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2005)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저자
최지희 박기성 채창균 홍선이 민주홍 김승연 손희전 김경민 최기산 김용민
분류정보
기본사업(2005-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5.12.31
등록일
2005.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HCCP
요 약
제1장  2005 사업개요 
 제1절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의 의의 1
   1. 조사의 의의 1 
   2.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의 개요 2
   3. 조사결과의 정책적 활용 2
 제2절  2차년도(2005) 사업의 주요 내용 3
   1. 파일럿 조사 실시 3 
   2. 정부 공식통계 승인 취득 3
   3. 노동부와 공동조사 실시 추진 4
   4. 설문지 및 표본설계 보완 4 
   5. 본조사 업체 선정 및 계약체결 5
   6. 실사에 대비한 기타 준비 5
   7. 본조사 실시 6
제2장  2차년도 사업의 주요 내용
 제1절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2005) 조사 설계 9
   1. 설문지 설계 9
   2. 표본 설계 17
   3. 조사표 27
 제2절  본조사 준비 30
   1. 조사업체 선정 30
   2. 통계청 승인 획득 및 과제명칭 변경 37
   3. 본조사 성공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41
 제3절  실사(본조사) 47
   1. 조사의 진행과정 47
   2. 조사를 위한 준비 49
   3. 실사 추진 현황 55
   4. 실사의 질을 높이기 위한 대처 방안 59
   5. 향후 대책 62
 제4절  인적자본 지표(Human Capital Index) 개발 63
   1. HCI의 중요성 63
   2. HCI에 관한 기존 연구 64
   3. HCI의 개발 모형 66
   4. 인적자본지표(Human Capital Index: HCI) 목록 68
제3장  향후 추진 과제
SUMMARY 73
<부록 1> 조사표(제조업용) 79
<부록 2>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 설문지(제조업용) 87
<부록 3> 노동부 지방관서 워크숍 자료 143
<부록 4> 인적자본지표(Human Capital Index: HCI) 목록 165
참고문헌 191
  본 연구사업은 한국의 기업이 지닌 인적자원을 파악하고, 기업들이 인적자원개발에 기울이는 노력, 그리고 이같은 기업의 인적자원 및 인적자원개발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구축을 목표로 시작됨.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2005)'는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2004)'에 이은 계속과제로서 2004년도에 설계를 마친 설문지와 표본설계 및 조사방법을 기초로 파일럿 조사 및 본조사를 거쳐 기업 패널 DB 1차 wave를 구축하는 것을 연구사업 목표로 함.
  The quantity and quality of human capital possessed by a corporate is a key indicator for its competitiveness. Human resources of firms are playing a ever more important role as firms face with such changes as  rapid technological progress and changes in consumer demand.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HCCP) has been launched with an objective to build up panel data which enables to measure the level of human resources of firms and the efforts of firms both at the firm level and the worker level as well as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nd the performance of firms. This panel survey is expected to fill the gap given the serious shortage when it comes to the data to measure human capital of firms and their employee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performance of firms. 
  In 2004, the survey design has been prepared including the questionnaires on firms, establishments, and their employees and the sampling design. Starting in June 2005, based the survey design developed in 2004, data collection has been made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irms, their HRM and HRD practices, their employee profiles, and IR practices. For firms selected, similar data have been collected for establishments. For the employee survey, teams within the firm which represent the overall function of the firm including the management & administration and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 have been selected. Within each team selected, the head of the team and several teammates have been selected to be surveyed. 
  In total, 450 firms have been surveyed along with approximately 13,000 workers who are team leaders and teammates within the firm.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ent through November 2005. 
  To make the data collection of firms successful which are known to be difficult, special efforts have been made.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as a joint effort between KRIVET and the Ministry of Labour(MOE)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sponse rate of firms. In addition, such organizations by firm owners as Korea Chamber of Commerce(KCC) and Managers Organization supported the survey either by encouraging firms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or by providing useful data.
  So far, data collection has been made successfully on 450 firms and 13,000 workers. Data collected still needs to go through validation process in which firms and employee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will be contacted to verify the answers that are proven incomplete or incorrect. The 1st wave of HCCP still has the following process left to go though before fully completed...
<표 Ⅱ-1> 기업(본사 및 사업장) 설문의 파트별 조사대상(응답자) ․10
<표 Ⅱ-2> 업종별 근로자 조사대상․11
<표 Ⅱ-3> 업종별 설문지의 구성(제조, 금융, 비금융서비스)․12
<표 Ⅱ-4> 기업(사업장) 설문의 주요 내용․14
<표 Ⅱ-4> 기업(사업장) 설문지의 주요 내용(계 속)․15
<표 Ⅱ-5> 근로자 설문지 - 관리직 팀장 및 팀원(업종 공통)․16
<표 Ⅱ-6> 근로자 설문지 - 생산직감독자 및 근로자(제조업의 경우)․17
<표 Ⅱ-7> 업종별 표본규모․20
<표 Ⅱ-8> 업종별(중분류)별․21
<표 Ⅱ-9> 규모별 표본규모․21
<표 Ⅱ-10> 기업형태별 표본규모․22
<표 Ⅱ-11> 업종별 규모별․23
<표 Ⅱ-12> 업종별・기업형태별․24
<표 Ⅱ-13> 업종 및 규모별 기업의 관리직 근로자 조사규모․25
<표 Ⅱ-14> 생산라인, 영업소, 핵심 전문직팀 조사규모․26
<표 Ⅱ-15> 업종별로 추출될 관리직 팀장 수(규모별)․28
<표 Ⅱ-16> 용역업체 선정 일정․30
<표 Ⅱ-17> 용역입찰공고안․33
<표 Ⅱ-18> 기술제안서 평가항목 및 배점한도․36
<표 Ⅱ-19> 과제명 변경 내역․38
<표 Ⅱ-20> 기초통계분석보고서 목차(안)․40
<표 Ⅱ-21> 노동부 협조 과정․43
<표 Ⅱ-22> 지방관서별 기업분포․46
<표 Ⅱ-23> 조사표 조사의 진행 상황(2005. 10. 14. 현재)․57
<표 Ⅱ-24> 설문지 조사 진행 상황(2005. 10. 14. 현재)․58
<표 Ⅱ-25> 회수된 설문지 진척 상황(2005. 10. 14. 현재)․59
<표 Ⅱ-26> High Performance Work System의 측정․64
<표 Ⅱ-27> HCI의 영역별 지표의 예․65
<표 Ⅱ-28> HCI의 4개영역과 개별지수의 예․67
[그림 Ⅱ-1] 조사의 진행 과정 개요․4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2005) 2005.01.01~2006.08.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