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 시스템 운영(Ⅲ)
Establishment of a Teaching-Learning Metho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s(3)
- 저자
- 김선태 정향진 전종호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05-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12.31
- 등록일
- 2005.12.31
요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사업의 목적 3 제2절 사업 내용 3 제3절 사업 추진 방법 및 절차 4 1. 사업 방법 4 2. 추진 전략 6 제4절 사업의 범위와 향후 추진 예정 사업 7 제2장 사업 추진 배경 9 제1절 관련 정책 동향 분석 9 1. e-learning 발전 정책 추진 동향 9 2. e-learning 콘텐츠 QA 관련 정책 동향 10 제2절 선행 연구ㆍ사업 결과 고찰 13 1. 2004년 교수ㆍ학습 통합정보 시스템 운영 사업 13 2. KEM 20. 구축 수탁 사업 15 제3장 Cylearn 운영 서비스 보완 및 공유체제 확립 사업 추진 현황 및 결과 19 제1절 Cylearn 운영 현황 분석 19 1. 웹로그 분석 19 2. Cylearn 이용 현황 분석 22 제2절 Cylearn 운영 서비스 보완 29 1. Cylearn 인터페이스 및 디자인 개선 29 2. Cylearn One-Stop 콘텐츠 제공을 위한 서비스 체제 구축 33 3. Cylearn 탑재 e-learning 콘텐츠의 질 관리를 위한 평가 결과 42 제3절 공유 체제 KEM 2.0 적용 운영 48 1. KEM 2.0 등록 초기 안내창 48 2. 공유체제 자료실(KEM 2.0 일괄 자료실) 50 3. 시스템 개발 및 화면 설계 내역 52 제4장 Cylearn 사용자 만족도 설문 조사 57 제1절 설문 조사의 개요 57 1. 조사 배경 및 목적 57 2. 조사 대상 및 방법 57 제2절 설문 조사지의 개발 58 1. 2004년도 Cylearn 시험 운영 설문 조사 분석 58 2. 조사 영역 및 항목 61 제3절 설문 조사 결과 분석 62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62 2. 조사 영역별 결과 분석 63 3. 시사점 72 제5장 Cylearn 운영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사업 추진 현황 및 결과 75 제1절 추진 계획 및 내용 75 1. 추진 계획 75 2. 추진 내용 및 일정 77 제2절 추진 과정 79 1. 학교 및 시ㆍ도 단위의 Cylearn 적용 모니터링 위원 선정 79 2. 시ㆍ도 단위 Cylearn 활용 자료 개발 81 제3절 추진 결과 101 1. 시ㆍ도별 로드쇼 개최 결과 101 2. 로드쇼 만족도 조사 결과 115 제6장 e-learning 교수ㆍ학습 콘텐츠 질 관리 방안 탐색 131 제1절 질 관리 체제 도입의 필요성 131 1. e-L 환경 변화와 QA 필요성 대두 131 2. e-L 비전 134 3. 질 관리 목표 135 제2절 e-learning 질 관리 체제 구축 방향 135 1. 질 관리 기구(QAC) 설치의 필요성 135 2. QAC 관련 정책 분석 137 3. e- L QA 관련 기관 현황 150 제3절 시사점 및 e-learning 질 관리 과제 161 1. 시사점 161 2. 질 관리 과제 및 제언 164 제7장 Cylearn 시스템 인프라 구축 및 유지 보수 내역 167 제1절 교수ㆍ습 통합정보 시스템 운영 환경 개선 167 제2절 교수ㆍ학습 통합정보 시스템 유지 관리 171 제8장 사업 결과 종합 및 제언 175 제1절 사업결과 종합 175 제2절 제 언 182 참고 문헌 185 부 록 189
본 사업의 목적은 Cylearn(교수-학습 지식 포털 사이트)의 활성화를 통해 직업교육현장의 수업 내실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cylearn 운영 서비스 보완을 위해 인터페이스, 디자인, IT 인프라 등을 개선하고, one-stop 콘텐츠 제공 서비스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KEM 2.0 적용을 통해 전국시도 및 단위학교 차원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cylearn 만족도 조사를 통해서는 콘텐츠의 양적 확대 및 수업지원 솔루션의 제공 등이 요구되었으며, 사이트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 및 모니터링 위원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사업추진 주요결과로는 cylearn의 로그분석 결과 전체 페이지 뷰가 402,474회로 나타났으며, 총 방문자수는 11,038을 기록하였다. 콘텐츠 이용자는 53,427명이였으며, 주중 하루 평균 방문자수는 760명으로 분석되었다. cylearn 운영활성화를 위한 로드쇼는 1단계로 시·도별로 33개 학교에서 실시되었으며, 2단계로 결과공유를 위해 11개 시·도 교육청별로 실시되었다. e-learning 교수-학습 콘텐츠 질관리를 위한 방안 탐색에서는 미국,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싱가폴, 캐나다, 영국 등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표준화된 기준과 도구의 개발 및 체계적 관리 시스템 도입 등이 제시되었다.
<표 Ⅰ-1> Cylearn 구축 과정과 향후 추진 예정 road-map•8 <표 Ⅲ-1> 로그 분석기의 기능•21 <표 Ⅲ-2> 전체 통계 결과•23 <표 Ⅲ-3> 방문자의 방문 횟수 통계표•23 <표 Ⅲ-4> 요일별 페이지 뷰 통계표•24 <표 Ⅲ-5> 기록 통계•25 <표 Ⅲ-6> Cylearn 콘텐츠 내용별 조회 현황 종합표•26 <표 Ⅲ-7> Cylearn 내용 및 검색방법•33 <표 Ⅲ-8> e-Learning 콘텐츠 평가 내용(프로그래밍 교과목 평가를 대상으로 한 예시 자료)•42 <표 Ⅲ-9> Cylearn 질 관리를 위한 e-learning 콘텐츠 평가 결과•44 <표 Ⅲ-10> e-learning 콘텐츠 평가 종합 의견서•45 <표 Ⅳ-1> 소속 기관별 회수율•58 <표 Ⅳ-2> 2004년 Cylearn 설문지의 구성 영역 및 내용•60 <표 Ⅳ-3> 2005년도 만족도 설문 조사지의 구성 영역 및 내용•62 <표 Ⅳ-4> Cylearn 활성화를 위한 우선 수행 과제•72 <표 Ⅴ-1> 시․도 교육청별/단위 학교별 공개 수업 일정 예정안•77 <표 Ⅴ-2> 시 ․도별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참석(예정) 현황 종합표•101 <표 Ⅴ-3> 시․도별 cylearn 교수․학습 콘텐츠 적용 효과 종합표•102 <표 Ⅴ-4> 시․도별 cylearn 교수․학습 콘텐츠 건의사항 또는 제안 내용 종합표• 103 <표 Ⅴ-5> 대구광역시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04 <표 Ⅴ-6> 인천시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05 <표 Ⅴ-7> 대전광역시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06 <표 Ⅴ-8> 울산시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07 <표 Ⅴ-9> 경기도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08 <표 Ⅴ-10> 충청북도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09 <표 Ⅴ-11> 충청남도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10 <표 Ⅴ-12> 전라북도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11 <표 Ⅴ-13> 경상북도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12 <표 Ⅴ-14> 경상남도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13 <표 Ⅴ-15> 제주도 교육청 cylearn 활성화를 위한 로드쇼 결과표•114 <표 Ⅴ-16> 시․도별 로드쇼 만족도 조사지 회수율•116 <표 Ⅴ-17> 로드쇼 만족도 설문지의 구성 영역 및 내용•117 <표 Ⅴ-18> 만족도 조사 통계 결과•118 <표 Ⅴ-19> 만족도 조사 통계 결과(계속)•119 <표 Ⅴ-20> 발표회 참석 동기•121 <표 Ⅴ-21> 발표회의 직업교육 내실화 기여도•122 <표 Ⅴ-22> 실고 혁신방안, 최신교수․학습사례 프로그램 만족도•123 <표 Ⅴ-23> 현장 교사의 공개수업 결과 발표 내용 만족도•124 <표 Ⅴ-24> 발표회 장소, 자료, 진행 일정, 시간 만족도•125 <표 Ⅴ-25> 발표회 재참석 여부•126 <표 Ⅴ-26> 발표회 추천 여부•126 <표 Ⅴ-27> Cylearn 인지도•127 <표 Ⅴ-28> Cylearn 콘텐츠 사용 경험 여부•128 <표 Ⅵ-1> 부처별 역할 분담(안)•136 <표 Ⅵ-2> 중국의 질 관리 평가 시스템 성과와 문제점•144 <표 Ⅵ-3> 인도네시아의 교육정책과 질 관리 방향•146 <표 Ⅵ-4>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콘텐츠 평가 기준표•150 <표 Ⅵ-5> 직업훈련 기관 평가 방법별 세부내용•152 <표 Ⅵ-6> 평가 기준표•153 <표 Ⅵ-7> e-l 콘텐츠 평가를 위한 일반적 기준•155 <표 Ⅵ-8> Guiding Principles 기준•156 <표 Ⅵ-9> E-Learning Quality Assurance 기관 비교표•158 <표 Ⅵ-10> ECC (e-Learning Competency Centre) 조직 구성표•160 <표 Ⅶ-1> 현 시스템 아키텍처 대비 향후 변경 아키텍처•168 <표 Ⅶ-2> 현 Cylearn 서버 사용 현황•168 <표 Ⅶ-3> 세부 H/W 및 S/W 내역•168 <표 Ⅶ-4> H/W 및 S/W 업그레이드 세부 추진 일정•170 [그림 Ⅲ-1] 웹트렌드 로그 분석 구성도•20 [그림 Ⅲ-2] 웹로그 분석을 통하여 생성한 리포트 예(방문자 수)•20 [그림 Ⅲ-3] 웹로그 분석을 통하여 생성한 리포트 예(재방문 기간)•22 [그림 Ⅲ-4] Cylearn 시작 화면•30 [그림 Ⅲ-5] Cylearn 메인 하위 화면•31 [그림 Ⅲ-6] Cylearn 아이콘 시리즈•32 [그림 Ⅲ-7] 공업 입문 교과 One-Stop e-learning 콘텐츠 서비스 화면•34 [그림 Ⅲ-8] 기초 제도 교과 One-Stop e-learning 콘텐츠 서비스 화면•35 [그림 Ⅲ-9] 식품과 영양 교과 One-Stop e-learning 콘텐츠 서비스 화면•36 [그림 Ⅲ-10] 상업 경제 교과 One-Stop e-learning 콘텐츠 서비스 화면•37 [그림 Ⅲ-11] 농업 정보 관리 교과 One-Stop e-learning 콘텐츠 서비스 화면•38 [그림 Ⅲ-12] 디자인 일반 교과 One-Stop e-learning 콘텐츠 서비스 화면•40 [그림 Ⅲ-13] 프로그래밍 교과 One-Stop e-learning 콘텐츠 서비스 화면•41 [그림 Ⅲ-14] KEM 2.0 등록 초기 안내창 목록•49 [그림 Ⅲ-15] KEM 2.0 등록 초기 안내창 내용•49 [그림 Ⅲ-16] KEM 2.0 등록창•50 [그림 Ⅲ-17] KEM 2.0 공유체제 자료실•50 [그림 Ⅲ-18] KEM 2.0 공유체제 자료실 내용•51 [그림 Ⅲ-19] KEM 2.0 공유체제 표준 웹 입력기•52 [그림 Ⅲ-20] 중앙 교수․학습 센터 통합 검색창•52 [그림 Ⅲ-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의 검색 결과 출력 보기•53 [그림 Ⅲ-22] 검색결과 상세 화면창•54 [그림 Ⅲ-23] 첨부 파일 화면창•55 [그림 Ⅲ-24] KEM 2.0 서비스 구조도•56 [그림 Ⅳ-1] 응답자의 이러닝 교육․연수 여부•63 [그림 Ⅳ-2] 응답자의 이러닝 활용 수업 경험 여부•63 [그림 Ⅳ-3] 실고 관계자의 Cylearn 인지도•64 [그림 Ⅳ-4] Cylearn 주요 접속 경로•65 [그림 Ⅳ-5] Cylearn 활용 정도•65 [그림 Ⅳ-6] Cylearn 운영 취지와 메뉴 구성의 적합도•66 [그림 Ⅳ-7] Cylearn에서 수정․보완이 필요한 메뉴•66 [그림 Ⅳ-8] Cylearn에서 추가로 제공해 주기를 바라는 기능•67 [그림 Ⅳ-9] 이러닝 콘텐츠의 양적․질적 만족도•68 [그림 Ⅳ-10] 이러닝 콘텐츠 활용 수업의 학업성취도 만족도•68 [그림 Ⅳ-11] 이러닝 콘텐츠를 수업 활용상의 애로 사항•69 [그림 Ⅳ-12] 교수․학습 지원 자료의 양적․질적 만족도•70 [그림 Ⅳ-13] 개편된 Cylearn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70 [그림 Ⅳ-14] Cylearn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71 [그림 Ⅳ-15] Cylearn 활성화를 위한 우선 수행과제•72 [그림 Ⅵ-1] e-평생학습 국가건설 개념도•134 [그림 Ⅵ-2] 표준기술 개발 절차•136 [그림 Ⅵ-3] e-learning 수요․공급의 악순환 구조•138 [그림 Ⅵ-4] 2004년 e-l 기관 QA 방법•151 [그림 Ⅵ-5] 싱가폴 내 e-learning QA 기관 조직도•160 [그림 Ⅶ-2] Web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17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운영(Ⅲ) | 2005.01.01~2005.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