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Ⅰ-1> 고등교육기관의 표본추출 현황․12
<표 Ⅰ-2> 변수의 정의, 평균 및 표준편차․15
<표 Ⅰ-3> 객관적 지표에 따른 과잉교육 실태․18
<표 Ⅰ-4> 주관적 지표에 따른 과잉교육 실태․19
<표 Ⅰ-5> 전문대학 과잉교육확률 로짓추정결과․24
<표 Ⅰ-6> 대학 로짓추정결과․25
<표 Ⅰ-7> 전문대학 임금함수 추정결과․29
<표 Ⅰ-8> 대학교 임금함수 추정결과․30
<표 Ⅰ-9> 이직경험 유무에 대한 이항로짓 추정결과․34
<표 Ⅰ-10> 첫직장과 현직장의 학력일치 상태의 이행행렬․36
<표 Ⅱ-1> 모집단과 표본 대학 및 졸업생의 분포․44
<표 Ⅱ-2> 4년대 대졸자의 기업규모별 취업 상황․46
<표 Ⅱ-3> 노동이동 유형별 남녀 비율, 수도권대학 졸업생 비율 및 평균수능점수․51
<표 Ⅱ-4> 노동이동 유형별 전공분포(%)․52
<표 Ⅱ-5> 노동이동 유형별 첫직장 이행기간, 취업횟수, 실직기간․53
<표 Ⅱ-6> 첫직장으로 대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의 노동이동유형별 특성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56
<표 Ⅱ-7> 첫직장으로 중소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의 노동이동유형별 특성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59
<표 Ⅱ-8> 임금함수 추정1(수능점수 포함)․65
<표 Ⅱ-9> 임금함수 추정2(수능점수 포함)․66
<표 Ⅱ-10> 임금함수 추정3(수능점수 불포함)․67
<표 Ⅱ-11> 임금함수 추정4(수능점수 불포함)․68
<표 Ⅱ-12> 근속에 따른 임금변화․70
<표 Ⅱ-13> 노동이동유형별 임금수준의 변화․72
<표 Ⅲ-1> 기술통계량(첫직장과 현재직장 중심)․83
<표 Ⅲ-2> 졸업 후 청년층 남성 평균 취업회수․84
<표 Ⅲ-3> 취업회수 및 이직회수․85
<표 Ⅲ-4> 취업에 따른 각 직장 근속 평균 기간․87
<표 Ⅲ-5> 대졸 청년층 직장 경험 - 임금, 근속, 미취업기간 -․89
<표 Ⅲ-6> 수능점수층위별 분포․90
<표 Ⅲ-7> 최상위 10% 소득자의 평균 임금 수준․91
<표 Ⅲ-8> 대졸 청년층 첫 직장 임금 수준 결정 요인․93
<표 Ⅲ-9> 직장경험 회수의 임금에의 영향 분석․95
<표 Ⅲ-10> 대졸 청년들의 직종 분포․97
<표 Ⅲ-11> 대졸 청년들의 업종 분포․98
<표 Ⅲ-12> 대졸 청년층 취업 기업 규모의 분포․100
<표 Ⅲ-13> 대졸 청년층의 업종별, 직종별 일치 이동 여부․103
<표 Ⅲ-14> 대졸 청년층의 지역간 노동이동․105
<표 Ⅲ-15> 대졸 청년층의 출신대학 지역과 첫 직장 지역의 일치 정도․106
<표 Ⅲ-16> 지역간 이동 - 수도권 기준 이동․108
<표 Ⅲ-17> 직종 상승 이동의 추이․110
<표 Ⅲ-18> 기업규모이동의 추이․112
<표 Ⅲ-19> 직장 경험 회수별 임금 증가 - 첫직장 임금과 현직장 임금 비교 - ․114
<표 Ⅲ-20> 대졸 청년들의 직장이동 요인․119
<표 Ⅲ-21> 두 번 직장 이상 경험자의 직장이동 요인․122
<표 Ⅲ-22>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종 이동․125
<표 Ⅲ-23>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업종 이동․127
<표 Ⅲ-24> 이공계 출신 청년들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129
<표 Ⅲ-25>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130
<표 Ⅲ-26> 첫 직장 전공직종일치 여부에 따른 임금 비교․131
<표 Ⅲ-27> 첫 번째 직장의 임금 회귀 분석 결과․135
<표 Ⅲ-28> 두 번째, 세 번째 직장의 임금 회귀분석 결과․137
<표 Ⅲ-29> 전공직종일치 기준 직장이동 유형에 따른 임금 수준․141
<표 Ⅲ-30>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의 상관관계․142
<표 Ⅲ-31> 전체 이공계 청년들의 첫 번째 직장 전공직종일치 선택 요인․144
<표 Ⅲ-32> 이공계 청년들의 전공직종불일치 선택 요인 - 두 번째 직장 경험자․148
<표 Ⅲ-33> 평균임금이상자와 평균임금이하자의 전공직종일치 여부에 따른 임금비교․151
<표 Ⅲ-34> 평균임금이상자와 평균임금이하자의 전공직종일치 기준 직장이동 유형에 따른 임금수준․152
[그림 Ⅱ-1] 노동이동유형과 그 비율․49
[그림 Ⅱ-2] 졸업 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현재 대기업 취업자의 입사경로․61
[그림 Ⅲ-1] 직장 이동시 전공직종일치 변화 여부에 따른 임금상승․133
[그림 Ⅲ-2] 3차례의 직장 경험시 전공직종일치 유형별 비율․138
[그림 Ⅲ-3] 4차례의 직장 경험시 전공직종일치 유형별 비율․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