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1> 조사 설문의 주요 영역과 항목․8
<표 Ⅱ-2> 모집단과 표본 대학 및 졸업생의 분포․10
<표 Ⅱ-3> 조사 졸업생의 경제활동상태․11
<표 Ⅲ-1> 학기 중 활동(주당 평균 시간)․15
<표 Ⅲ-2> 방학 중 활동(주당 평균 시간)․16
<표 Ⅲ-3> 계열(또는 학부) 입학 여부․17
<표 Ⅲ-4> 계열(또는 학부)로 입학하여 대학과정을 이수한 것의 취업과 직장생활에의 도움도․18
<표 Ⅲ-5> 복수전공(또는 다전공) 이수 여부․19
<표 Ⅲ-6> 복수전공(또는 다전공)을 이수한 것의 취업과 직장생활에의 도움도․20
<표 Ⅲ-7> 현장실습(또는 인턴십) 경험 유무․21
<표 Ⅲ-8> 현장실습(또는 인턴십)을 위해 보낸 기간․22
<표 Ⅲ-9> 현장실습(또는 인턴십)의 대학 전공과의 관련성․23
<표 Ⅲ-10> 현장실습(또는 인턴십)의 취업과 직장생활에의 도움도․24
<표 Ⅲ-11> 자격증 취득을 위한 준비 여부․25
<표 Ⅲ-12> 자격증 취득 준비 방법․26
<표 Ⅲ-13> 자격증 취득 준비를 위해 보낸 기간․27
<표 Ⅲ-14> 자격증 취득 여부․28
<표 Ⅲ-15> 취득 자격증 수․29
<표 Ⅲ-16> 취득 자격증의 취업과 직장생활에의 도움도․30
<표 Ⅲ-17> 해외 교육연수 경험 유무․31
<표 Ⅲ-18> 주요 해외 교육연수 국가․32
<표 Ⅲ-19> 해외 교육연수를 위해 보낸 기간․33
<표 Ⅲ-20> 해외 교육연수 목적(복수응답)․34
<표 Ⅲ-21> 해외 교육연수의 대학 전공 관련성․35
<표 Ⅲ-22> 해외 교육연수의 취업과 직장생활에의 도움도․36
<표 Ⅲ-23> 아르바이트 등의 취업 경험 유무․37
<표 Ⅲ-24> 아르바이트 등의 취업 경험을 위해 보낸 기간․38
<표 Ⅲ-25> 대학의 교육 충실도․39
<표 Ⅲ-26>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40
<표 Ⅲ-27> 대학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44
<표 Ⅲ-28> 대학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전공계열별)․46
<표 Ⅲ-29> 대학졸업 당시의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49
<표 Ⅲ-30> 대학졸업 당시의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전공계열별)․50
<표 Ⅲ-31> 대학졸업 당시의 외국어 능력 수준(성별, 대학소재지별)․51
<표 Ⅲ-32> 대학졸업 당시의 외국어 능력 수준(전공계열별)․52
<표 Ⅲ-33> 전공 재선택․54
<표 Ⅲ-34> 대학 재선택․55
<표 Ⅲ-35> 선택할 대학 유형․56
<표 Ⅲ-36> 대학교육의 학문기초능력과 직업능력 형성에의 도움도․57
<표 Ⅲ-37> 대학이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58
<표 Ⅲ-38> 대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60
<표 Ⅲ-39>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전공계열별)․61
<표 Ⅲ-40>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업종별)․62
<표 Ⅲ-41>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전공계열별)․64
<표 Ⅲ-42>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업종별)․67
<표 Ⅲ-43> 직업기초능력의 괴리정도․71
<표 Ⅳ-1> 성별 정규직 취업 여부․81
<표 Ⅳ-2> 대학특성과 정규직 취업 여부․82
<표 Ⅳ-3> 전공특성과 정규직 취업 여부․82
<표 Ⅳ-4>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정규직 여부․83
<표 Ⅳ-5> 변수의 정의와 기초통계․87
<표 Ⅳ-6>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분석 결과(식(1))․91
<표 Ⅳ-7>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분석 결과(식(2))․91
<표 Ⅳ-8> 정규직취업, 비정규직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분석 결과(식(3))․93
<표 Ⅳ-9> 성별 하향 취업 여부․95
<표 Ⅳ-10> 대학특성과 하향취업․96
<표 Ⅳ-11> 전공특성과 하향취업․97
<표 Ⅳ-12>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하향취업․99
<표 Ⅳ-13>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1))․102
<표 Ⅳ-14>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2))․102
<표 Ⅳ-15> 하향취업, 교육수준에 맞는 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3))․103
<표 Ⅳ-16> 성별 전공 취업 여부․105
<표 Ⅳ-17> 대학특성과 전공취업․106
<표 Ⅳ-18> 전공특성과 전공취업․106
<표 Ⅳ-19>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전공취업․108
<표 Ⅳ-20>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1))․111
<표 Ⅳ-21>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2))․111
<표 Ⅳ-22> 전공취업, 비전공취업 및 미취업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식(3))․112
<표 Ⅳ-23> 성별에 따른 임금수준․113
<표 Ⅳ-24> 대학특성과 임금수준․114
<표 Ⅳ-25> 전공특성과 임금수준․114
<표 Ⅳ-26> 졸업생의 능력 또는 노력과 임금수준․116
<표 Ⅳ-27> 임금함수 추정(1)․119
<표 Ⅳ-28> 취업의 질과 임금수준․120
<표 Ⅳ-29> 임금함수 추정(2)․121
<표 Ⅴ-1> 배경변인과 졸업 후 계속교육훈련 참여․127
<표 Ⅴ-2> 취업상태와 계속교육훈련 참여․128
<표 Ⅴ-3> 대학교육 만족도 및 별도교육훈련의 필요성과 교육훈련 참여․130
<표 Ⅴ-4> 로짓분석을 위한 변수의 정의․131
<표 Ⅴ-5> 계속교육훈련참여 결정요인에 대한 이항로짓 분석결과․133
<표 Ⅴ-6> 계속교육훈련 이수기관․136
<표 Ⅴ-7> 계속교육훈련 과정의 주요내용․137
<표 Ⅴ-8> 계속교육훈련 비용부담의 주체․139
<표 Ⅴ-9> 계속교육훈련의 근무시간 중 이수여부․141
<표 Ⅴ-10> 계속교육훈련의 이수목적․142
<표 Ⅴ-11> 계속교육훈련 이수의 효과․144
[그림 Ⅱ-1] 조사의 기본틀․7
[그림 Ⅲ-1] 대학교육 만족도 국제비교․42
[그림 Ⅲ-2] 직업기초능력의 괴리정도 국제비교․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