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직업구조 특성과 인적자원개발 전략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trategy of the Hospitality Industry
저자
유규창 서용구 신도철 안주엽 문주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5-09-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5.12.30
등록일
2005.12.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 4
   1. 문헌 및 관련자료 분석 4
   2. 전문가 워크숍 4
   3. 통계 분석 5
   4. 방문면접 조사와 이메일 인터뷰 5
   5. 대표 기업 직무분석과 직무 수요조사 5
   6. 해외 벤치마킹 7
제2장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정의 
 제1절  호스피털리티의 정의와 특성 9
   1. 호스피털리티의 정의 9
   2. 호스피털리티의 특징 10
 제2절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이론적 정의 13
 제3절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조작적 정의 16
   1. 표준산업분류와 호스피털리티 산업 16
   2.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분야별 특성 19
   3. 한국표준산업분류를 이용한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조작적 정의 24
   4.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조작적 정의에 대한 재논의 38
제3장  우리나라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발전
 제1절  호스피털리티 산업 유형 1 (숙박/외식업)의 발전 41
 제2절  호스피털리티 산업 유형 2 (여행/운송업)의 발전 46
 제3절  호스피털리티 산업 유형 3 (오락/문화/운동관련 서비스업)의 발전 52
 제4절  한국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발전: 종합적 논의 60
제4장  호스피털리티 관련 산업인력의 공급 현황 
 제1절  호스피털리티 산업 관련 교육기관과 인력 공급 현황 65
   1. 대학 66
   2. 전문대학 68
   3. 기능대학 70
   4. 직업전문학교 71
 제2절  호스피털리티 산업 관련 자격제도 72
 제3절  정부교육프로그램 77
 제4절  산학협력과 주문식 교육 79
   1. 산학협력 79
   2. 주문식교육 86
제5장  호스피털리티 관련 산업인력의 수요 현황
 제1절  카지노산업 96
   1. 업종현황 96
   2. 주요직무 99
 제2절  여행산업 107
   1. 업종현황 107
   2. 주요직무 109
 제3절  외식산업 115
   1. 업종현황 115
   2. 주요직무 119
 제4절  호텔산업 124
   1. 업종현황 124
   2. 주요직무 126
 제5절  컨벤션산업 141
   1. 업종현황 141
   2. 주요직무 144
 제6절  리조트산업 153
   1. 업종현황 153
   2. 주요직무 154
 제7절  호스피털리티 산업 인력수요 현황과 전망 172
   1. 카지노산업 172
   2. 외식업 174
   3. 호텔산업 175
   4. 여행업 176
   5. 컨벤션산업 177
   6. 리조트산업 178
제6장  호스피털리티 산업육성 해외 사례
 제1절  두바이 사례 181
   1. 두바이 성공스토리 183
   2. 두바이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특징 183
   3.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85
 제2절  싱가포르 사례 187
   1. 싱가포르 성공 스토리 187
   2. 싱가포르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특징 190
   3.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94
 제3절  호주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인적자원개발 제도 197
   1. 호주의 인적자원개발 제도의 개요 197
   2. 호스피털리티 자격제도의 유형 199
   3. 자격제도와 역량 표준 204
   4. 자격증 취득 과정 209
   5. 평가 정책 216
   6. 호주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정책적 시사점 219
제7장  결론 및 시사점
<부록 1> 호스피털리티 관련 교육 4년제 대학교 정원 및 전공명 231
<부록 2> 전국 호스피털리티 관련 교육 전문대학교 정원 및 전공명 238
<부록 3>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세세분류별 종사자 수 및 여자비율: 1993-2004 245
<부록 4> 카지노 산업 직무분석 표 261
<부록 5> 여행업 직무분석 표 273
<부록 6> 외식업 직무문서 표 281
<부록 7> 호텔업 직무분석 288
참고문헌 311
  여가를 즐기고 삶의 질을 풍족하게 하기 위한 경제활동의 필요성에 따라 선진국에서 하나의 산업으로 등장한 것이 호스피털리티(Hospitality)산업이다.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발전은 국가 경제면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 호스피털리티 산업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서비스 산업으로서 저성장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주요한 성장 동력 산업 가운데 하나이다. 둘째, 호스피털리티 산업은 고용창출, 국가이미지 제고 등 파급효과가 크고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셋째,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확산은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털리티 산업을 이해하고 향후 인적자원개발 정책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직업 구조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대표적인 업종인 카지노, 여행, 외식, 호텔, 컨벤션, 리조트 등 6개 업종에 속하는 대표 기업들을 선정하여 직무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업구조를 분석하였다. 
<표 Ⅱ-1>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종류․15
<표 Ⅱ-2> 영국 호스피털리티 산업 분류․17
<표 Ⅱ-3> 레저산업의 종류․23
<표 Ⅱ-4> 호스피털리티 산업 유형 1 (숙박 /외식업)의 하위 분류별 종사자 수․26
<표 Ⅱ-5> 호스피털리티 산업 유형 2 (여행/운수업)의 하위 분류별 종사자 수․29
<표 Ⅱ-6> 호스피털리티 산업 유형 3 (오락/문화/운동 관련 서비스업)의 하위 분류별 종사자수․34
<표 Ⅲ-1> 전산업 및 숙박업 음식점업의 종사자 수 및 남녀 비율 추이․45
<표 Ⅲ-2> 대분류 I 분야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종사자 수 및 남녀비율․51
<표 Ⅲ-3> 대분류 Q 분야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종사자 수 및 남녀비율․59
<표 Ⅲ-4>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분야별 종사자 수 및 남녀비율․60
<표 Ⅳ-1> 전국 관광관련 교육기관 및 배출현황․67
<표 Ⅳ-2> 호스피털리티 관련 교육 4년제 대학교 정원 변동 추이․67
<표 Ⅳ-3> 2004년 누리사업 호스피털리티 관련학과 선정 목록․69
<표 Ⅳ-4> 호스피털리티 산업 관련 자격제도․73
<표 Ⅳ-5> 호스피털리티 산업 관련 자격제도 현황․74
<표 Ⅳ-6> 호텔종사원 자격제도의 개정 변화․75
<표 Ⅳ-7> 관광개발아카데미 교육내용․78
<표 Ⅳ-8> 4년제 대학 호스피털리티 관련 학과 커리큘럼 구성 예․80
<표 Ⅳ-9> 2년제 대학교의 호스피털리티 관련 주요 교과목․82
<표 Ⅳ-10> 강원랜드와 산학협력을 체결한 학교 연혁별 목록․84
<표 Ⅳ-11> 강원랜드 산학협력 학교 졸업생 채용현황 (2005년 12월 기준)․85
<표 Ⅳ-12> 주문식교육의 대학과 산업체 발전 기여도․87
<표 Ⅳ-13> 대구보건대학 주문식 교육 학습자료 개발 내용․89
<표 Ⅳ-14> 대구보건대학 서양 및 일본조리 실무 협약교육업체 및 요구 직무내용 현황․89
<표 Ⅳ-15> 제주관광대학 주문식 교육 내용․91
<표 Ⅴ-1> 카지노산업 주요 직무의 5년 후 수요전망․173
<표 Ⅴ-2> 외식산업 주요직무의 5년 후 수요전망․174
<표 Ⅴ-3> 호텔산업 주요직무의 5년 후 수요전망․175
<표 Ⅴ-4> 여행산업 주요직무의 5년 후 수요전망․177
<표 Ⅴ-5> 컨벤션산업 주요직무의 5년 후 수요전망․178
<표 Ⅴ-6> 리조트산업 주요직무의 5년 후 수요전망․179
<표 Ⅵ-1> 호주 자격 프레임워크가 관할하는 12개의 자격제도․197
<표 Ⅵ-2> 관광 자격증: 국가 자격증 코드와 자격증명․200
<표 Ⅵ-3> 호스피털리티 자격증: 국가 자격증 코드와 자격증명․201
<표 Ⅵ-4> 호스피털리티 자격증 I 구성․205
<표 Ⅵ-5> ‘호스피털리티 자격증 I’의 핵심 역량이 제시하는 요건․206
<표 Ⅵ-6> ‘호스피털리티 자격증 I’의 선택 역량이 제시하는 요건․208
<표 Ⅵ-7> 호주 관광 자격증 선택 단위에 따른 직무 예시․212
<표 Ⅵ-8> 호주 호스피털리티 자격증 선택 단위에 따른 직무 예시․214
[그림 Ⅱ-1] 호스피털리티 특징 분석도․11
[그림 Ⅱ-2] 호스피털리티의 특징․13
[그림 Ⅱ-3] 호스피털리티 산업 트라이앵글 분류․19
[그림 Ⅲ-1] ‘551 숙박업’ 세세분류별 종사자 추이․42
[그림 Ⅲ-2] ‘552 음식점업’ 세세분류별 종사자 수 추이․43
[그림 Ⅲ-3] ‘60 육상 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 분야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세세분류별 종사자 수 추이․47
[그림 Ⅲ-4] ‘61, 62 수상 및 항공운송업’ 분야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세세분류별 종사자 수 추이․49
[그림 Ⅲ-5] ‘63 여행알선,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분야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세세분류별 종사자 추이․50
[그림 Ⅲ-6] ‘87 영화 공연’ 분야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세세분류별 종사자 수 추이․53
[그림 Ⅲ-7] ‘882 도서관, 기록보존소, 박물관 및 기타 문화관련 산업’ 종사자 수 추이․55
[그림 Ⅲ-8] ‘883 경기 및 오락스포츠업’ 종사자 수 추이․56
[그림 Ⅲ-9] ‘889 기타 오락관련 사업’ 종사자 수 추이․57
[그림 Ⅴ-1] 카지노 조직도․98
[그림 Ⅴ-2] 카지노 산업 주요 직무와 경력개발경로․100
[그림 Ⅴ-3] 여행업의 조직․109
[그림 Ⅴ-4] 여행산업 주요 직무 및 경력개발경로․110
[그림 Ⅴ-5] 외식체인 기업의 조직도․117
[그림 Ⅴ-6] 페밀리레스토랑의 조직․118
[그림 Ⅴ-7] 외식산업 주요 직무 및 경력개발경로․120
[그림 Ⅴ-8] 호텔의 조직구조․125
[그림 Ⅴ-9] 호텔산업 주요 직무와 경력개발경로 1․128
[그림 Ⅴ-10] 호텔산업 주요 직무와 경력개발경로 2․128
[그림 Ⅴ-11] 국제회의 파급효과․142
[그림 Ⅴ-12] 국제회의 개최 준비위원회 구성․144
[그림 Ⅴ-13] 리조트기업의 조직체계․154
[그림 Ⅵ-1] 역량 단계로 본 호주 관광 자격증의 구성․202
[그림 Ⅵ-2] 역량 단계로 본 호주 호스피털리티 자격증의 구성․203
[그림 Ⅵ-3] 자격증 획득과정․211
[그림 Ⅵ-4] 호주 자격 프레임워크 인증 자격증 평가 방법․21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연구(Ⅰ) 2005.01.01~2005.12.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