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1> 주요국의 실업률(2002년)․7
<표 Ⅱ-2> 청년실업자의 학력별 추이․8
<표 Ⅱ-3> 청년층 졸업․중퇴자의 경제활동상태․9
<표 Ⅱ-4> 청년층 졸업․중퇴자 중 임금근로자의 첫 취업 소요기간: 분포와 평균기간․10
<표 Ⅱ-5> 4년제 대학 졸업생수․12
<표 Ⅱ-6> 전문대학 졸업생수․13
<표 Ⅱ-7> 대학 진학률 추이․13
<표 Ⅱ-8> 교원 1인당 학생수․14
<표 Ⅱ-9> 기업이 바라는 대학 교과과정 추가 필요성 여부․14
<표 Ⅱ-10> 규모별 신입사원 1인당 평균 교육훈련비 지출 추이․15
<표 Ⅱ-11> 현재임금과 의중임금․18
<표 Ⅱ-12> 지난 주에 직장(일)을 구했으나 취업이 되지 않은 이유․18
<표 Ⅱ-13> 주요 기업(30대 대기업․공기업 및 금융기관)의 경력직 채용 추이․19
<표 Ⅱ-14> 주요 기업(30대 대기업․공기업 및 금융기관)의 취업자 수 추이․20
<표 Ⅱ-15> 청년층취업자수 변화의 분해 결과(산업, 1985-2000년)․22
<표 Ⅱ-16> 청년층취업자수 변화의 분해 결과(직종, 1985-2000년)․22
<표 Ⅱ-17> 사업체 규모별 인력부족 현황(2004년)․24
<표 Ⅱ-18>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근로조건 비교(월평균)․24
<표 Ⅲ-1> 응답자의 특성․27
<표 Ⅲ-2> 취업에 대한 대학교육의 역할․28
<표 Ⅲ-3> 취업에 대한 대학교육의 역할․28
<표 Ⅲ-4> 대학교육을 받는 것이 취업준비에 도움이 되는 정도․29
<표 Ⅲ-5>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 취업에 도움되는 정도․29
<표 Ⅲ-6> 교수의 수업진행방식이 취업에 도움되는 정도․30
<표 Ⅲ-7> 취업문제에 대한 심각성 인식․30
<표 Ⅲ-8> 스스로의 취업준비노력에 대한 만족도․31
<표 Ⅲ-9> 졸업 후 취업 때까지 걸리는 예상 준비기간․33
<표 Ⅲ-10> 군 입대 이외의 이유로 휴학경험 또는 휴학계획 유무․33
<표 Ⅲ-11> 휴학기간 동안의 계획․34
<표 Ⅲ-12> 취업준비를 위한 학원 등의 교육여부․35
<표 Ⅲ-13> 진로 상담 경험․35
<표 Ⅲ-14> 상담경로․36
<표 Ⅲ-15> 학년별 상담경로․37
<표 Ⅲ-16> 졸업 후 진로희망․38
<표 Ⅲ-17> 희망하는 구체적 직장선정 유무․38
<표 Ⅲ-18> 취업을 위한 특정시험 준비여부․39
<표 Ⅲ-19> 준비하는 시험 종류(복수선택가능)․39
<표 Ⅲ-20> 취업 준비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정도․40
<표 Ⅲ-21> 취업준비에 가장 필요한 정보(복수응답)․41
<표 Ⅲ-22> 급여가 작아도 일에 보람 느끼면 취업할지 여부․42
<표 Ⅲ-23> 급여가 작아도 직장이 안정적이면 취업할 지 여부․42
<표 Ⅲ-24> 한번 입사하면 평생 근무한다는 생각․43
<표 Ⅲ-25> 남들이 알아주지 않는 직장이라면 취업하지 않겠다․43
<표 Ⅲ-26> 중소기업이라도 미래가 밝다면 취업하겠다․44
<표 Ⅲ-27> 비정규직이라도 일을 배울 수 있다면 취업하겠다․44
<표 Ⅲ-28> 취업준비를 위한 필요 정보 보유 정도․47
<표 Ⅲ-29> 취업준비 노력에 대한 만족도․49
<표 Ⅳ-1> 대학의 교육 충실도․55
<표 Ⅳ-2>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56
<표 Ⅳ-3> 대학 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60
<표 Ⅳ-4> 대학 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전공계열별)․62
<표 Ⅳ-5> 대학 졸업 당시의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64
<표 Ⅳ-6> 대학 졸업 당시의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전공계열별)․65
<표 Ⅳ-7> 대학 졸업 당시의 외국어 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67
<표 Ⅳ-8> 대학 졸업 당시의 외국어 능력 수준(전공계열별)․68
<표 Ⅳ-9> 전공 재선택․70
<표 Ⅳ-10> 대학 재선택․71
<표 Ⅳ-11> 선택할 대학 유형․72
<표 Ⅳ-12> 대학교육의 학문기초능력과 직업능력 형성에의 도움도․73
<표 Ⅳ-13> 대학이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74
<표 Ⅳ-14> 대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75
<표 Ⅳ-15>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76
<표 Ⅳ-16>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78
<표 Ⅳ-17> 직업기초능력의 괴리 정도․80
<표 Ⅳ-18> 배경변인과 졸업 후 계속교육훈련 참여․85
<표 Ⅳ-19> 취업상태와 계속교육훈련참여․86
<표 Ⅳ-20> 대학교육만족도 및 별도교육훈련의 필요성과 교육훈련참여․87
<표 Ⅳ-21> 로짓분석을 위한 변수의 정의․88
<표 Ⅳ-22> 계속교육훈련참여 결정요인에 대한 이항로짓 분석결과․90
<표 Ⅳ-23> 계속교육훈련 비용부담의 주체․92
<표 Ⅳ-24> 계속교육훈련의 근무시간 중 이수여부․93
<표 Ⅳ-25> 계속교육훈련의 이수목적․95
<표 Ⅴ-1> 성별 정규직 취업 여부․103
<표 Ⅴ-2> 대학특성과 정규직 취업 여부․103
<표 Ⅴ-3> 전공특성과 정규직 취업 여부․104
<표 Ⅴ-4>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정규직 취업․106
<표 Ⅴ-5>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분석결과(식(1))․111
<표 Ⅴ-6>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2))․111
<표 Ⅴ-7>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3))․112
<표 Ⅴ-8> 성별 하향 취업 여부․114
<표 Ⅴ-9> 대학특성과 하향취업․115
<표 Ⅴ-10> 전공특성과 하향취업․116
<표 Ⅴ-11>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하향취업․117
<표 Ⅴ-12>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1))․121
<표 Ⅴ-13>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2))․121
<표 Ⅴ-14>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3))․122
<표 Ⅴ-15> 성별 전공 취업 여부․123
<표 Ⅴ-16> 대학특성과 전공취업․124
<표 Ⅴ-17> 전공특성과 전공취업․124
<표 Ⅴ-18>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전공취업․126
<표 Ⅴ-19>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 결과(식(1))․129
<표 Ⅴ-20>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 결과(식(2))․129
<표 Ⅴ-21>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 결과(식(3))․130
<표 Ⅴ-22> 대학 유형별 전공일치 취업률․132
<표 Ⅴ-23> 성별, 연령별, 지역별 및 권역별 전공일치취업률․133
<표 Ⅴ-24> 대학 유형에 따른 계열별 전공일치취업률․135
<표 Ⅴ-25> 4년제 대학교의 학과별 취업률, 전공취업률․137
<표 Ⅴ-26> 전문대학 학과별 취업률, 전공일치취업률․142
<표 Ⅴ-27> 취업의 질과 임금수준․145
<표 Ⅴ-28> 임금함수 추정․146
<표 Ⅵ-1> 고등교육기관의 표본추출 현황․155
<표 Ⅵ-2> 변수의 정의, 평균 및 표준편차․157
<표 Ⅵ-3> 전문대학 과잉교육확률 로짓추정결과․161
<표 Ⅵ-4> 대학 로짓추정결과․162
<표 Ⅵ-5> 전문대학 임금함수 추정결과․165
<표 Ⅵ-6> 대학교 임금함수 추정결과․166
<표 Ⅵ-7> 이적경험 유무에 대한 이항로짓 추정결과․168
<표 Ⅵ-8> 첫직장과 현직장의 학력일치 상태의 이행행렬․169
<표 Ⅵ-9> 4년제 대졸자의 기업규모별 취업 상황․174
<표 Ⅵ-10> 노동이동 유형별 남녀 비율, 수도권대학 졸업생 비율 및 평균수능점수․179
<표 Ⅵ-11> 노동이동 유형별 전공분포(%)․180
<표 Ⅵ-12> 노동이동 유형별 첫직장 이행기간, 취업횟수, 실직기간․181
<표 Ⅵ-13> 첫직장으로 대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의 노동이동유형별 특성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184
<표 Ⅵ-14> 첫직장으로 중소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의 노동이동유형별 특성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187
<표 Ⅵ-15> 임금함수 추정1(수능점수 포함)․193
<표 Ⅵ-16> 임금함수 추정2(수능점수 포함)․194
<표 Ⅵ-17> 임금함수 추정3(수능점수 불포함)․195
<표 Ⅵ-18> 임금함수 추정4(수능점수 불포함)․196
<표 Ⅵ-19> 졸업 후 청년층 남성 평균 취업회수․200
<표 Ⅵ-20> 취업회수 및 이직회수․201
<표 Ⅵ-21> 취업에 따른 각 직장 근속 평균 기간․202
<표 Ⅵ-22> 대졸 청년층의 업종별, 직종별 일치 이동 여부․204
<표 Ⅵ-23> 대졸 청년층의 지역간 노동이동․206
<표 Ⅵ-24> 대졸 청년층의 출신대학 지역과 첫 직장 지역의 일치 정도․207
<표 Ⅵ-25> 지역간 이동 - 수도권 기준 이동․209
<표 Ⅵ-26> 직종 상승 이동의 추이․210
<표 Ⅵ-27> 대졸 청년들의 직장이동 요인․214
<표 Ⅵ-28> 이공계 출신 청년들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215
<표 Ⅵ-29>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216
<표 Ⅵ-30> 전공직종일치 기준 직장이동 유형에 따른 임금 수준․219
<표 Ⅵ-31> 전체 이공계 청년들의 첫 번째 직장 전공직종일치 선택 요인․220
<표 Ⅵ-32> 이공계 청년들의 전공직종일치 선택요인-두번째 직장 경험자․224
<표 Ⅵ-33> 평균임금이상자와 평균임금이하자의 전공직종일치 여부에 따른 임금 비교․226
<표 Ⅵ-34> 평균임금이상자와 평균임금하자의 전공직종일치 기준 직장이동 유형에 따른 임금 수준․227
[그림 Ⅱ-1] 실업률 추이․6
[그림 Ⅳ-1] 대학교육 만족도 국제비교․58
[그림 Ⅳ-2] 직업기초능력의 괴리 정도 국제비교․83
[그림 Ⅵ-1] 노동이동유형과 그 비율․177
[그림 Ⅵ-2] 졸업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현재 대기업 취업자의 입사경로․189
[그림 Ⅵ-3] 3차례의 직장경험시 전공직종일치 유형별 비율․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