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성인직업기초능력

Korean Adults' Key Competences: Analysis of National Data of ALL Survey
저자
임언 오은진 최동선
분류정보
기본연구(2005-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5.12.31
등록일
2005.12.31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의 4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1. 연구의 내용 5
   2. 연구의 방법 7
제2장  ALL 조사의 개요
 제1절  한국의 ALL 조사 참여 경과 11
 제2절  ALL 조사의 내용 13
 제3절  ALL 조사의 방법 15
   1. 모집단 및 표본의 구성 15
   2. 조사 실시 및 채점 17
   3. 자료입력 및 직업 산업분류 20
   4. 문항 모수치 추정 및 스케일링 22
   5. 가중치 부여 26
제3장  성인 직업기초능력의 일반 현황
 제1절  연령과 직업기초능력 33
   1. ALL 1차 보고서에서의 논의 33
   2. 연령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변화 34
 제2절  성별 직업기초능력 차이 36
   1. ALL 1차 보고에서의 논의 36
   2. 한국 성인의 성별 직업기초능력 차이 37
 제3절  학력과 직업기초능력 38
   1. ALL 1차 보고에서의 논의 38
   2. 학력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차이 39
 제4절  부모의 학력과 직업기초능력 41
제4장  평생학습과 직업기초능력
 제1절  평생학습에 대한 쟁점과 실태 53
   1. 평생학습의 의의 53
   2. 평생학습의 형태 55
   3. ALL 1차 조사 결과 57
 제2절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 58
   1. 평생학습 참여율 58
   2. 무형식 평생학습 참여율 62
 제3절  평생학습 참여 목적, 시간, 비용부담 주체 65
   1. 참여 목적 65
   2. 평생학습 참여 시간 66
   3. 평생학습의 비용부담 주체 68
 제4절  평생학습 장애 요인 70
 제5절  직업기초능력과 평생학습 72
제5장  노동시장과 직업기초능력
 제1절  직업 및 산업과 직업기초능력 79
   1. 직업과 직업기초능력 79
   2. 산업과 직업기초능력 83
 제2절  직업기초능력에 따른 고용가능성 87
 제3절  직업기초능력과 임금 89
   1. ALL 1차보고서에서의 논의 89
   2. 소득에 대한 직업기초능력과 교육수준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90
   3. 직업군에 따른 소득 프리미엄 95
제6장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과 스킬 불일치
 제1절  주요 특성별 직업기초능력 활용 현황 117
   1. ALL 1차 보고서 논의 및 직업기초능력 활용의 측정 117
   2. 직업군별 직업기초능력 활용의 차이 119
   3. 성별 직업기초능력 활용 차이 120
   4. 연령별 직업기초능력 활용의 차이 121
 제2절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의 활용 불일치 124
   1. ALL 조사 보고 개요 124
   2. 직업기초능력 활용과 보유 수준의 관계 125
   3. 직업기초능력 과잉 및 직업기초능력 부족 126
제7장  ICT 활용과 직업기초능력
 제1절  지식기반사회에서의 ICT 활용 157
   1. 일반적 논의 및 쟁점 157
   2. All 1차 보고서에서의 논의 160
 제2절  ICT 활용의 일반 현황 161
   1. ICT 활용 정도의 측정 항목 및 방법 161
   2. 주요 특성별 ICT 활용 차이 162
 제3절  직업 및 산업과 ICT 활용 167
   1. 직업군별 ICT 활용 정도의 차이 167
 제4절  ICT 활용과 직업기초능력 171
   1. ICT 활용과 직업기초능력의 관계 171
   2. ICT 활용과 노동시장에서의 임금격차 172
제8장  일상생활과 직업기초능력
 제1절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183
   1. ALL 1차 보고서에서의 논의 및 측정 183
   2. 주요 특성별 일상생활에서의 기초능력 활용 차이 185
   3. 일상생활에서의 기초능력 활용과 직업기초능력과의 관계 191
 제2절  건강과 기초능력 193
   1. ALL 1차 보고서에서의 논의 및 측정 193
   2. 성인 건강지수의 일반적인 특성 194
   3. 건강지수와 직업기초능력의 관계 198
 제3절  직업기초능력과 사회자본 199
   1. 사회자본 중요성 199
   2. 사회자본의 개념 201
   3. 국내ㆍ외의 사회자본 조사 및 연구 202
   4. 주요 특성별 사회자본 실태 205
   5. 사회자본과 직업기초능력 208
제9장  연구결과 종합, 시사점, 후속 과제
 제1절  직업기초능력의 형성과 그 결과 221
   1. 핵심 질문 219
   2. 직업기초능력 형성에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가? 222
   3. 직업기초능력의 감소(skill loss)에 작용하는 것이 무엇인가? 225
   4. 직업기초능력의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성과(outcome)가 무엇인가? 226
 제2절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과제 229
   1. 정책적 시사점 229
   2. 향후 과제 233
SUMMARY 241
<부록 1> 국가간 채점 일치도 검증 결과에 대한 캐나다 통계청의 피드백 내용의 검토결과 및 재채점에의 반영 여부 249
<부록 2> 문항 모수치 259
<부록 3> 주요 변인간 상관계수 261
참고문헌 263
  OECD에서는 1994년부터 1998년에 걸쳐서 ‘국제 성인 문해력 조사’ (Internaional Adult Literacy Survey: IALS)를 실시하였으며 이어서 ‘국제 성인 문해 및 생활능력 조사’(Adult Literacy and Life Skills Survey: ALL 조사)를 진행하였다.
  2005년 6개국이 참여한 1차 보고서가 나왔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조금 늦게 참여한 나라들의 데이터가 수집되는 과정 중에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교육과 노동시장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자, 2002년도에 ALL 사업에 참여하여, 2003년도에 예비조사를, 2004년도에는 5,006명에 대한 본조사를 완료하였다.
  2005년도 연구는 국제비교 데이터 생성과 국내 자료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한국 성인의 직업기초능력의 형성 요인이 무엇이며, 그것의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결과가 무엇인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In the global economic system, the quality of labor in a country is essential components of a national's competitiveness. OECD has performed surveys on competencies in order to compare internationally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training. Korea has participated OECD ALL(Adult Literacy and life skills) survey at 2002, and the main survey was completed at the beginning of 2005. The household survey was executed with 5,506 16~65 age old adults. Prose literacy, document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 skill were meas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ational data of ALL survey in order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on skills formation and skill loss of Korean adults and to find policy implications for life-long learning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international data of ALL survey is expected to be made at 2007.
...
<표 Ⅱ-1> 연도별 주요 사업 추진 내용․12
<표 Ⅱ-2> ALL 조사 도구 하위 영역별 내용․14
<표 Ⅱ-3> 응답자의 특성․16
<표 Ⅱ-4> 하위 영역별 피검사 수․17
<표 Ⅱ-5> 스킬점수 구성 및 각 하위영역에 해당하는 문항․24
<표 Ⅱ-6> 시도별 조사대상 인구 및 PSU 구성․26
<표 Ⅱ-7> 그룹별 모집단 및 표본집단 구성․30
<표 Ⅲ-1>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42
<표 Ⅳ-1> 평생학습 실태조사에서의 조사대상 및 내용․56
<표 Ⅳ-2> 주요 특성별 형식 및 준형식 평생학습 참여율․59
<표 Ⅳ-3> 형식 및 준형식 평생학습 참여율의 국가별 비교․60
<표 Ⅳ-4> 국가별 무형식학습 참여 비율․62
<표 Ⅳ-5> 무형식학습 내용별 참여율․63
<표 Ⅳ-6> 평생학습 참여 목적․66
<표 Ⅳ-7> 평생학습 참여 평균 시간․67
<표 Ⅳ-8> 평생학습 참여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다회귀분석․68
<표 Ⅳ-9> 평생학습 비용 부담 주체․69
<표 Ⅳ-10> 평생학습 장애 요인․71
<표 Ⅳ-11> 직업기초능력이 평생학습 참여와 갖는 관련성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74
<표 Ⅳ-12> 직업기초능력이 무형식학습참여와 갖는 관련성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74
<표 Ⅴ-1> 성별, 연령, 학력 별 직업군 구성․80
<표 Ⅴ-2> ALL 조사에 적용된 기술 및 지식 집약 정도에 따른 산업 분류․84
<표 Ⅴ-3> 성별, 연령, 학력별 산업군 구성․85
<표 Ⅴ-4>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따라서 12개월 동안 취업한 사람과 비교할 때 비경제 활동에 속할 승산비(odds-ratios)(학생과 은퇴자 제외)․89
<표 Ⅴ-5> 직업기초능력과 임금의 관계에 관한 경로모델에 포함된 변인․91
<표 Ⅴ-6> 임금과 직업기초능력 관계에 관한 경로모델에서의 표준화된 회귀계수․93
<표 Ⅴ-7> 모델 적합도 수치․93
<표 Ⅴ-8> 소득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의 설명력(30~45세 남성)․94
<표 Ⅴ-9> 소득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의 설명력(30~45세 여성)․95
<표 Ⅴ-10> 직업군 및 직업기초능력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30~45세)․98
<표 Ⅵ-1>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정도 측정을 위한 문항 및 하위 영역별 신뢰도․119
<표 Ⅵ-2>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과 보유수준의 관계(교육년수 통제)․126
<표 Ⅵ-3>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 유형별 비율․128
<표 Ⅵ-4> 성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128
<표 Ⅵ-5> 관리자의 직업기초능력 매치 유형에 따른 연령 및 교육년수 차이․132
<표 Ⅶ-1> 컴퓨터 활용과 관련한 국외 연구․159
<표 Ⅶ-2> ICT 활용 하위요소별 문항 및 신뢰도․161
<표 Ⅶ-3> 남녀간 ICT 활용 차이․163
<표 Ⅶ-4> ICT 활용 정도에 관한 결과 요인들의 학력별 차이․164
<표 Ⅶ-5> 연령 및 최종 학력에 따른 ICT 활용 차이․166
<표 Ⅶ-6> 지역에 따른 ICT 활용 차이․167
<표 Ⅶ-7> 직업군에 따른 ICT 활용 차이․168
<표 Ⅶ-8> 독해력 수준에 따른 ICT 활용 친숙도의 차이․172
<표 Ⅶ-9> 업무 관련 컴퓨터 사용 빈도와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따른 임금차이․173
<표 Ⅶ-10> “업무 관련 컴퓨터 사용 정도”에 의한 임금격차․175
<표 Ⅷ-1>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정도 및 관련 문항의 신뢰도․184
<표 Ⅷ-2>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와 관련 변인의 중다회귀분석․189
<표 Ⅷ-3>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정도가 독해력에 주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연령대별 비교)․192
<표 Ⅷ-4> 건강상태를 묻는 문항 및 신뢰도․194
<표 Ⅷ-5> SCCBS 사회자본 구성요인 및 설문내용․202
<표 Ⅷ-6> OECD 국가별 사회적 자본․204
<표 Ⅷ-7> 시민적 참여 차원․205
<표 Ⅷ-8> 주요 특성별 단체활동 및 자원봉사 참여 비율․207
<표 Ⅷ-9> 단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210
<표 Ⅷ-10>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211
<표 Ⅸ-1> PIAAC 사업 일정(안)․236
[그림 Ⅱ-1] 검사문항지 채점의 과정․19
[그림 Ⅲ-1] 연령별 직업기초능력 평균․35
[그림 Ⅲ-2] 연령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점수 변화(회귀분석 결과, 고졸 이하)․36
[그림 Ⅲ-3] 성별 직업기초능력 평균․37
[그림 Ⅲ-4] 학력별, 성별, 연령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점수 변화(문서이해력)․38
[그림 Ⅲ-5] 학력별 직업기초능력 평균․40
[그림 Ⅲ-6] 성별, 학력별 직업기초능력 분포(독해력)․41
[그림 Ⅲ-7] 정규교육년수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점수 (회귀분석 곡선 추정 결과)․41
[그림 Ⅳ-1] 특성별 형식 및 준형식 학습 참여 승산비(odds-ratios)․61
[그림 Ⅳ-2] 특성별 무형식학습 참여 승산비(odds-ratios)․64
[그림 Ⅳ-3] 평생학습 비용 부담 주체․69
[그림 Ⅳ-4] 평생학습 참여 장애 요인․72
[그림 Ⅴ-1] 지식기반직업군별 직업기초능력 평균․81
[그림 Ⅴ-2] 성별 및 직업군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평균(독해력)․82
[그림 Ⅴ-3] 연령 및 직업군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평균(독해력)․83
[그림 Ⅴ-4] 지식에 기초한 산업군별 직업기초능력 평균․86
[그림 Ⅴ-5] 문서이해력 수준에 따라서 12개월 동안 취업한 사람과 비교할 때 6개월 이상 실직 상태에 있을 승산비(odds-ratios)․88
[그림 Ⅴ-6] 교육과 직업기초능력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30~45세, 남성)․92
[그림 Ⅴ-7] 교육과 직업기초능력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30~45세, 여성)․93
[그림 Ⅴ-8] 직업군에 따른 주당소득 차이 (생산직 대비 주당소득 증가 퍼센트)․96
[그림 Ⅴ-9] 직업군별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주당임금 평균 (교육수준 통제, 독해력, 30~45세)․97
[그림 Ⅵ-1] 직업군별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120
[그림 Ⅵ-2] 성별 및 직업군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읽기)․121
[그림 Ⅵ-3] 성별 및 직업군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수리)․121
[그림 Ⅵ-4] 연령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분포(단위: Z점수)․122
[그림 Ⅵ-5] 연령 및 학력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읽기)․123
[그림 Ⅵ-6] 연령 및 직업군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수리)․124
[그림 Ⅵ-7]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직업기초능력 활용의 매치 유형․127
[그림 Ⅵ-8] 연령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130
[그림 Ⅵ-9] 학력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130
[그림 Ⅵ-10] 직업군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 비율․131
[그림 Ⅵ-11] 직업기초능력 매치 유형에 따른 관리자가 소속된 사업장 규모․132
[그림 Ⅵ-12] 직업군별 및 산업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비율․133
[그림 Ⅵ-13] 직업기초능력 매치 유형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율 차이․135
[그림 Ⅵ-14] 직업기초능력 매치 유형에 따른 주당임금의 차이․136
[그림 Ⅶ-1] 연령에 따른 ICT 활용 정도 변화․165
[그림 Ⅶ-2] 직업군에 따른 ICT 활용 차이․169
[그림 Ⅶ-3] 산업군에 따른 ICT 활용 차이․170
[그림 Ⅷ-1] 성별․최종 학력별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185
[그림 Ⅷ-2] 성별․고용상태별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186
[그림 Ⅷ-3] 성별․직업군별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187
[그림 Ⅷ-4] 남녀 성인의 연령에 따른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188
[그림 Ⅷ-5] 성별․최종 학력 수준별 건강지수의 차이․195
[그림 Ⅷ-6] 연령에 따른 건강지수의 변화․196
[그림 Ⅷ-7] 성별 및 고용상태별 건강지수의 차이․197
[그림 Ⅷ-8] 성별․직업군별 건강지수의 차이․198
[그림 Ⅷ-9] 건강지수와 성인의 직업기초능력과의 관계․199
[그림 Ⅸ-1] 직업기초능력 형성 모형(남자, 표준화된 회귀계수)․224
[그림 Ⅸ-2] 직업기초능력 형성 모형(여자, 표준화된 회귀계수)․22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성인직업기초능력실태-OECD ALL Project를 중심으로(2005) 2005.01.01~200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