision of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SMEs.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e above policy tasks are as follows: 1)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ector HRD Council' in business services area, 2) formulation of a master plan for HRD in the business services industry at a national level, 3) systematic linkages and coordination among related policies through the 'Ministerial Meeting for HRD,' 4) government incentives, and 5) scientific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results.
<표 Ⅰ-1> 주요국의 사업 서비스업의 GDP 및 고용비중 비교(1999년)․3
<표 Ⅰ-2> 3차 연도 참여기관 및 연구주제․7
<표 Ⅰ-3> 분야별 실태조사 대상 업체수․8
<표 Ⅰ-4> 실태조사지 주요 조사내용․9
<표 Ⅱ-1> 사업 서비스업의 분류․14
<표 Ⅱ-2> 산업부문별 국내총생산 구성비 변화 추이․17
<표 Ⅱ-3> 산업부문별 취업자 변화 추이․18
<표 Ⅱ-4> 사업 서비스업 종사자수 변화 추이․19
<표 Ⅱ-5> 사업 서비스업 사업체수 변화 추이․20
<표 Ⅱ-6> 산업별 중간수요율 변화 추이․21
<표 Ⅲ-1> 서비스 산업 총부가가치 대비 사업 서비스업의 비중(경상가격)․26
<표 Ⅲ-2> 사업 서비스 산업의 취업자 추이․27
<표 Ⅲ-3> 세부 사업 서비스 산업의 취업자 현황(2000년)․27
<표 Ⅲ-4> 사업서비스산업의 종사자 지위별 구성비(2003년)․28
<표 Ⅲ-5> 사업 서비스 산업의 취업구조 현황(2000년)․29
<표 Ⅲ-6> 사업 서비스 세부산업의 취업구조 현황(2000년)․29
<표 Ⅲ-7> 사업 서비스업의 수출입 추이․31
<표 Ⅲ-8> OECD 국가의 사업 서비스업 부가가치 추이(1989~1999년)․33
<표 Ⅲ-9> OECD국가의 사업 서비스업 고용 추이(1989~1999년)․36
<표 Ⅲ-10> OECD 국가의 부문별 서비스 수출입 추이․38
<표 Ⅲ-11> 서비스 산업별 생산 전망(경상가격)․39
<표 Ⅲ-12> 서비스 산업의 취업자 전망․40
<표 Ⅲ-13> 사업 서비스 산업의 취업구조 전망․41
<표 Ⅲ-14>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 인적자원 특징(2001년)․42
<표 Ⅳ-1-1> 통계청의 표준산업분류에 따른 S/W 및 컴퓨터서비스 산업분류ㆍ48
<표 Ⅳ-1-2> 정통부의 S/W 및 컴퓨터관련 서비스 산업분류․49
<표 Ⅳ-1-3> 미국 및 OECD의 정보통신산업분류․50
<표 Ⅳ-1-4>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 서비스 직업 인력의 범위․51
<표 Ⅳ-1-5> 세계 S/W 및 컴퓨터 서비스 산업의 시장 전망․54
<표 Ⅳ-1-6> 권역별 S/W 산업의 시장 전망․55
<표 Ⅳ-1-7> 국내 정보통신산업 생산 현황 및 전망․56
<표 Ⅳ-1-8> 국내 S/W산업 생산 현황 및 전망․57
<표 Ⅳ-1-9> 국내 S/W 수출 현황 및 전망․58
<표 Ⅳ-1-10> 기술 분야별 IT전문인력 현황․60
<표 Ⅳ-1-11> 기술 분야별 IT전문인력의 부족 규모 및 부족률․61
<표 Ⅳ-1-12> SW산업의 SWOT분석․63
<표 Ⅳ-1-13> 디지털 콘텐츠산업의 SWOT 분석․63
<표 Ⅳ-1-14> 고급 및 글로벌 인력양성 미흡이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65
<표 Ⅳ-1-15> 주요 기업에서의 신규․경력 채용 추이․65
<표 Ⅳ-1-16> 대학의 교원 1인당 학생 수 국제비교․66
<표 Ⅳ-1-17> 미국과 한국의 컴퓨터․S/W 학과 교수요원 수 비교․66
<표 Ⅳ-1-18> IT중소벤처기업 및 연구인력 현황(2002.12말)․67
<표 Ⅳ-1-19> 정보통신서비스 업체 종업원 규모․71
<표 Ⅳ-1-20> 정보통신 서비스 업체 HRD 담당자 유무․72
<표 Ⅳ-1-21> 정보통신 서비스 업체 필요 직업기초능력․75
<표 Ⅳ-1-22> S/W 및 컴퓨터서비스 인력의 직종별 부족인원 및 졸업자의 첫 임금수준․76
<표 Ⅳ-1-23> IT인력 채용방식․77
<표 Ⅳ-1-24> 2003년 상반기 IT인력 채용규모․77
<표 Ⅳ-1-25> 기술 수명이 다한 IT인력에 대한 재교육 내용․79
<표 Ⅳ-1-26> S/W인력의 이직률(2002년)․79
<표 Ⅳ-1-27> IT직무별 직무 적응 소요기간․82
<표 Ⅳ-1-28> 업무적응이 오래 걸리는 이유․83
<표 Ⅳ-1-29> 정보통신서비스 업체 교육훈련 추진시 문제점 및 애로사항․85
<표 Ⅳ-1-30> HRD 활성화를 위해 기업차원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85
<표 Ⅳ-1-31> HRD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86
<표 Ⅳ-1-32> HRD 활성화를 위해 교육훈련기관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86
<표 Ⅳ-1-33> 정보통신서비스 업체의 교육훈련기관과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공동 개발․운영 의사․87
<표 Ⅳ-1-34> 동일업종 정보통신서비스 업체간 협의체 구성시 참여 의사․88
<표 Ⅳ-1-35> 정보통신서비스 업체에서 기획․운영하고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88
<표 Ⅳ-2-1> 우리 나라 광고회사의 발달 과정․96
<표 Ⅳ-2-2> 연도별 매체별 광고비, 구성비 및 성장률․102
<표 Ⅳ-2-3> 매체별 광고비(2003년)․104
<표 Ⅳ-2-4> 광고업체의 종업원 규모 및 HRD담당자 유무․109
<표 Ⅳ-2-5> 국내 광고회사의 연도별 직군별 인력현황․118
<표 Ⅳ-2-6> 광고 업체의 필요 직업기초능력․122
<표 Ⅳ-2-7> 신규직원 채용의 주된 방식․122
<표 Ⅳ-2-8> 경력직원 채용의 주된 방식․123
<표 Ⅳ-2-9> HRD담당자가 없는 경우 필요 직무교육 실시 유무(광고업)․123
<표 Ⅳ-2-10> 운영중인 직업능력개발 제도(광고업)․124
<표 Ⅳ-2-11> 교육훈련 예산 편성 방법(광고업)․124
<표 Ⅳ-2-12> 교육훈련 추진 시 문제점 및 애로사항(광고업)․125
<표 Ⅳ-2-13> HRD 활성화를 위해 기업차원에서 개선해야할 사항(광고업)․126
<표 Ⅳ-2-14> HRD 활성화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개선해야할 사항(광고업)․126
<표 Ⅳ-2-15> HRD 활성화를 위한 교육훈련기관 개선 사항(광고업)․127
<표 Ⅳ-2-16> 교육훈련 프로그램 공동 개발․운영 의사(광고업)․127
<표 Ⅳ-2-17> 동일 업종간 협의체 구성 시 참여 의사(광고업)․128
<표 Ⅳ-2-18> 업체에서 기획․운영하고 있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광고업)        ․129
<표 Ⅳ-3-1> 법률 전문가의 분류․137
<표 Ⅳ-3-2> 법률 서비스업의 GDP 비중․140
<표 Ⅳ-3-3> 법률 서비스 인력 현황 및 법조인력 국제 비교․141
<표 Ⅳ-3-4> 법률 서비스업의 업종별 현황(2001년)․142
<표 Ⅳ-3-5> 법률 서비스업의 종사규모별 및 조직형태별 분포(2001년)․143
<표 Ⅳ-3-6> 사법개혁위원회의 법학전문대학원 도입 건의안․146
<표 Ⅳ-3-7> 법률 서비스업의 사무직원 관련 규정․148
<표 Ⅳ-3-8> 법학 관련 대학의 일반 현황(학과, 학생 수, 전임교원)․153
<표 Ⅳ-4-1> 회계 전문가의 분류․156
<표 Ⅳ-4-2> 회계 서비스업 인력 현황․159
<표 Ⅳ-4-3> 연도별 회계법인 현황․159
<표 Ⅳ-4-4> 회계법인의 업무별 수입구조․160
<표 Ⅳ-4-5> 회계제도 개선 내용 및 회계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 방안․164
<표 Ⅳ-4-6> 국내 5대 회계법인과 외국회계법인과의 업무제휴 현황․169
<표 Ⅳ-5-1> 단기 및 중장기 시장 전망(경영 컨설팅업)․172
<표 Ⅳ-5-2> 향후 전문 인력 충원 계획 유무(경영 컨설팅업)․172
<표 Ⅳ-5-3> 컨설팅 업체의 유형 및 특징․173
<표 Ⅳ-5-4> 직급별 컨설턴트 교육훈련 매트릭스․178
<표 Ⅳ-5-5> HRD담당자 유무 및 종사자 규모별 분포(경영 컨설팅업)․179
<표 Ⅳ-5-6> 필요 직업기초능력(경영 컨설팅업)․184
<표 Ⅳ-5-7> 신규 직원 채용 방식(경영 컨설팅업)․186
<표 Ⅳ-5-8> 경력 직원 채용 방식(경영 컨설팅업)․186
<표 Ⅳ-5-9> 운영중인 직업능력개발제도(경영 컨설팅업)․188
<표 Ⅳ-5-10> HRD 담당자가 없는 경우 필요 교육 실시 여부(경영컨설팅업)․189
<표 Ⅳ-5-11> 교육훈련 예산 편성 방법(경영 컨설팅업)․189
<표 Ⅳ-5-12> 교육훈련 추진 시 문제점 및 애로사항(경영 컨설팅업)․190
<표 Ⅳ-5-13> HRD 활성화를 위한 기업차원 개선 사항(경영 컨설팅업)․191
<표 Ⅳ-5-14> HRD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 개선 사항(경영 컨설팅업)․192
<표 Ⅳ-5-15> HRD 활성화를 위한 교육훈련기관 차원 개선 사항(경영컨설팅업)․192
<표 Ⅳ-5-16> 교육훈련프로그램 공동개발․운영 의사(경영 컨설팅업)․193
<표 Ⅳ-5-17> 동일업종간 협의체 구성 시 참여의사(경영 컨설팅업)․193
<표 Ⅳ-5-18> 기획․운영하고 있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경영컨설팅업)․194
<표 Ⅳ-6-1> 아시아․태평양 지역 조사업 매출액 및 구성비․197
<표 Ⅳ-6-2> 국내 조사업계 10위권 조사업체 매출 규모․198
<표 Ⅳ-6-3> 종사자 규모별 분포(조사업)․198
<표 Ⅳ-6-4> 국내 조사업계 시장 규모 성장 추이와 전망․199
<표 Ⅳ-6-5> 단기 및 중장기 시장 전망(조사업)․200
<표 Ⅳ-6-6> 향후 전문 인력 충원 계획 유무(조사업)․200
<표 Ⅳ-6-7> HRD 담당자 유무(조사업)․203
<표 Ⅳ-6-8> 필요 직업기초능력(조사업)․205
<표 Ⅳ-6-9> 신규 직원 채용 방식(조사업)․205
<표 Ⅳ-6-10> 경력 직원 채용 방식(조사업)․206
<표 Ⅳ-6-11> HRD 담당자가 없는 경우 필요 교육 실시 여부(조사업)․206
<표 Ⅳ-6-12> 운영중인 직업능력개발 제도(조사업)․207
<표 Ⅳ-6-13> 교육훈련 예산 편성 방법(조사업)․207
<표 Ⅳ-6-14> 교육훈련 추진 시 문제점 및 애로사항(조사업)․209
<표 Ⅳ-6-15> HRD 활성화를 위한 기업 차원 개선 사항(조사업)․209
<표 Ⅳ-6-16> HRD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 개선 사항(조사업)․210
<표 Ⅳ-6-17> HRD 활성화를 위한 교육훈련기관 차원 개선 사항(조사업)․211
<표 Ⅳ-6-18> 교육훈련프로그램 공동 개발․운영 의사(조사업)․212
<표 Ⅳ-6-19> 동일업종 간 협의체 구성 시 참여 의사(조사업)․212
<표 Ⅳ-6-20> 기획․운영하고 있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조사업)․213
<표 Ⅳ-7-1> 산업기술개발과 디자인 투자 효과 비교․217
<표 Ⅳ-7-2> 단기 및 중장기 시장 전망(디자인업)․222
<표 Ⅳ-7-3> 전문 인력 충원 계획(디자인업)․223
<표 Ⅳ-7-4> 종사자 규모별 분포(디자인업)․224
<표 Ⅳ-7-5> HRD 담당자 유무(디자인업)․224
<표 Ⅳ-7-6> 전문대학 및 대학 디자인 관련 학생 현황(2002년)․225
<표 Ⅳ-7-7> 전문대학 및 대학 디자인 관련 학과 졸업생 취업률 변화 추이․226
<표 Ⅳ-7-8> 필요 직업기초능력(디자인업)․230
<표 Ⅳ-7-9> 필요 직무교육 실시 유무(디자인업)․232
<표 Ⅳ-7-10> 운영중인 직업능력개발 제도(디자인업)․232
<표 Ⅳ-7-11> 교육훈련 예산 편성 방법(디자인업)․233
<표 Ⅳ-7-12> 교육훈련 추진 시 문제점 및 애로사항(디자인업)․234
<표 Ⅳ-7-13> HRD 활성화를 위한 기업차원 개선 사항(디자인업)․235
<표 Ⅳ-7-14> HRD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 개선 사항(디자인업)․236
<표 Ⅳ-7-15> HRD 활성화를 위한 교육훈련기관 개선 사항(디자인업)․237
<표 Ⅳ-7-16> 교육훈련프로그램 공동 개발․운영 의사(디자인업)․237
<표 Ⅳ-7-17> 동일업종 간 협의체 구성 시 참여 의사(디자인업)․238
<표 Ⅳ-7-18> 기획․운영하고 있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디자인업)․239
<표 Ⅳ-8-1> 응답 업체의 규모별 분포․244
<표 Ⅳ-8-2> 인적자원개발 담당자 유무․245
<표 Ⅳ-8-3> 필요 직무교육의 실시 여부(HRD 담당자가 없는 경우)․246
<표 Ⅳ-8-4> 해당업종의 발전 전망(단기: 1~3년)․247
<표 Ⅳ-8-5> 해당업종의 발전 전망(중장기: 4~10년)․248
<표 Ⅳ-8-6> 향후 전문 인력 충원계획․249
<표 Ⅳ-8-7> 필요 직업기초능력(단기적 관점: 1~3년)․251
<표 Ⅳ-8-8> 필요 직업기초능력(장기적 관점: 4~10년)․252
<표 Ⅳ-8-9> 신규직원 채용의 주된 방식․253
<표 Ⅳ-8-10> 경력직원 채용의 주된 방식․254
<표 Ⅳ-8-11> 직원 개개인의 능력개발 지원 제도․255
<표 Ⅳ-8-12> 교육훈련 추진 시 애로사항(1순위)․256
<표 Ⅳ-8-13> HRD 활성화를 위한 기업차원 개선사항(1순위)․257
<표 Ⅳ-8-14> HRD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 개선 사항(1순위)․258
<표 Ⅳ-8-15> HRD 활성화를 위한 교육훈련기관 개선 사항(1순위)․259
<표 Ⅳ-8-16> 공동 교육훈련 및 프로그램 개발 운영 참여 의사․260
<표 Ⅳ-8-17> 동일업종 협의체 구성 시 참여의사․261
<표 Ⅴ-1> 제조업 및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국제 비교․266
<표 Ⅴ-2> 재직자 훈련 인원 중 서비스업 비중 변화 추이․267
<표 Ⅴ-3> 서비스 산업 고도화를 위한 인적자원개발 정책과제․270
<표 Ⅴ-4> 사법시험 합격자 현황․275
<표 Ⅴ-5> 공인회계사 합격자 현황․275
<표 Ⅴ-6>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진입규제 현황․281
<표 Ⅴ-7> 제조업과 사업 서비스업의 중소기업 범위 비교․282
[그림 Ⅱ-1] 사업 서비스업과 타 산업과의 관계․15
[그림 Ⅲ-1] 사업 서비스업 부문별 수출 증가율(1993~2002년)․32
[그림 Ⅲ-2] 사업 서비스업 부문별 수입 증가율(1993~2002년)․32
[그림 Ⅲ-3] OECD국가의 사업 서비스업 분야별 부가가치비중(1999년)․35
[그림 Ⅲ-4] OECD국가의 사업 서비스업 분야별 고용비중(1999년)․37
[그림 Ⅳ-1] 소프트웨어 산업의 범위․49
[그림 Ⅳ-2] 부족률이 가장 높은 7대 세부 직종(IT기업)․62
[그림 Ⅳ-3] S/W 인력 재교육 강화 모델․84
[그림 Ⅳ-4] 수요 지향적 S/W 인력양성을 위한 로드맵․90
[그림 Ⅳ-5] 1989년 대비 직군별 인원 지수․119
[그림 Ⅳ-6] 법률 서비스업 자격시험 합격자 현황․152
[그림 Ⅳ-7] 사법연수생 중 비법학 전공자 비율 추이․152
[그림 Ⅳ-8] 회계 서비스업 자격시험 합격자 현황․167
[그림 Ⅳ-9] 글로벌 컨설팅 업체의 인적구성․176
[그림 Ⅳ-10] 경영 컨설팅 업체의 자격요건․177
[그림 Ⅵ-1] 사업 서비스 분야 인적자원개발 추진체계 개념도․29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지식강국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Ⅲ)-서비스분야 인적자원개발- 2004.01.01~2004.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