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Ⅰ)

College to Work Transi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the Youth(Ⅰ)
저자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영 옥준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5-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5.11.30
등록일
2005.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3
제2장  청년실업의 실태와 원인
 제1절  청년실업 현황 6
 제2절  청년실업의 원인 10
   1. 질적 담보 없는 고학력화의 급전진 11
   2. 노동시장과의 연계가 미흡한 교육훈련시스템 14
   3. 청년층의 높은 눈높이 17
   4. 채용 구조의 변화 19
   5. 이중노동시장 23
제3장  대학 재학생의 취업준비 실태
 제1절  조사 개요 26
 제2절  대학교육의 취업지원 27
 제3절  대학생의 취업준비 노력 30
 제4절  대학생의 취업관 41
 제5절  대학생의 재학중 취업준비 및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45
 제6절  요약 및 시사점 50
제4장  대졸 청년층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요구
 제1절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54
   1. 대학의 교육 충실도 54
   2.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55
   3. 대학 졸업 당시의 능력 수준 59
   4. 대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68
 제2절  대학교육에 대한 요구 74
   1. 대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 74
   2.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 76
   3.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와 괴리 정도 77
 제3절  대학졸업 후의 계속교육훈련 84
   1. 대학 졸업 후 계속교육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4
   2. 계속교육훈련의 내용 91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96
제5장  대학교육과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제1절  정규직으로의 취업 102
 제2절  하향취업 113
 제3절  전공취업 123
   1. 「대졸 청년층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직업에 관한 조사」자료의 분석 123
   2. 「2005년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자료의 분석 131
 제4절  임금수준 144
 제5절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46
제6장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제1절  과잉교육과 청년층 노동이동 152
   1. 과잉교육의 정의 및 측정방법 153
   2. 자료 및 변수의 구성 154
   3. 실증분석 결과 158
   4.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70
 제2절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172
   1. 문제제기 173
   2. 기업규모별 노동이동의 유형화 173
   3. 노동이동 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 178
   4.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동 가능성 188
   5. 요약 및 시사점 197
 제3절  대졸 이공계 청년층의 노동이동 198
   1. 문제 제기 198
   2. 취업회수, 이직회수 200
   3. 직종 및 업종 이동 203
   4. 지역이동 205
   5. 직장 이동과 노동의 지위 변화 209
   6. 직장이동 요인 분석 211
   7.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전공직종일치 214
   8. 결론 228
제7장  결론
 1. 대학교육만족도 232
 2. 졸업시 능력과 노동시장 요구와의 괴리 233
 3. 대학교육과 현재의 취업성과 234
 4. 과잉교육의 문제 236
 5. 중소기업 취업 후 대기업으로의 이동 가능성 237
 6.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237
SUMMARY 239
<부록 1> 부표 249
<부록 2> 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 262
<부록 3> 대졸 청년층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직업에 관한 조사 269
참고문헌 307
  본 원에서 수행된 연구에서는 대학교육만족도 조사에 기초해서 대학교육의 실태와 이러한 실태가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청년층의 노동이동 실태를 최근 이슈 중심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교육과 노동시장 요구간의 간극을 메워주는 계속교육훈련의 실태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있다.
  한국노동경제학회에서는 대학재학생의 취업준비 실태를 중심으로, 그리고 한국교육개발원 에서는 대졸 청년층의 전공취업 문제와 관련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Data for the analyses made in this study draw on numerous sources.
  First, data from a survey of the cohort of 2001 Spring graduates has been used for analysis. In the survey, graduates have been surveyed with regard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its labor market outcomes. Second, data has been drawn from a survey of those who are enrolled in colleges in 2005. Third, a merged data of the register of 2001 Spring graduates and their records in the Employment Insurance DB has been used. Another source of data used in this study draws on the Labor Force Status Survey of 2004 graduates of Junior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ch has been conducted in another study at KRIVET. Lastly, an analysis has been made based on the Employment Statistics Survey of Graduates from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2005, which is a national survey by KEDI(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here all the graduates in 2005 are surveyed. 
  In the following, we summarize major results of analyses based on these datasets. 
...
<표 Ⅱ-1> 주요국의 실업률(2002년)․7
<표 Ⅱ-2> 청년실업자의 학력별 추이․8
<표 Ⅱ-3> 청년층 졸업․중퇴자의 경제활동상태․9
<표 Ⅱ-4> 청년층 졸업․중퇴자 중 임금근로자의 첫 취업 소요기간: 분포와 평균기간․10
<표 Ⅱ-5> 4년제 대학 졸업생수․12
<표 Ⅱ-6> 전문대학 졸업생수․13
<표 Ⅱ-7> 대학 진학률 추이․13
<표 Ⅱ-8> 교원 1인당 학생수․14
<표 Ⅱ-9> 기업이 바라는 대학 교과과정 추가 필요성 여부․14
<표 Ⅱ-10> 규모별 신입사원 1인당 평균 교육훈련비 지출 추이․15
<표 Ⅱ-11> 현재임금과 의중임금․18
<표 Ⅱ-12> 지난 주에 직장(일)을 구했으나 취업이 되지 않은 이유․18
<표 Ⅱ-13> 주요 기업(30대 대기업․공기업 및 금융기관)의 경력직 채용 추이․19
<표 Ⅱ-14> 주요 기업(30대 대기업․공기업 및 금융기관)의 취업자 수 추이․20
<표 Ⅱ-15> 청년층취업자수 변화의 분해 결과(산업, 1985-2000년)․22
<표 Ⅱ-16> 청년층취업자수 변화의 분해 결과(직종, 1985-2000년)․22
<표 Ⅱ-17> 사업체 규모별 인력부족 현황(2004년)․24
<표 Ⅱ-18>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근로조건 비교(월평균)․24
<표 Ⅲ-1> 응답자의 특성․27
<표 Ⅲ-2> 취업에 대한 대학교육의 역할․28
<표 Ⅲ-3> 취업에 대한 대학교육의 역할․28
<표 Ⅲ-4> 대학교육을 받는 것이 취업준비에 도움이 되는 정도․29
<표 Ⅲ-5>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 취업에 도움되는 정도․29
<표 Ⅲ-6> 교수의 수업진행방식이 취업에 도움되는 정도․30
<표 Ⅲ-7> 취업문제에 대한 심각성 인식․30
<표 Ⅲ-8> 스스로의 취업준비노력에 대한 만족도․31
<표 Ⅲ-9> 졸업 후 취업 때까지 걸리는 예상 준비기간․33
<표 Ⅲ-10> 군 입대 이외의 이유로 휴학경험 또는 휴학계획 유무․33
<표 Ⅲ-11> 휴학기간 동안의 계획․34
<표 Ⅲ-12> 취업준비를 위한 학원 등의 교육여부․35
<표 Ⅲ-13> 진로 상담 경험․35
<표 Ⅲ-14> 상담경로․36
<표 Ⅲ-15> 학년별 상담경로․37
<표 Ⅲ-16> 졸업 후 진로희망․38
<표 Ⅲ-17> 희망하는 구체적 직장선정 유무․38
<표 Ⅲ-18> 취업을 위한 특정시험 준비여부․39
<표 Ⅲ-19> 준비하는 시험 종류(복수선택가능)․39
<표 Ⅲ-20> 취업 준비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정도․40
<표 Ⅲ-21> 취업준비에 가장 필요한 정보(복수응답)․41
<표 Ⅲ-22> 급여가 작아도 일에 보람 느끼면 취업할지 여부․42
<표 Ⅲ-23> 급여가 작아도 직장이 안정적이면 취업할 지 여부․42
<표 Ⅲ-24> 한번 입사하면 평생 근무한다는 생각․43
<표 Ⅲ-25> 남들이 알아주지 않는 직장이라면 취업하지 않겠다․43
<표 Ⅲ-26> 중소기업이라도 미래가 밝다면 취업하겠다․44
<표 Ⅲ-27> 비정규직이라도 일을 배울 수 있다면 취업하겠다․44
<표 Ⅲ-28> 취업준비를 위한 필요 정보 보유 정도․47
<표 Ⅲ-29> 취업준비 노력에 대한 만족도․49
<표 Ⅳ-1> 대학의 교육 충실도․55
<표 Ⅳ-2>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56
<표 Ⅳ-3> 대학 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60
<표 Ⅳ-4> 대학 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전공계열별)․62
<표 Ⅳ-5> 대학 졸업 당시의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64
<표 Ⅳ-6> 대학 졸업 당시의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전공계열별)․65
<표 Ⅳ-7> 대학 졸업 당시의 외국어 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67
<표 Ⅳ-8> 대학 졸업 당시의 외국어 능력 수준(전공계열별)․68
<표 Ⅳ-9> 전공 재선택․70
<표 Ⅳ-10> 대학 재선택․71
<표 Ⅳ-11> 선택할 대학 유형․72
<표 Ⅳ-12> 대학교육의 학문기초능력과 직업능력 형성에의 도움도․73
<표 Ⅳ-13> 대학이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74
<표 Ⅳ-14> 대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75
<표 Ⅳ-15>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76
<표 Ⅳ-16>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78
<표 Ⅳ-17> 직업기초능력의 괴리 정도․80
<표 Ⅳ-18> 배경변인과 졸업 후 계속교육훈련 참여․85
<표 Ⅳ-19> 취업상태와 계속교육훈련참여․86
<표 Ⅳ-20> 대학교육만족도 및 별도교육훈련의 필요성과 교육훈련참여․87
<표 Ⅳ-21> 로짓분석을 위한 변수의 정의․88
<표 Ⅳ-22> 계속교육훈련참여 결정요인에 대한 이항로짓 분석결과․90
<표 Ⅳ-23> 계속교육훈련 비용부담의 주체․92
<표 Ⅳ-24> 계속교육훈련의 근무시간 중 이수여부․93
<표 Ⅳ-25> 계속교육훈련의 이수목적․95
<표 Ⅴ-1> 성별 정규직 취업 여부․103
<표 Ⅴ-2> 대학특성과 정규직 취업 여부․103
<표 Ⅴ-3> 전공특성과 정규직 취업 여부․104
<표 Ⅴ-4>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정규직 취업․106
<표 Ⅴ-5>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분석결과(식(1))․111
<표 Ⅴ-6>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2))․111
<표 Ⅴ-7>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3))․112
<표 Ⅴ-8> 성별 하향 취업 여부․114
<표 Ⅴ-9> 대학특성과 하향취업․115
<표 Ⅴ-10> 전공특성과 하향취업․116
<표 Ⅴ-11>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하향취업․117
<표 Ⅴ-12>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1))․121
<표 Ⅴ-13>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2))․121
<표 Ⅴ-14>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3))․122
<표 Ⅴ-15> 성별 전공 취업 여부․123
<표 Ⅴ-16> 대학특성과 전공취업․124
<표 Ⅴ-17> 전공특성과 전공취업․124
<표 Ⅴ-18>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전공취업․126
<표 Ⅴ-19>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 결과(식(1))․129
<표 Ⅴ-20>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 결과(식(2))․129
<표 Ⅴ-21>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 결과(식(3))․130
<표 Ⅴ-22> 대학 유형별 전공일치 취업률․132
<표 Ⅴ-23> 성별, 연령별, 지역별 및 권역별 전공일치취업률․133
<표 Ⅴ-24> 대학 유형에 따른 계열별 전공일치취업률․135
<표 Ⅴ-25> 4년제 대학교의 학과별 취업률, 전공취업률․137
<표 Ⅴ-26> 전문대학 학과별 취업률, 전공일치취업률․142
<표 Ⅴ-27> 취업의 질과 임금수준․145
<표 Ⅴ-28> 임금함수 추정․146
<표 Ⅵ-1> 고등교육기관의 표본추출 현황․155
<표 Ⅵ-2> 변수의 정의, 평균 및 표준편차․157
<표 Ⅵ-3> 전문대학 과잉교육확률 로짓추정결과․161
<표 Ⅵ-4> 대학 로짓추정결과․162
<표 Ⅵ-5> 전문대학 임금함수 추정결과․165
<표 Ⅵ-6> 대학교 임금함수 추정결과․166
<표 Ⅵ-7> 이적경험 유무에 대한 이항로짓 추정결과․168
<표 Ⅵ-8> 첫직장과 현직장의 학력일치 상태의 이행행렬․169
<표 Ⅵ-9> 4년제 대졸자의 기업규모별 취업 상황․174
<표 Ⅵ-10> 노동이동 유형별 남녀 비율, 수도권대학 졸업생 비율 및 평균수능점수․179
<표 Ⅵ-11> 노동이동 유형별 전공분포(%)․180
<표 Ⅵ-12> 노동이동 유형별 첫직장 이행기간, 취업횟수, 실직기간․181
<표 Ⅵ-13> 첫직장으로 대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의 노동이동유형별 특성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184
<표 Ⅵ-14> 첫직장으로 중소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의 노동이동유형별 특성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187
<표 Ⅵ-15> 임금함수 추정1(수능점수 포함)․193
<표 Ⅵ-16> 임금함수 추정2(수능점수 포함)․194
<표 Ⅵ-17> 임금함수 추정3(수능점수 불포함)․195
<표 Ⅵ-18> 임금함수 추정4(수능점수 불포함)․196
<표 Ⅵ-19> 졸업 후 청년층 남성 평균 취업회수․200
<표 Ⅵ-20> 취업회수 및 이직회수․201
<표 Ⅵ-21> 취업에 따른 각 직장 근속 평균 기간․202
<표 Ⅵ-22> 대졸 청년층의 업종별, 직종별 일치 이동 여부․204
<표 Ⅵ-23> 대졸 청년층의 지역간 노동이동․206
<표 Ⅵ-24> 대졸 청년층의 출신대학 지역과 첫 직장 지역의 일치 정도․207
<표 Ⅵ-25> 지역간 이동 - 수도권 기준 이동․209
<표 Ⅵ-26> 직종 상승 이동의 추이․210
<표 Ⅵ-27> 대졸 청년들의 직장이동 요인․214
<표 Ⅵ-28> 이공계 출신 청년들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215
<표 Ⅵ-29>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216
<표 Ⅵ-30> 전공직종일치 기준 직장이동 유형에 따른 임금 수준․219
<표 Ⅵ-31> 전체 이공계 청년들의 첫 번째 직장 전공직종일치 선택 요인․220
<표 Ⅵ-32> 이공계 청년들의 전공직종일치 선택요인-두번째 직장 경험자․224
<표 Ⅵ-33> 평균임금이상자와 평균임금이하자의 전공직종일치 여부에 따른 임금 비교․226
<표 Ⅵ-34> 평균임금이상자와 평균임금하자의 전공직종일치 기준 직장이동 유형에 따른 임금 수준․227
[그림 Ⅱ-1] 실업률 추이․6
[그림 Ⅳ-1] 대학교육 만족도 국제비교․58
[그림 Ⅳ-2] 직업기초능력의 괴리 정도 국제비교․83
[그림 Ⅵ-1] 노동이동유형과 그 비율․177
[그림 Ⅵ-2] 졸업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현재 대기업 취업자의 입사경로․189
[그림 Ⅵ-3] 3차례의 직장경험시 전공직종일치 유형별 비율․21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Ⅰ) 2005.01.01~2005.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