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D 중심의 산학협력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for HRD
- 저자
- 정지선 정태화 이종선 김수원 옥준필 주용국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5-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11.30
- 등록일
- 2005.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5 제3절 연구의 내용 5 제4절 연구의 방법 6 1.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수집 및 분석 6 2. 전문가협의회 개최 7 3. 국내외 사례조사 분석 7 제2장 인적자원개발 중심 산학협력의 개념과 방향 제1절 인적자원개발 중심 산학협력의 개념 9 제2절 인적자원개발 산학협력의 특성 14 제3절 산학협력 관련 법령 18 1. 산업교육 진흥 및 산학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18 2. 직업교육훈련촉진법 19 3. 종합 분석 및 시사점 20 제4절 인적자원개발 중심 산학협력체제의 현황 21 제5절 인적자원개발 중심 산학협력체제 구축의 방향 30 제3장 산학협력의 국내외 사례 제1절 해외사례 35 1. 캐나다 워털루 대학의 Co-op 프로그램 35 2. 호주의 샌드위치 프로그램과 TAFE의 산학협력 41 3. 미국 실업계 고등학교의 산학협력 사례 44 4. 미국 초ㆍ중등교육기관의 Job Shadow Program 45 제2절 국내 사례 49 1. 경북대학교 현장실습(샌드위치) 교육과정 49 2. 영진전문대학의 주문식 교육 52 3.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53 4.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초ㆍ중등학교 시장경제교육 프로그램 사례 57 제3절 시사점 59 제4장 산학협력체제 혁신 방안 제1절 대학에서의 인적자원개발 중심 산학협력체제 구축방안 63 1. Macro-Meso-Micro 산학협력 수준별 연계 및 통합 63 2. 혁신주체별 산학협력의 추구 64 3. 대학 유형별 산학협력 추구 67 4. 기업의 산학협력 참여 강화 68 5. 산학협력지원체제의 구축 68 6. 산학협력 인센티브 방안의 모색 69 제2절 직업교육기관에서의 산학협력체제 혁신방안 70 1. 직업교육기관 측의 개선방안 70 2. 산업체 측의 개선방안 75 3. 정부 측의 개선 방안 76 4. 직업교육기관의 산학협력체제 모형 83 제3절 초ㆍ중등학교 산학협력교육의 혁신 지원 방안 87 1. 직업현장견학(체험) 프로그램 운영 사업 87 2. 생애 기초능력 함양 교육 지원 사업 89 3. 일반계 고교 ‘직업과 진로’교과와 연계된 진로탐색 프로그램 운영 사업 90 4. 경제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업 93 5. 멘토링(mentoring) 프로그램 운영 지원 사업 94 6. 직업·경제윤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업 96 7. 초·중등학교 진로지도 담당 교사 연수 지원 사업 98 제5장 결론 제1절 대학의 산학협력체제 혁신 101 제2절 직업교육기관 산학협력체제 혁신 104 제3절 초ㆍ중등학교의 산학협력교육 혁신 109 SUMMURY 113 참고문헌 121
본 연구는 혁신경제의 근간이 되는 인적자원개발 중심의 산학협력체제 구축 방향을 정규교육기관의 수준별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하위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혁신주체별 상호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산학협력 체제 모형을 개발하고, 둘째, 이 모형에 기초하여 혁신주체별 산학협력정책의 실태와 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셋째, 혁신주체별(교육기관, 산업체, 정부) 산학협력 활성화 정책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As educational institutions, government, and industry are recognized as three subjects of innovation, which promote the development of each other, the importance of the mutual connec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m has been increased, guarantee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m. The new goal of industry- academia cooperation is that the three subjects should foster clusters of knowledge capital,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nd construct industry-academia systems which strengthens reciprocal collaboration and connectedness. In fact, government, industry, and colleges, the three parties concerned for the cooperation have insuff- icient understandings of the meaning and strategy of industry- academia cooperation, which i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innovative economy and the searching for concrete public policies and practices. They also do not grasp the overall situations, performances, and problems of the cooperation. This research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dicating the direction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systems focusing o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a milestone of an innovative econo- my. It also intends to develop cooperation models for reinforcing mutual connection and collaboration of three innovation subjects, and draw up schemes for the activation of the cooperation of them. ...
<표 Ⅱ-1> 기존 산학협력과 국가균형발전위의 산학협력과의 차이점 비교․11 <표 Ⅱ-2> 교육기관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구조․12 <표 Ⅱ-3> 산학협력 프로그램 구성요소․13 <표 Ⅱ-4> 인적자원개발 중심의 산학협력과 기존 산학협력과의 비교․18 <표 Ⅱ-5> 시행중인 산학연계 프로그램의 문제점․25 <표 Ⅱ-6> 국가경쟁력과 기술인력 순위․27 <표 Ⅱ-7> 국내 산학협력의 문제점 요약․29 <표 Ⅲ-1> 호주의 산학협력 체제․42 <표 Ⅲ-2> 미국 고등학교 수준에서의 산학협력 사례․45 <표 Ⅲ-3>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프로그램의 내용 및 기대 효과․55 <표 Ⅲ-4> 전경련의 초․중등학교 대상 시장경제교육 프로그램․59 <표 Ⅳ-1> 산학협력 수준별 유형과 정책 초점․64 [그림 Ⅱ-1] 인적자원개발 중심 산학협력체제 모형․17 [그림 Ⅲ-1] Co-op Program 기본 구도․36 [그림 Ⅲ-2] 미국 Job shadow program의 개시 전 작성 양식․47 [그림 Ⅳ-1] 유형별 산학협력체제 모형․65 [그림 Ⅳ-2] 산학협력 주체별 역할 모형․84 [그림 Ⅳ-3] 교육기관의 산학협력 촉진 모형․86 [그림 Ⅳ-4] 초․중등학생 대상 직업현장견학(체험) 프로그램 운영사업도․88 [그림 Ⅳ-5] 생애기초능력 함양 교육 지원 사업도․90 [그림 Ⅳ-6] ‘직업과 진로’과목과 연계된 진로탐색 프로그램 지원사업 운영도․92 [그림 Ⅳ-7] 경제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업 체계도․93 [그림 Ⅳ-8]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지원 사업 체계도․96 [그림 Ⅳ-9] 직업․경제윤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업 체계도․97 [그림 Ⅳ-10] 초․중등학교 진로지도 담당 교사 연수 지원 사업 운영도․9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적자원개발 중심의 산학협력체제 구축 | 2005.01.01~2005.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