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발굴 보급(2005)

The Best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in Vocational Education(2005)
저자
장명희 변숙영
분류정보
기본사업(2005-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5.12.31
등록일
2005.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연구대회우수사례실업계 고등학교전문대학
요 약
제1장  사업 개요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사업 내용 2
 제3절  사업 추진 방법 4
제2장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방법 동향 및 이전 추진 대회 성과 분석
 제1절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방법 동향 9
 제2절   이전 추진 대회 성과 분석 17
 제3절  이전 추진 대회의 운영 체제 평가 및 개선 요구 21
제3장  사업 추진 내용
 제1절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연구대회 운영 체제 정비 및 협력 체제 구축 37
 제2절  출품작 작성 지침 개발 및 연구대회 개최 공지 50
 제3절  교수ㆍ학습 연구대회 심사 절차 및 심사 기준 54
 제4절  교수ㆍ학습 연구대회 심사 및 우수 사례 선정 59
 제5절  우수 사례 보급 93
 제6절  2005년 직업교육 교수ㆍ학습 우수 사례 발굴ㆍ보급 사업에 대한 자체 평가 96
제4장  사업 요약 및 제언
 제1절   사업 요약 101
 제2절  제언 105
<부록 1> 제5회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ㆍ학습 연구대회 안내 109
<부록 2> 제4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 학습 연구대회 안내 125
<부록 3> 수상 작품별 심사평 요지 142
<부록 4> 대회 운영 관련 설문지  180
<부록 5> 제5회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ㆍ학습 연구대회 수상작의 현장 실천 효과 185
<부록 6> 제4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ㆍ학습 연구대회 수상작의 현장 실천 효과 188
참고문헌 191
  2005년 사업은 연속 사업으로, 직업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방법 우수 사례 발굴보급의 정착기로서 기틀을 갖추고 직업교육 교수학습 개선 방향을 효과적으로 선도하는 데 중점을 둠. 이를 위해 앞서 추진해 온 직업교육 교수학습 대회의 성과와 현장의 최신 동향을 분석하고 운영 체제를 정비하여 교수학습 우수 사례를 체계적으로 발굴보급하고자 하였는데, 구체적인 사업 목적은 다음과 같음.
  첫째,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우수 사례 발굴 사업의 운영 체제 확립을 통해 직업교육 교수학습 개선 방향을 선도하고자 함.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교육 특성 및 학습자 특성에 적합한 창의적이고 실천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을 발굴함.
  셋째, 교원들의 수업 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교수학습 우수 사례를 현장에 보급 및 전파함.
  넷째,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를 통해 우수 사례를 발굴포상함으로써 교원들의 사기 진작을 도모함.
<표 Ⅱ-1>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의 출품작 특성 및 우수 사례․11
<표 Ⅱ-2>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의 출품작 특성 및 우수 사례․14
<표 Ⅱ-3> 실업계 고등학교 분야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운영 현황․18
<표 Ⅱ-4> 전문대학 분야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대회 운영 현황․19
<표 Ⅱ-5> 조사 대상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담당 교과․22
<표 Ⅱ-6> 대회 개최 관련 정보의 출처․23
<표 Ⅱ-7> 대회 관련 정보 획득의 만족도․24
<표 Ⅱ-8> 대회에 참여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24
<표 Ⅱ-9> 대회에 참가한 결과가 본인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25
<표 Ⅱ-10> 본인의 대회 참여 결과가 소속한 학교 및 동료 교원들의 수업 개선과 사기 진작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26
<표 Ⅱ-11> 연구대회 특전의 만족도․27
<표 Ⅱ-12> 교수․학습 우수 사례의 활용 여부․27
<표 Ⅱ-13> 향후 교수․학습 연구대회의 개선점(5점 척도)․28
<표 Ⅱ-14> 조사 대상 전문대학 교수들의 일반적 특성․29
<표 Ⅱ-15> 대회 개최 관련 정보의 출처․30
<표 Ⅱ-16> 대회 관련 정보 획득의 만족도․31
<표 Ⅱ-17> 교수․학습 연구대회에 참여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31
<표 Ⅱ-18> 대회에 참가한 결과가 본인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32
<표 Ⅱ-19> 본인의 대회 참여 결과가 소속한 학교 및 동료 교원들의 수업 개선과 사기 진작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33
<표 Ⅱ-20> 연구대회 특전의 만족도․34
<표 Ⅱ-21> 교수․학습 우수 사례의 활용 여부․34
<표 Ⅱ-22> 향후 교수․학습 연구대회의 개선점(5점 척도)․35
<표 Ⅲ-1> 시․도 대회 및 전국대회의 운영․40
<표 Ⅲ-2> 출품 자격․40
<표 Ⅲ-3>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각 기관별 역할․46
<표 Ⅲ-4> 제4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운영 방법 및 연구 방향․47
<표 Ⅲ-5> 출품작 제출 서류․50
<표 Ⅲ-6>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 개최 관련 홈페이지 안내문․52
<표 Ⅲ-7> 전국 전문대학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 개최 관련 홈페이지 안내문․53
<표 Ⅲ-8> 연구대회 심사 방법 ․54
<표 Ⅲ-9> 서류 심사 기준․55
<표 Ⅲ-10> 서류 심사 기준표․56
<표 Ⅲ-11> 현장 심사 기준․57
<표 Ⅲ-12> 현장 심사 기준표․58
<표 Ⅲ-13> 제5회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 출품작․60
<표 Ⅲ-14> 제4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출품작․64
<표 Ⅲ-15> 제5회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 위촉 심사위원 명단․68
<표 Ⅲ-16> 제4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위촉 심사 위원 명단․69
<표 Ⅲ-17> 제5회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 심사 일정 및 현황․70
<표 Ⅲ-18> 제5회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 심사 결과․72
<표 Ⅲ-19> 제3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심사 일정 및 현황․76
<표 Ⅲ-20> 제4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심사 결과․78
<표 Ⅲ-21>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우수 사례 선정작(21편)의 현장 실  천효과․82
<표 Ⅲ-22> 전문대학 교수․학습 우수 사례 선정작(19편)의 현장 실천 효과․83
<표 Ⅲ-23> 충청남도 교육청의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주요 지원 내용․84
<표 Ⅲ-24>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개선을 위한 주요 사례․86
<표 Ⅲ-25> 대덕대학의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주요 지원 사업 내용(2003~2005)․88
<표 Ⅲ-26> 수원여자대학의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주요 지원 사업 내용․92
[그림 Ⅲ-1]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 추진체제별 역할 ․39
[그림 Ⅲ-2] 제5회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연구대회 담당자별 추진 내용․43
[그림 Ⅲ-3]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추진 체제별 추진 내용․45
[그림 Ⅲ-4] 제4회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 연구대회 담당자별 추진 내용․49
[그림 Ⅲ-5] Cylearn 홈페이지에 탑재한 직업교육 교수․학습 우수 사례․9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발굴 보급(2005) 2005.01.01~200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