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산업의 직업연구
Occupational Research of Electronics Industry
- 저자
- 한상근 박준식 서창교 장홍근 이종선 김기헌 박종성 정윤경 최동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5-0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12.31
- 등록일
- 2005.12.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분석틀 6 제3절 용어의 정리 9 1. 지식(knowledge) 9 2. 스킬(skill) 9 3. 태도(attitude) 10 4. 직무수행 능력(competency) 10 5. 직업경로(career path) 10 6. 직무분석(job analysis) 10 7. 핵심직업(core occupation) 11 제2장 선행 직업연구의 분석 제1절 직업연구와 직업정보론 13 제2절 직업분류에 관한 연구 15 제3절 직업정보론: 수집, 조사 및 개발 20 제4절 산업별 직업별 연구 26 제5절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업연구 31 제3장 산업별 직업연구 방법 제1절 심층 인터뷰 35 제2절 현장관찰 41 제3절 직무분석 42 제4절 설문조사 44 제5절 산업체 및 유관기관과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46 제4장 전자산업의 범위와 업종 동향 제1절 연구대상 49 1. 전자산업의 개념 및 유사산업과의 관계 50 2. 전자산업의 분류 54 3. 연구대상 업종 및 선정 기준 64 제2절 업종 동향 73 1. 반도체 73 2. 휴대폰 74 3. 전자의료기기 77 제5장 전자산업의 직업분류와 핵심직업 제1절 전자산업 분야 직업에 대한 정의와 분류 81 1. 전자산업 분야 직업의 범위와 선별기준 83 2. 국내 직업분류에 대한 검토 86 3. 본 연구의 전자산업 분야 직업분류 88 제2절 전자산업의 핵심직업 90 1. 전자산업의 제조공정별 직업 90 2. 전자산업의 핵심직업 103 제6장 전자산업의 직무수행 능력과 교육훈련 제1절 반도체 제조업 113 1. 직무수행 능력 113 2. 교육훈련 및 자격 122 제2절 휴대폰 제조업 139 1. 직무수행 능력 139 2. 교육훈련 및 자격 147 제3절 전자의료기기 제조업 157 1. 직무수행 능력 157 2. 교육훈련 및 자격 165 제7장 전자산업의 기술, 스킬, 학습 제1절 스킬의 개념적 재구성 175 1. 스킬 학습 개념의 재검토 175 2. 스킬의 개념적 재구성 176 제2절 전자산업의 생산 및 기술 환경과 스킬 변화 185 1. 반도체 185 2. 휴대폰 189 3. 전자의료기기 192 제3절 전자산업의 스킬 학습:인터뷰 및 설문 조사 198 1. 업종별 스킬 형성과 학습의 특성 198 2. 설문조사 211 제4절 소결 238 제8장 전자산업의 직업경로 제1절 직업경로의 개념 241 제2절 전자산업에서의 입직과 승진, 그리고 전직 243 1. 반도체 제조업 243 2. 휴대폰 제조업 249 제3절 직업 전망 260 1. 반도체 제조업 260 2. 휴대폰 제조업 266 3. 전자의료기기 제조업 274 제4절 소결 278 제9장 요약 및 정책 제언 제1절 요약 281 제2절 정책 제언 283 1. 교육과정 개편 283 2. 자격제도 개편 293 3. 기타 297 제3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302 SUMMARY 305 <부록 1> 전자산업 핵심직업별 심층 인터뷰 항목 317 <부록 2> 전자산업의 작업조직과 숙련형성 실태 조사 설문지 342 참고문헌 359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현장의 직업변화를 추적하고 현장의 인력수요를 질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직업연구 방법을 개발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현장 중심의 산업별 직업연구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전자산업을 대상으로 현장 직업연구를 실시한다 셋째, 전자산업의 핵심직업을 대상으로 직업교육 훈련과정 및 출제기준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을 실시한다 넷째, 전자산업 분야 직업종사자들의 스킬과 학습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한다 다섯째, 전자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업연구를 분석하여 전자산업의 직업교육 훈련과 자격을 혁신시킬 수 있는 정책 제안을 한다
Currently, there is a large gap between materials studied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and the knowledge and skills demanded in the working world. The first step towards narrowing this gap between educational training and industry is a detailed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of industry. In consideration of this problem, the Study of Occupation (I) is designed in order to trace the realities of the corporate world, while maintaining a close networking arrangement with industrial settings, to understand what the occupational capabilities that are required of core professionals are, and what kind of educational training and qualifications are needed to support them. In-depth interviews, field observations, work responsibilities analysis, and surveys were employed as the primary methods of studying the occupational requirements of the electronics industr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is a key method for understanding trends in the industry,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job duties from SMEs (Subject Matter Experts), including human resources managers, factory managers, foremen, master mechanics, incumbents of core occupations, and personnel from related institutions within the industry. Both structured and non-structured questions were used together in the in-depth interviews. On-site observations are effective methods of observing, hearing, and understanding work sites. Details of on-site observations are varied, including work processes and systems, related work,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jobs, the work site environment, and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used. Work analysis is a systematic process involving collecting all signific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work, and organizing this information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management goals. The work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ork undertaken on industrial sites, and to use those results to develop appropriate educational training curricula, standards for workplace capabilities development training, and criteria for establishing questions for officially approving qualifications. ...
<표 Ⅱ-1> 각 국가들의 표준직업분류와 ISCO 분류들과의 관계(1990)․16 <표 Ⅲ-1> 심층 인터뷰의 영역별 조사항목․38 <표 Ⅲ-2> 본 연구의 직무분석 직종․44 <표 Ⅲ-3> 직업연구의 설문 조사 주요 영역과 조사항목․45 <표 Ⅲ-4> 전자산업의 직업연구 자문위원․47 <표 Ⅳ-1> 전자산업 수출 추이․50 <표 Ⅳ-2> 전자산업 및 유사산업의 개념, 분류 비교․52 <표 Ⅳ-3>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전자산업 분류․54 <표 Ⅳ-4> 기업의 전자산업 관련 분류․55 <표 Ⅳ-5> 전자산업 관련 분류체계․56 <표 Ⅳ-6>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제조업 中 전자산업의 범위(중분류)․57 <표 Ⅳ-7>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제조업 中 전자산업의 범위(소분류~세세분류)․58 <표 Ⅳ-8> 산업연구원의 전자산업 범위․60 <표 Ⅳ-9> 광공업분류 기준 전자산업 범위․61 <표 Ⅳ-10> 무역분류 기준(MTI) 전자산업 범위․62 <표 Ⅳ-11> 디지털전자 및 전기산업․63 <표 Ⅳ-12> 본 연구의 전자산업의 분류 및 범위․64 <표 Ⅳ-13> 국내 전자산업 생산액 추이․65 <표 Ⅳ-14> 전자산업의 세부 업종별 생산액 추이․66 <표 Ⅳ-15> 국내 전자산업 고용 추이․67 <표 Ⅳ-16> 2003년 전자산업 인력 수요․69 <표 Ⅳ-17> 본 연구의 전자산업 업종별 종사자수, 부가가치 발전 필요성․71 <표 Ⅳ-18> 세계 기술방식별 휴대폰 판매전망․75 <표 Ⅳ-19> 주요 업체별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75 <표 Ⅳ-20> 국내 휴대폰 수급현황․76 <표 Ⅳ-21> 국내 주요 수출품목 순위․76 <표 Ⅳ-22> 전자의료기기 수급동향 및 전망․79 <표 Ⅴ-1> 전자산업 분야 직업분류를 위한 매트릭스(matrix) 모형․86 <표 Ⅴ-2> 본 연구의 전자산업 분야 직업분류․88 <표 Ⅴ-3> 반도체 제조공정별 관련 직업 및 직업․93 <표 Ⅴ-4> 휴대폰 제조공정별 직업 및 직업 개요․97 <표 Ⅴ-5> 전자의료기기 공정별 관련 직업 및 직업개요․102 <표 Ⅴ-6 > 전자산업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의 임금 비교․110 <표 Ⅵ-1> 직업 특성 분석을 위한 심층 인터뷰 응답자 현황․112 <표 Ⅵ-2> 반도체 분야에서 업무수행에 대한 전공분야 지식의 필요도․114 <표 Ⅵ-3> 반도체 분야에서 업무수행에 대한 능력의 필요도․118 <표 Ⅵ-4> 반도체 분야의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태도․120 <표 Ⅵ-5> 반도체 직업관련 대학의 전공 및 교육내용․124 <표 Ⅵ-6> 삼성전자 공과대학교(사내대학)의 현황․127 <표 Ⅵ-7> 반도체 분야 핵심직업 종사자의 지난 1년 동안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참여시간․129 <표 Ⅵ-8> 반도체 분야 핵심직업 종사자들이 직무향상을 위해 참가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내용․131 <표 Ⅵ-9> 교육훈련과 노동시장의 괴리 정도 및 보완사항에 대한 의견․135 <표 Ⅵ-10> 반도체 제조업 종사자들이 보유한 자격증․137 <표 Ⅵ-11> 반도체공정기사의 자격 구조와 내용․139 <표 Ⅵ-12> 휴대폰 분야에서 업무수행에 대한 전공분야 지식의 필요도․140 <표 Ⅵ-13> 휴대폰 분야의 업무수행 능력 필요도․144 <표 Ⅵ-14> 휴대폰 분야의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태도․146 <표 Ⅵ-15> 휴대폰 직업 관련 대학의 전공․148 <표 Ⅵ-16> 직무향상을 위해 개인이 참가한 프로그램․149 <표 Ⅵ-17> 직무향상을 위해 개인이 참가하는 프로그램의 내용․150 <표 Ⅵ-18> 휴대폰제조업의 종사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155 <표 Ⅵ-19> 모바일SW시스템엔지니어 1급 자격의 출제기준(일부)․156 <표 Ⅵ-20> 전자의료기기 분야에서 업무수행에 대한 전공 분야 지식의 필요도․158 <표 Ⅵ-21> 전자의료기기 분야의 업무수행 능력 필요도․161 <표 Ⅵ-22> 전자의료기기 직업 종사자의 태도․163 <표 Ⅵ-23> 전자의료기기 수행업무 관련 전공 및 이수 교육 내용․166 <표 Ⅵ-24> 전자의료기기 5개 핵심직업별 프로그램 내용․167 <표 Ⅵ-25> 전자의료기기 5개 핵심직업별 프로그램 내용․169 <표 Ⅶ-1> 국내의 대표적 휴대폰 업체 현황․190 <표 Ⅶ-2> 전자산업 핵심 업종 종사자들의 스킬과 학습의 특성․199 <표 Ⅶ-3> 반도체 업종의 핵심 직종별 스킬의 특성․203 <표 Ⅶ-4> 휴대폰 업종의 스킬 특성․207 <표 Ⅶ-5> 전자의료기기 업종의 스킬 특성․210 <표 Ⅶ-6> 세부 업종별 조사 대상 직업군․211 <표 Ⅶ-7> 직무수행 능력요소에 대한 인식 - 전체․213 <표 Ⅶ-8> 직무수행 능력 요소 인식 - 업종별․214 <표 Ⅶ-9> 직무수행 능력 요소 인식 - 규모별․215 <표 Ⅶ-10> 직무수행 능력 요소 인식 - 직렬별․216 <표 Ⅶ-11> 직무수행 능력 요소 인식 - 근속기간별․217 <표 Ⅶ-12> 직무수행 태도 요소에 대한 인식 - 전체․219 <표 Ⅶ-13> 직무수행 태도 요소에 대한 인식 - 업종별․220 <표 Ⅶ-14> 직무수행 태도 요소에 대한 인식 - 근속기간별․221 <표 Ⅶ-15> 학교 전공교육의 직무수행 도움정도․223 <표 Ⅶ-16> 교육훈련 방식들의 직무수행능력 향상 기여정도 - 총괄․224 <표 Ⅶ-17〉교육훈련 방식들의 직무수행능력 향상 기여정도 - 업종별․225 <표 Ⅶ-18〉교육훈련 방식들의 직무수행능력 향상 기여정도 - 규모별․226 <표 Ⅶ-19> 교육훈련 방식들의 직무수행능력 향상 기여정도 - 직렬별․226 <표 Ⅶ-20> 교육훈련 방식들의 직무수행능력 향상 기여정도 - 근속기간별․227 <표 Ⅶ-21> 교육훈련 종류별 직무수행 도움정도․228 <표 Ⅶ-22> 교육훈련 종류별 직무수행 도움정도 - 업종별․228 <표 Ⅶ-23> 교육훈련 종류별 직무수행 도움정도 - 직렬별․229 <표 Ⅶ-24> 입사 후 직무 관련 교육훈련 경험․230 <표 Ⅶ-25> 입사 후 직무 관련 교육훈련 기관 유형․231 <표 Ⅶ-26> 입사 후 교육훈련의 유용성 - 업종별․232 <표 Ⅶ-27> 입사 후 교육훈련의 유용성 - 직렬별․232 <표 Ⅶ-28> 입사 후 교육훈련 만족도 - 전체․233 <표 Ⅶ-29> 스킬 효용성 상실 불안감․234 <표 Ⅶ-30> 현재 보유 스킬의 향후 활용가능기간․235 <표 Ⅶ-31> 작업공정이나 기술변동에 따른 교육훈련의 필요성 인식․236 <표 Ⅶ-32> 재교육 훈련수요에 대한 기업의 대응․237 <표 Ⅸ-1> 나노 팹센터의 비교․286 <표 Ⅸ-2> ABET 공학 인증 기준․299 [그림 Ⅰ-1] 전자산업의 직업연구 분석틀․8 [그림 Ⅱ-1] O*NET의 기본모형․25 [그림 Ⅲ-1] 심층 인터뷰의 내용 요소 및 결과의 활용․40 [그림 Ⅳ-1] 전자산업과 유관 산업과의 관계․53 [그림 Ⅴ-1] 정보통신 인력들 사이의 관계․83 [그림 Ⅴ-2]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공정․92 [그림 Ⅴ-3] 휴대폰 제조공정․96 [그림 Ⅴ-4] 전자의료기기의 공정․101 [그림 Ⅴ-5]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분야의 핵심직업과 주변 직업의 관계․106 [그림 Ⅴ-6] 휴대폰 제조분야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의 관계․107 [그림 Ⅴ-7] 전자의료기기 제조분야의 핵심직업과 주변직업의 관계․108 [그림 Ⅵ-1] 반도체 분야에서 업무수행에 대한 능력의 필요도․117 [그림 Ⅵ-2] 반도체 분야 업무에 필요한 스킬의 습득 소요기․122 [그림 Ⅵ-3] 반도체 분야의 교육훈련과 노동시장의 괴리정도․133 [그림 Ⅵ-4] 휴대폰 분야에서 업무수행에 대한 능력의 필요도․143 [그림 Ⅵ-5] 휴대폰 분야 업무에 습득 기간․147 [그림 Ⅵ-6] 교육내용과 수행업무의 괴리 정도․152 [그림 Ⅵ-7] 전자의료기기 분야에서 업무수행에 대한 능력의 필요도․160 [그림 Ⅵ-8] 전자의료기기 분야 업무에 필요한 스킬의 습득 소요 기간․164 [그림 Ⅵ-9] 전자의료기기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의 괴리정도․170 [그림 Ⅶ-1] 지식의 유형과 형질 변환:4가지 과정․179 [그림 Ⅶ-2] 스킬 학습곡선․180 [그림 Ⅶ-3] 학습곡선의 유형․182 [그림 Ⅶ-4] 숙련 학습곡선의 시간적 이동, 공간적 분해․183 [그림 Ⅶ-5] 근속기간별 주요 직무수행 능력 보유수준의 변화․218 [그림 Ⅶ-6] 근속기간별 주요 직무수행 태도 요소 보유수준의 변화․222 [그림 Ⅷ-1] 반도체공정기술개발엔지니어의 직업경로․247 [그림 Ⅷ-2] 반도체설계엔지니어의 직업경로․248 [그림 Ⅷ-3] 휴대폰디자이너의 직업경로․252 [그림 Ⅷ-4] 휴대폰기구설계엔지니어의 직업경로․254 [그림 Ⅷ-5] 전자의료기기상품기획자의 직업경로․258 [그림 Ⅷ-6] 전자의료기기상품기획자의 직업경로․259 [그림 Ⅷ-7] 반도체 기술 인력의 인력구조 변화․260 [그림 Ⅷ-8] 반도체 산업품목별 인력구조의 추이: 설계 분야 인력․262 [그림 Ⅷ-9] 반도체 분야의 향후 5년 뒤 직업전망․263 [그림 Ⅷ-10] A사의 R&D 인력추이․267 [그림 Ⅷ-11] 휴대폰제조업의 직무별로 본 인력구조의 변화․268 [그림 Ⅷ-12] 휴대폰 분야의 향후 5년 뒤 직업전망․270 [그림 Ⅷ-13] 전자의료기기의 제조공정별 인력구조 추이․274 [그림 Ⅷ-14] 전자의료기기 분야의 향후 5년 뒤 직업전망․27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연구(Ⅰ) | 2005.01.01~2005.12.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