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고령층 고용특성과 유망직종

Employment pattern of the middle-old aged workers and the prospective occupations for them
저자
나영선 이상준
분류정보
기본연구(2005-06-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5.11.30
등록일
2005.11.30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6
   1. 중고령층 인구ㆍ고용ㆍ실업ㆍ재취업 현황 6
   2. 중고령층 평생학습 현황 7
   3. 중고령층 직업적응의 특성과 자질 7
   4. 중고령층의 고용특성과 직업능력개발 요구 7
   5. 중고령층 유망직종 개발 8
   6.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직업능력개발의 과제 8
 제3절  연구의 방법 9
   1. 중고령층의 고용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통계 분석 9
   2. 중고령층의 평생학습 및 직업능력개발 수요조사 9
   3. 중고령층 구직자 사례조사 11
   4. 중고령층 미래 유망직종 개발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12
   5. 세미나 개최 및 외부전문가 포럼 개최 12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용어정의 12
제2장  중고령층의 인구ㆍ고용ㆍ실업 재취업 현황
 제1절  총인구 및 생산가능인구변화 15
 제2절  중고령층의 고용구조 및 특성 19
   1. 연령계층별 취업현황 20
   2. 연령계층별 실업 현황 21
   3. 중고령층의 고용ㆍ실업증가율 24
 제3절  중고령층의 노동력 플로우 분석 26
제3장  중고령층의 평생학습
 제1절  중고령층 평생학습 참여실태 33
 제2절  중고령층 평생학습 참여목적 40
 제3절  중고령층 평생학습 참여일수 42
 제4절  중고령층의 평생학습 투입시간 및 비용 45
제4장  중고령층 직업 적응의 특성과 직업 기초능력의 분석
 제1절  중고령층 직업 적응의 특성 51
   1. 중고령층 직업경력 개념의 변화 52
   2. 중고령층의 일자리 적응 메커니즘 53
   3. 중고령층의 직업 적응 유형 및 재취업 의사 59
 제2절  중고령층의 자질 및 직업기초능력 62
   1. 중고령층의 자질 63
   2. 중고령층의 직업기초능력 65
 제3절  중고령층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시사점 70
   1. 적극적 심리학의 도입 70
   2. 학습동기의 다양성을 고려한 시스템적 접근 72
   3. 중고령층 작업장 인간공학적 개선 76
   4. 중고령층 유망직종 개념의 도입 78
제5장  중고령층의 고용특성과 직업능력개발 요구
 제1절  중고령층 고용특성과 재취업결정요인 81
   1. 중고령층 취업자의 현재 고용특성 83
   2. 중고령층의 전직경험과 고용지위 이동 88
   3. 중고령층 고용특성의 유형화 92
   4. 중고령층 재취업 결정요인 96
 제2절  중고령층 취업자의 직업의식 및 퇴직기대 100
   1. 직업의식 100
 제3절  중고령층 직업능력개발 요구 106
   1. 기초지식 수준 및 직업능력개발 요구 106
   2. 직업기초능력 수준 및 직업능력개발 요구 108
 제4절  중고령층 구직자 사례조사 110
   1. 개요 110
   2. 사례조사 결과 114
 제5절  시사점: 고용특성과 직업능력개발 요구 118
제6장  중고령층 유망직종
 제1절  중고령층 유망직종 선정원칙 및 방법 121
   1. 유망직종 선정에 필요한 가정 및 전제 조건 125
   2. 선정방법 126
 제2절  중고령자 분야별 유망직종 128
   1. 사회서비스 128
   2. 교육서비스 130
   3. 여행 및 안내 133
   4. 운전 135
   5. 음식 관련서비스업 136
   6. 보건 137
   7. 금융/회계/사무서비스 139
   8. 영업 141
   9. 컴퓨터 143
   10. 기타 서비스 144
제7장  결론: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과제
 제1절  중고령층의 직업능력개발의 원칙 150
 제2절  자기주도적 직업능력개발 150
 제3절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의 설계 152
   1.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혁신 152
   2. 컴퓨터 교육센터의 설치 153
   3. 퇴직프로그램의 운영 154
 제4절  중고령층 재취업 지원 156
   1. 재고용 프로그램 제공 156
   2. 효과적인 구직활동 지원 157
   3. 노동시장 유연화와 중고령층 일자리 창출 158
SUMMARY   159  
<부록 1> 중고령층 구직자 사례조사 165
참고문헌 225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층의 근로자 또는 퇴직자의 고용특성을 조사·분석하고, 활동적 고령화(active ageing)의 실현을 위한 미래 유망직종 및 직업능력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층의 고용특성을 조사·분석한다.
  둘째, 45세 이상 중고령층 평생학습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 직업생활과 기대를 파악한다.
  셋째, 중고령층의 직업적응의 특성 및 직업기초능력에 근거한 유망직종을 개발하고 고용특성 유형별(고용유지형, 재취업형, 자영업형 등) 직업능력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The rapid ageing of population is a global phenomenon. With fertility declin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older workers have declined markedly. In addition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middle-old aged became worse than b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stylized facts of employment pattern of the middle-old aged workers and  vocational competence development needs for job transfer and re-employment after early-retirement or unvoluntary job-quitting. The nationwid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ll 45+ population (3,385 persons).  We got and analyzed the raw data of Economical Activity Population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 selected  39 prospective occupation lists  from O-Net & Know information system through  several experts consultation & meetings.
...
<표 Ⅰ-1> 직능원의 중고령층 직업능력개발 관련 연구사업(최근 5년 간)․3
<표 Ⅰ-2> 평생학습 및 직업능력개발 수요조사 중고령층 응답자의 특성․10
<표 Ⅰ-3>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실태 및 수요조사 설문항목․11
<표 Ⅱ-1>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추이․16
<표 Ⅱ-2> 남녀별 인구 및 성비 추이․17
<표 Ⅱ-3> 연령별 인구전망․18
<표 Ⅱ-4> 연령별 취업자 추이․20
<표 Ⅱ-5> 연령별 실업률 추이․21
<표 Ⅱ-6> 2004년도 연령별 실망실업자 수․23
<표 Ⅱ-7> 2004년도 성별․연령별․실망실업자 수․24
<표 Ⅱ-8> 연령별 고용상황별 연평균 증가율․25
<표 Ⅱ-9> 성별 연령별에 따른 고용상황별 연평균 증가율․26
<표 Ⅱ-10> 경제상태 변동 행렬․27
<표 Ⅱ-11> 종사상 지위 변동 행렬․30
<표 Ⅱ-12> 직종별 이동 행렬․31
<표 Ⅲ-1> 중고령층 평생학습실태․34
<표 Ⅲ-2> 교육훈련일수․35
<표 Ⅲ-3> 성별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36
<표 Ⅲ-4> 학력별 평생학습 참여․38
<표 Ⅲ-5> 평생학습 참여 목적․41
<표 Ⅲ-6> 성별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일수․42
<표 Ⅲ-7> 학력별 따른 평생학습 참여일수․43
<표 Ⅲ-8> 학습참여 일수․44
<표 Ⅲ-9> 평생학습 투입시간․46
<표 Ⅲ-10> 평생학습 비용․47
<표 Ⅲ-11> 평생학습 비용부담주체․49
<표 Ⅳ-1> 종업원의 자질에 대한 고용주 평가․64
<표 Ⅳ-2> 고령화 대비 프로그램․65
<표 Ⅳ-3> 연령계층별 컴퓨터 관련기술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69
<표 Ⅳ-4> 인적자본의 파이모델(Human Capital "PIES")․72
<표 Ⅳ-5> 인적자원을 보존하는 방법․72
<표 Ⅳ-6> 제조업의 인력작업 유형과 중고령층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77
<표 Ⅳ-7> 2005 고령자 적합직종․79
<표 Ⅴ-1> 조사대상 중고령층의 고용특성 구분․82
<표 Ⅴ-2> 중고령층의 연령계층별 고용특성․82
<표 Ⅴ-3> 연령계층별․학력별․성별 중고령층의 취업률․83
<표 Ⅴ-4> 연령계층별․학력별․성별 중고령층의 종사상의 지위․84
<표 Ⅴ-5> 연령계층별․학력별․성별 중고령층의 종사업종․85
<표 Ⅴ-6> 연령계층별․학력별․성별 중고령층의 종사직종․85
<표 Ⅴ-7> 연령계층별․학력별․성별 중고령층의 현직장 직장 입사경로․86
<표 Ⅴ-8> 연령계층별․학력별․성별 중고령층의 근무형태․87
<표 Ⅴ-9> 현재 고용주 및 자영업자의 종사업종․88
<표 Ⅴ-10> 임금근로자의 종사상의 지위이동․89
<표 Ⅴ-11> 고용주 및 자영업자의 종사상의 지위이동․90
<표 Ⅴ-12> 고용특성별 중고령층의 연령계층별․학력별․성별 현황․92
<표 Ⅴ-13> 기초통계량․97
<표 Ⅴ-14> 프라빗 추정결과․100
<표 Ⅴ-15> 중고령층의 직장생활에 대한 태도․103
<표 Ⅴ-16> 중고령층의 퇴직 후 생활비 부담자에 대한 의견․105
<표 Ⅴ-17> 중고령층의 기초지식 교육훈련요구도․107
<표 Ⅴ-18> 중고령층의 직업기초능력 직업능력개발 요구도․109
<표 Ⅴ-19> 중고령층 사례조사 대상자의 특성 및 조사결과 개요표․113
<표 Ⅵ-1> 노동부 우선고용직종․123
<표 Ⅵ-2> 2005 중고령층 유망직종 목록 및 특성․146
[그림 Ⅱ-1] 부양비 추계․19
[그림 Ⅳ-1] 중고령층의 직무재설계에 대한 적응과정․59
[그림 Ⅳ-2] 중고령층의 직장에서의 읽기, 쓰기 및 수리능력 평가․67
[그림 Ⅳ-3] 수리활동에 대한 자기평가․68
[그림 Ⅳ-4] 컴퓨터 활용능력에 대한 자기평가․70
[그림 Ⅳ-5]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시스템적 접근․76
[그림 Ⅴ-1] 대졸 임금근로자의 과거직장경험․89
[그림 Ⅴ-2] 고졸 임금근로자의 과거직장경험․90
[그림 Ⅴ-3] 대졸 고용주 및 자영업자의 과거직장경험․91
[그림 Ⅴ-4] 고졸 고용주 및 자영업자의 과거직장경험․91
[그림 Ⅴ-5] 중고령층 취업자의 고용특성별 비중․93
[그림 Ⅴ-6] 중고령층의 기초지식 및 능력․106
[그림 Ⅴ-7] 중고령층의 직업기초능력 수준․10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령화시대의 중고령층 고용특성과 직업능력개발 2005.01.01~2005.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