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문별 인적자원개발과 국가직무능력표준
Sector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Korea Skill Standard
- 저자
- 김덕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5-05-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11.30
- 등록일
- 2005.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 내용 3 제2장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 운영 사업 및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현황 제1절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 사업 현황 5 1. 추진 배경 5 2.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 사업 운영 현황 6 제2절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 추진 현황 9 1. 국가직무능력표준개발 배경 9 2. 국가직무능력표준 시범 개발 절차 10 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 추진 현황 12 제3장 석유화학산업의 특성과 교육훈련 및 자격 현황 제1절 석유화학산업의 구조 17 1. 석유화학산업의 영역 17 2. 석유화학산업의 발달과정 및 기술변화 18 3. 석유화학분야의 고용구조 및 인력 수급 현황 20 제2절 교육훈련 현황 24 1. 교육 현황 및 문제점 24 2. 직업능력개발훈련 현황 및 문제점 29 제3절 석유화학분야 국가기술자격 제도 현황 31 1. 국가기술자격 종목의 변천 31 2. 자격검정 현황 35 제4절 석유화학분야 근로자의 자격취득 현황 및 실태 분석 39 1. 석유화학분야 근로자의 자격취득 현황 39 2. 설문조사 결과분석 41 제5절 소결 50 제4장 외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활용 현황 제1절 영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OS) 개발 및 활용 53 1. 국가직무능력표준(NOS)의 도입 배경 53 2. 국가직무능력표준(NOS)과 관계 조직 및 역할 54 3. 국가직무능력표준(NOS) 개발 및 운영 체제 56 제2절 호주의 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및 활용 60 1. 직업교육훈련제도 운영체계 60 2.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및 활용 64 제3절 일본의 직업능력평가기준 67 1. 개발 배경 67 2. 직업능력평가기준의 개발 절차 68 3. 직업능력평가기준의 활용 70 제4절 시사점 71 제5장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과 운영 방안 제1절 현황과 과제 73 제2절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및 활용 절차 75 제3절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및 운영조직 구축 77 1. 총괄지원 기구지정 77 2. 개발ㆍ적용ㆍ평가 및 개정 기구 78 3. 정책심의ㆍ결정기구 78 제4절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및 운영 방안 79 제6장 결론 SUMMARY 87 <부록 1> 영국의 석유화학분야 NOS 및 NVQs 현황 95 <부록 2> 호주의 석휴화학분야 Training Package 및 자격 현황 97 참고문헌 99
본 연구에서는 자격제도 및 교육훈련제도에 인력수요의 수요자인 산업체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개발협의체를 통한 국가직무능력의 개발과 운영 방안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exist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led by the Korean government has failed to actively respond to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labor market due to its rigidity and thus it has become inefficient. To address this problem and to catch up with changing demands of industrial fields, the government has encouraged participation of and stronger role played by the private sector through implementing projects of the Sector Council, a consultative body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the industry, and Korea Skill Standard. This study aims to draw development and operation measures of Korea Skill Standard by the Sector Council in order to actively reflect demands of the industry, the customer of workforce services, into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us addressing problems regarding the two systems. ...
<표 Ⅱ-1>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검토 부처 현황․12 <표 Ⅱ-2> 도입 단계(2003~2005년) 연도별 사업 내용․15 <표 Ⅱ-3>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현황․15 <표 Ⅱ-4> 중앙고용정보원의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현황․16 <표 Ⅲ-1> 석유화학산업의 발전과정․19 <표 Ⅲ-2> 석유화학분야 연도별 고용현황․20 <표 Ⅲ-3> 석유화학분야 취업자 기초현황․21 <표 Ⅲ-4> 석유화학분야 취업자 학력․21 <표 Ⅲ-5> 화학분야 자격 취득현황․22 <표 Ⅲ-6> 석유화학 관련 직종별 인력 수급 현황(2003년)․23 <표 Ⅲ-7> 석유화학산업분야의 인력 수급 현황(2003년)․24 <표 Ⅲ-8> 화학공학 관련 학과 현황(2004년)․25 <표 Ⅲ-9> 연도별 실업계고등학교 화공계열 학생 배출 현황․26 <표 Ⅲ-10> 연도별 전문대학 화공계열 학생 배출 현황․27 <표 Ⅲ-11> 연도별 4년제 대학교 화공계열 학생 배출 현황․27 <표 Ⅲ-12> 전문대 졸업생의 자격증 취득 현황과 취득당시 전공일치 여부․28 <표 Ⅲ-13> 대학교 졸업생의 자격증 취득 현황과 취득당시 전공일치 여부․29 <표 Ⅲ-14> 화공 및 요업분야 기준 훈련직종 현황․30 <표 Ⅲ-15> 화학 및 요업분야의 훈련직종별 실시 현황․30 <표 Ⅲ-16> 화학 및 세라믹분야 국가기술자격종목 변천 과정․32 <표 Ⅲ-17> 화학 및 세라믹분야 자격종목 현황․34 <표 Ⅲ-18> 화학 및 세라믹분야 국가기술자격 종목 및 등급별 검정과목 현황․35 <표 Ⅲ-19> 화공분야 기술사 자격의 검정 현황․36 <표 Ⅲ-20> 화공분야 기능장 자격의 검정 현황․36 <표 Ⅲ-21> 화공분야 기사 자격의 검정 현황․37 <표 Ⅲ-22> 화공분야 산업기사 자격의 검정 현황․37 <표 Ⅲ-23> 화공분야 기능사 자격의 검정 현황․38 <표 Ⅲ-24> 직업분야별 자격취득 현황․39 <표 Ⅲ-25> 직업분야별 자격종류별 취득 비율․40 <표 Ⅲ-26> 화학분야 직업 종사 근로자가 취득한 자격의 분야별 비율․40 <표 Ⅲ-27> 화학분야의 근로자가 취득한 화학 및 에너지분야 자격종류․41 <표 Ⅲ-28> 화학분야 자격취득 근로자의 학력수준별 국가기술자격 취득 현황․41 <표 Ⅲ-29> 조사 대상자의 특징․42 <표 Ⅲ-30> 석유화학 관련 국가기술자격 종목(2004년 12월 기준)․42 <표 Ⅲ-31> 석유화학 관련 국가기술 자격의 수요 전망에 대한 의견․43 <표 Ⅲ-32> 근로자 특성별 석유화학 관련 국가기술자격 수요 전망에 대한 의견․43 <표 Ⅲ-33> 석유화학분야 국가기술자격이 직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44 <표 Ⅲ-34>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우대여부․44 <표 Ⅲ-35> 사업체의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우대방법․45 <표 Ⅲ-36>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 우대하지 않는 이유․45 <표 Ⅲ-37> 사업체에서 중요하게 평가하는 석유화학 관련 자격증․46 <표 Ⅲ-38> 석유화학분야 국가기술자격 종목의 변경 사항․47 <표 Ⅲ-39> 자격종목의 통합폐지 결과 의견․47 <표 Ⅲ-40> 석유화학 관련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48 <표 Ⅲ-41> 근로자의 석유화학 관련 국가기술자격 취득 여부․48 <표 Ⅲ-42> 학력별 업무별 석유화학 관련 근로자의 국가기술자격 취득여부․49 <표 Ⅲ-43> 취업 전에 국가기술자격 검정에 응시한 이유․50 <표 Ⅲ-44> 취업 후에 국가기술자격 검정에 응시한 이유․50 <표 Ⅳ-1> 국가직무능력표준(NOS) 및 NVQ 관리․운영 관련 기관 및 역할․59 <표 Ⅳ-2> 호주 국가훈련체계 구성 요소․65 <표 Ⅳ-3> 외국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운영 사례 개요․72 <표 Ⅴ-1> 대상자별 직무체계 활용 방안․76 <표 Ⅴ-2> 운영주체별 역할․83 [그림 Ⅱ-1]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 기본운영 방향․7 [그림 Ⅱ-2]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교육과정, 훈련기준, 자격기준과의 관계․10 [그림 Ⅱ-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단계별 주요 절차․11 [그림 Ⅱ-4]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정착․확산 단계별 핵심 추진 사항․14 [그림 Ⅲ-1] 석유화학제품 제조과정․18 [그림 Ⅳ-1] 영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OS)개발을 위한 조직 구성․56 [그림 Ⅳ-2]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승인 절차․57 [그림 Ⅳ-3] 호주의 직업교육훈련 운영 체제․61 [그림 Ⅳ-4] 훈련패키지 승인 절차․67 [그림 Ⅳ-5] 직업능력평가기준 개발직종 선정절차․69 [그림 Ⅳ-6] 직업능력평가기준 개발 체제․70 [그림 Ⅴ-1]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 절차 및 활용 방안․79 [그림 Ⅴ-2]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운영 체계도․8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산업부문별 인적자원개발 지원시스템 구축 | 2005.01.01~2005.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