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의 참여실태와 수요 분석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Demand of Lifelong Learning
- 저자
- 박태준 손유미 최영렬 주용국 이희수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5-07-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11.30
- 등록일
- 2005.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및 내용 4 제3절 조사방법 7 1. 표본조사 방법 및 개요 7 2. 가중치 11 제4절 조사 내용 및 설문 문항 13 1. 설문 문항 13 제5절 용어의 정의 14 제2장 평생학습 실태 조사 결과 제1절 평생학습 참여 실태 17 제2절 평생학습 참여 목적 24 제3절 평생학습의 목적 달성 여부 26 제4절 평생학습에 대한 만족도 28 제5절 지식활용도 30 제6절 평생학습 비용부담 33 제7절 평생학습 관련 정보 취득 경로 34 제8절 평생학습이 이루어진 장소 35 제9절 평생학습 방식 36 제10절 평생학습 참여 일수, 과정수, 투입시간, 투입비용 38 제11절 최근 1년 평생학습 중 대표적인 것 43 제12절 평생학습 불참 요인 46 제13절 학습모임 가입, 활동 여부 47 제14절 참여 학습모임 내용 및 유형 51 제15절 무형식적 평생학습 참여도 56 제16절 평생학습의 효과 61 제3장 향후 평생학습 참여 의향 조사 결과 제1절 평생학습 참여 의향 66 제2절 평생학습 참여희망 학습내용 69 제3절 평생학습 참여희망 학습방식 72 제4절 참여하고 싶은 평생학습 기관 74 제5절 평생학습 참여 희망 기간 76 제6절 평생학습 비용 77 제7절 학습모임 계획 80 제8절 참여 희망 학습모임 내용 및 유형 81 제9절 무형식적 평생학습 참여 계획 84 제4장 평생학습에 대한 전반적 태도 제1절 대학과 기업의 평생학습 활동이 지역 주민에 도움 주는 정도 87 제2절 평생학습 발전을 위한 개선점 92 제3절 중ㆍ고등학교의 평생학습 94 제4절 주5일 근무제와 평생학습 95 제5장 요약 및 제언 제1절 요약 99 1. 평생학습 참여 실태 99 2. 향후 평생학습 참여 계획 105 3. 평생학습에 대한 전반적 태도 107 제2절 제언 109 SUMMARY 113 참고문헌 11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 만족도, 비체계적 평생학습 참여도와 만족도 및 평생학습활동 참여 의향 등에 대한 전반적 조사를 분석하려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9,571 members aged 18-64 in about 5,000 households throughout the nation. This research is about the actual condition and demand of lifelong learning and has been done through door-to-door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learning is 19.0% and women's participation rate(20.2%) is higher than men's(17.8%) by 2.4%. And the higher the literacy level is,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rate is. The participation rate of people with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and low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graduate is 13.1%, that of people with educational attainments of high school graduate is 14.5%, that of people with university graduate is 25.0% and that of people in graduate school is 28.2%. The expense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is mainly imposed on the person in question or his family members(31.4~83.4%). And the major cause for not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is the insufficiency of time(51.0%). Quite a number of people(62.8%) do not have plans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hereafter. Those who will not spend any money on lifelong learning hereafter take up 22.0% and those who will spend less than 100,000 won form 39.1%. For better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the matter of financial burden imposed on the person in question should be resolved urgently(21.0%) and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necessity of lifelong learning needs to be stirred up(14.0%).
<표 Ⅱ-1> 형식적, 비형식적 평생학습(체계적 평생학습) 참여도·21 <표 Ⅱ-2> 체계적 평생학습 참여 결정요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23 <표 Ⅱ-3> 체계적 평생학습 참여 목적(복수응답 허용)·26 <표 Ⅱ-4> 평생학습의 목적 달성 여부·28 <표 Ⅱ-5> 평생학습에 대한 만족도·29 <표 Ⅱ-6> 평생학습을 통한 정보, 지식, 기술 활용도·31 <표 Ⅱ-7> 평생학습 비용부담·32 <표 Ⅱ-8> 평생학습 관련 정보 취득 경로·35 <표 Ⅱ-9> 평생학습이 이루어진 장소·36 <표 Ⅱ-10> 평생학습 방식·37 <표 Ⅱ-11> 평생학습 참여 일수, 과정수, 투입시간, 투입비용·42 <표 Ⅱ-12> 최근 1년 평생학습 중 대표적인 것(%)·44 <표 Ⅱ-13> 평생학습 장애요인(복수응답 허용)·47 <표 Ⅱ-14> 학습모임 가입, 활동 여부·51 <표 Ⅱ-15> 참여 학습모임의 내용(복수응답 허용)·53 <표 Ⅱ-16> 학습모임 유형·55 <표 Ⅱ-17> 무형식적 평생학습 참여도·58 <표 Ⅱ-18> 무형식적 평생학습 만족도·59 <표 Ⅱ-19> 무형식적 평생학습 참여 결정요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61 <표 Ⅱ-20> 평생학습 효과·62 <표 Ⅱ-21>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사회적 효과·64 <표 Ⅲ-1> 평생학습 참여 의향·68 <표 Ⅲ-2> 평생학습 참여 희망 학습내용(복수응답 허용)·71 <표 Ⅲ-3> 평생학습 참여 희망 학습방식·73 <표 Ⅲ-4> 참여하고 싶은 평생학습 기관(복수응답 허용)·75 <표 Ⅲ-5> 희망하는 평생학습 참여 기간·76 <표 Ⅲ-6> 교육비 본인 부담의 적정 규모·78 <표 Ⅲ-7> 평생학습 비용 지불 방식·79 <표 Ⅲ-8> 희망하는 평생학습 과정 비용 본인 부담시 참여 의사·79 <표 Ⅲ-9> 향후 학습모임 가입 계획·81 <표 Ⅲ-10> 참여 희망 학습모임의 내용(복수응답 허용)·83 <표 Ⅲ-11> 참여 희망 학습모임의 유형·83 <표 Ⅲ-12> 무형식적 평생학습 참여 의향·85 <표 Ⅳ-1> 대학의 평생학습 활동이 지역 주민에 도움 주는 정도·89 <표 Ⅳ-2> 기업의 평생학습 활동이 지역 주민에 도움 주는 정도·90 <표 Ⅳ-3> 대학과 기업의 평생학습 활동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92 <표 Ⅳ-4> 평생학습 발전을 위한 개선 필요 사항(복수응답 허용)·93 <표 Ⅳ-5> 중·고등학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도움 정도·94 <표 Ⅳ-6> 주5일 근무제 실시 여부·95 <표 Ⅳ-7> 주5일 근무제 여가 활용 실태·96 <표 Ⅳ-8> 주5일 근무제 여가 활용 계획·97 [그림 Ⅰ-1] 학습의 종류와 구분 기준·16 [그림 Ⅱ-1] 평생학습활동 참여 경험 비율 남녀비교·18 [그림 Ⅱ-2] 평생학습활동 참여 경험 비율 연령대 비교·19 [그림 Ⅱ-3] 평생학습활동 참여 경험 비율 학력별 비교·20 [그림 Ⅱ-4] 평생학습활동 참여 경험 비율 고용상태별 비교·21 [그림 Ⅱ-5] 평생학습 유형별 학습자의 참여 목적 달성 정도 비교·27 [그림 Ⅱ-6] 평생학습 유형별 만족도 비교·29 [그림 Ⅱ-7] 평생학습 유형별 지식활용도 비교·31 [그림 Ⅱ-8] 평생학습 유형별 학습비용부담 비교·33 [그림 Ⅱ-9] 평생학습 유형별 연간투입일 수 비교·39 [그림 Ⅱ-10] 평생학습 유형별 연간참여과정수 비교·40 [그림 Ⅱ-11] 평생학습 유형별 1일 평균투입시간 비교·41 [그림 Ⅱ-12] 평생학습 유형별 연간소요비용 비교·42 [그림 Ⅱ-13] 최근 1년 동안의 대표적인 평생학습 유형·43 [그림 Ⅱ-14] 학습모임 참여 여부·48 [그림 Ⅱ-15] 학습모임 성별 가입율·49 [그림 Ⅱ-16] 연령별 학습모임 가입율·49 [그림 Ⅱ-17] 학력별 학습모임 가입율·50 [그림 Ⅱ-18] 가입 학습모임의 유형·52 [그림 Ⅱ-19] 학습모임 방법 유형·54 [그림 Ⅱ-20] 무형식적 평생학습 참여도·57 [그림 Ⅱ-21] 평생학습 효과 비교·62 [그림 Ⅱ-22] 평생학습의 사회적 효과·64 [그림 Ⅲ-1] 향후 평생학습 참여 의향·67 [그림 Ⅲ-2] 희망하는 평생학습 내용·70 [그림 Ⅲ-3] 희망하는 비용부담 방식·7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 | 2005.01.01~2005.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