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문제해결을 위한 대학생 직업능력개발 방안
Study on Plans for Developing Occupational Skills for College Students to Solve Unemployment Problems of Young Adults
- 저자
- 강무섭 전도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4-3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4.12.20
- 등록일
- 2004.12.2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5 1. 청년층 실업과 취업 현황 5 2. 기업의 인재 채용 기준 5 3. 대학의 직업능력개발 실태 6 4. 청년실업 극복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대책 6 제3절 연구 방법 7 1. 문헌 분석 7 2. 사례 분석 7 3. 전문가 협의회 8 4. 국내통계조사 데이터 분석 9 제2장 청년층 실업과 취업현황 제1절 청년층 실업 현황 12 1. 청년 실업률 13 2. 청년층 경제활동현황 14 3. 실업률 추이 16 제2절 청년층 취업 현황 17 1. 구직기간과 구직 경로 19 2. 첫 직장의 특징과 취업의 질 22 제3절 청년층의 실업 원인 24 1. 법·제도적 요인 25 2. 노동시장 요인 26 3. 대학내부의 요인 29 4. 구직자 개인적 요인 31 제3장 기업의 인재 채용 기준 제1절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과 채용방법 35 1.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상 36 2. 채용방법 40 제2절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채용 기준과 과제 63 1. 기업의 인재 채용 기준 67 2.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요구 71 3.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과제 74 제4장 대학의 직업능력개발 실태 제1절 산학협동 교육 76 1. 맞춤식 교육 운영 사례 78 2. 인턴제도 운영 사례 82 3. 산학협동 교육의 과제 98 제2절 취업정보센터 운영을 통한 취업지원 101 1. 취업정보센터 운영 실태 101 2. 취업정보센터 운영을 통한 취업지원 사례 105 3. 취업정보센터 운영을 통한 취업지원의 과제 112 제3절 취업관련 강좌를 개설한 경우 113 1. 취업관련 강좌 운영 실태 113 2. 취업관련 강좌를 개설한 대학 사례 115 3. 취업관련 강좌 개설의 과제 123 제4절 대학교수들의 학생 취업전략 124 1. 책임지도 교수제 124 2. 평생지도 교수제 125 3. 기타 125 제5절 졸업준비위원회를 통한 취업지원 127 제5장 청년실업 극복을 위한 직업능력 개발 대책 제1절 정부 차원의 대책 129 1. 기업 활동 관련 규제의 완화 132 2. 교육 분야의 개혁 133 3. 중소기업 취업 촉진대책 137 4. 기업의 채용구조에 맞는 정책적 뒷받침 필요 139 5. 평생교육과의 연계를 통한 직업능력개발 140 6. 교육훈련과 노동시장 연계를 위한 파트너십 구축 141 7. 취업률 공포를 통한 대학의 경쟁력 강화 142 제2절 대학 차원의 대책 143 1.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유연한 교육체계 144 2. 산학협력단의 적극적인 활 146 3. 종합인력개발센터를 통한 진로ㆍ취업지도 기능 강화 147 4. 산학협동체제 구축 149 5. 취업지원체제 강화 150 6. 여대생취업에 대한 관심 고취 151 7.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졸업인증제 도입 152 8. 평생교육원 강좌의 학점 인정을 통한 직업능력개발 153 제3절 기업 차원의 대책 154 1. 직장체험프로그램의 도입 확대 155 2. 학력, 학벌 등 외형적 채용기준의 변화 155 3. 인턴 제도의 올바른 운영 156 4. 인재를 양산하기 위한 직업교육에 대한 투자 156 5. 기업체와 대학과의 적극적인 교류 157 6.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과의 설치 158 제4절 학생 개인의 입장에서 대책 158 1. 국제적 마인드와 외국어 능력의 준비 160 2. 경력관리를 통한 취업준비 161 3. 직무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통한 취업준비 162 4. 자격증 취득 및 개성 있는 취업준비 163 5. 기업문화의 이해를 통한 취업준비 164 6. 해외 진출에 대한 준비 164 7. 중소기업에 대한 의식 변화를 통한 취업준비 165 8. 창업을 통한 취업준비 165 제6장 요약 및 제언 제1절 결론 168 제2절 제언 171 SUMMARY 173 <부록 1> 기업 면담지 181 <부록 2> 청년실업해소특별법안 182 참고문헌 187
본 연구는 청년실업 및 대졸자 취업 실태, 실업의 원인 그리고 기업에서 요구하는 대졸자의 직업능력과 대학에서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례를 분석ㆍ파악함으로써 향후 청년실업을 극복하기 위한 대학생의 직업능력개발 방안을 탐색ㆍ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수행되는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실업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졸자의 취업 또는 실업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청년실업률이 증가하는 원인 등을 분석ㆍ논의하고자 한다. 둘째, 직업능력개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업에서 요구하는 대졸자들의 직업능력은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직원을 채용하는 지를 알아보고 기업들은 향후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어떠한 직업능력을 어떻게 개발시켜 주기를 요구하는지를 분석ㆍ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직업능력개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최근 대학에서는 대학생들의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과 대책들을 추진하고 있는지 그 사례를 분석하고, 대학생 직업능력개발을 잘하고 있는 우수 대학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직업능력 개발 방안을 정부 차원, 대학 차원, 기업 차원, 학생 자신 차원으로 구분하여 탐색ㆍ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lans for developing occupational skills for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unemployment for young adults. The procedures taken for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we discussed reasons for rise of unemployment for young adults and analyzed the status quo of employment for college graduates. Second, we looked into the criteria factors that corporate uses in hiring and studied their cases. We also analyzed what kind of occupational skills that corporate want universities to focused on their students. Third, we analyzed case studies on what universities are doing and how they plan to alleviate the problems of unemployment then proposed universities that have good programs. Fourth, we proposed integrated plans for developing occupational skills for government, university, corporate and the students themselves. ...
<표 Ⅱ-1> 청년층(15-24세) 고용지표의 국제비교: 2000년․12 <표 Ⅱ-2> 연도별 청년층 실업률 추이․14 <표 Ⅱ-3> 청년층 경제활동현황․15 <표 Ⅱ-4> 연도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15 <표 Ⅱ-5> 연도별 교육정도별 실업률 추이․16 <표 Ⅱ-6> 취업률(1995~2003)의 추이․19 <표 Ⅱ-7> 청년실업자의 구직기간(분포와 평균기간)․19 <표 Ⅱ-8> 청년층의 구직경로․20 <표 Ⅱ-9> 청년층의 취업경로․21 <표 Ⅱ-10> 청년층 중 임금근로자의 종사상 지위․22 <표 Ⅱ-11> 직업별 청년층 취업자의 분포․23 <표 Ⅱ-12> 청년층 취업자의 일과 전공 일치정도․24 <표 Ⅱ-13> 대학이상 졸업생 현황․25 <표 Ⅱ-14> 기업의 인재 채용현황․27 <표 Ⅱ-15> 300인 이상 대기업에서의 청년층 취업현황․27 <표 Ⅱ-16> 청년층 취업자 비중의 변화․28 <표 Ⅱ-17> 신입사원 합격에 가장 중요한 요인․29 <표 Ⅱ-18> 대기업․중소기업간 근무조건 비교(月평균)․32 <표 Ⅱ-19> 학교를 마친 청년 실업자의 구직 제의 여부 및 미취업 사유․33 <표 Ⅲ-1> 삼성전자 채용 절차․41 <표 Ⅲ-2> 포스코 채용절차․44 <표 Ⅲ-3> SK 채용 절차․47 <표 Ⅲ-4> 신세계 채용절차․50 <표 Ⅲ-5> CJ 채용절차․52 <표 Ⅲ-6> 한화 채용절차․54 <표 Ⅲ-7> 한화 채용시험모형․56 <표 Ⅲ-8> 한국전력공사 채용절차․58 <표 Ⅲ-9> 한국전력공사 시험유형․59 <표 Ⅲ-10> SK 채용절차․60 <표 Ⅲ-11> 현대·기아자동차 채용절차․62 <표 Ⅲ-12> 각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의 소양과 자질․66 <표 Ⅲ-13> 전형 단계별 평가 요소․67 <표 Ⅲ-14> 서류전형 주요 평가 항목․68 <표 Ⅲ-15> 각 기업의 시험․69 <표 Ⅲ-16> 기업의 인․적성 검사․69 <표 Ⅲ-17> 각 기업별 면접 방법․70 <표 Ⅲ-18> 전경련의 3개 실천과제․72 <표 Ⅲ-19> 주요 기업의 인재 육성을 위한 제안 사항․73 <표 Ⅳ-1> 산학협동교육의 유형․77 <표 Ⅳ-2> 맞춤식 교육을 실시하는 대학․80 <표 Ⅳ-3> 만도트랙 참가자 선발 기준․82 <표 Ⅳ-4> 경북대학교 샌드위치 교육과정 운영절차 및 방법․86 <표 Ⅳ-5> 경북대학교 샌드위치 교육과정 참여 학생 수(명)․87 <표 Ⅳ-6> 경희대학교 호텔대학 인턴십 프로그램․90 <표 Ⅳ-7> 경희대학교 호텔대학 인턴십 전공프로그램․91 <표 Ⅳ-8> 고려대학교 국제 인턴십의 교육프로그램 내용(2004년)․92 <표 Ⅳ-9> 고려대학교 국제 인턴십 참여 학생의 선발기준․92 <표 Ⅳ-10>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인턴십 프로그램 결과 도움이 된 부분․93 <표 Ⅳ-11> 영남대학교 인턴십 프로그램․95 <표 Ⅳ-12> 영남대학교 인턴십 프로그램 과정(2004년 상반기)․96 <표 Ⅳ-13> 이화여대 인턴십 일정․98 <표 Ⅳ-14> 이화여대 경력개발센터 인턴십 사전교육프로그램․98 <표 Ⅳ-15> 인턴채용인원 및 채용률, 탈락률․100 <표 Ⅳ-16> 각 대학 취업지원부서 예산현황․102 <표 Ⅳ-17> 지방국립대학교 취업정보실 실태조사․103 <표 Ⅳ-18> 직업선택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104 <표 Ⅳ-19> 취업지원담당 부서장의 신분․105 <표 Ⅳ-20> 4년제 대학들의 진로과목 개설 현황(N=42)․114 <표 Ⅳ-21> 각 대학 취업관련 강좌 실시 현황․115 <표 Ⅳ-22> 경희대학교 취업관련 강좌․117 <표 Ⅳ-23> 경희대학교 취업스쿨 정원․118 <표 Ⅳ-24> 고려대학교 프레젠테이션 교양과목 강의내용․119 <표 Ⅳ-25> 고려대학교 10월 취업특강․120 <표 Ⅳ-26> 전국 6개 대학 졸업준비위원회 현황․128 <표 Ⅴ-1> 2005학년도 대입정원 조정 내용․134 <표 Ⅴ-2> 설립별 대입정원 조정 내용․134 <표 Ⅴ-3> 지역별 대입정원 조정 내용․135 <표 Ⅴ-4> 최근 5년 간 정원변동 현황․135 <표 Ⅴ-5> 대학 졸업자 취업률 현황․148 <표 Ⅴ-6> 졸업인증제를 도입한 대학․153 [그림 Ⅱ-1] 취업률 변화․1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청년실업문제해결을 위한 대학생 직업능력개발 방안 | 2004.07.08~2004.12.2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