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1> 연도별 주요 사업 추진 내용․12
<표 Ⅱ-2> ALL 조사 도구 하위 영역별 내용․14
<표 Ⅱ-3> 응답자의 특성․16
<표 Ⅱ-4> 하위 영역별 피검사 수․17
<표 Ⅱ-5> 스킬점수 구성 및 각 하위영역에 해당하는 문항․24
<표 Ⅱ-6> 시도별 조사대상 인구 및 PSU 구성․26
<표 Ⅱ-7> 그룹별 모집단 및 표본집단 구성․30
<표 Ⅲ-1>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42
<표 Ⅳ-1> 평생학습 실태조사에서의 조사대상 및 내용․56
<표 Ⅳ-2> 주요 특성별 형식 및 준형식 평생학습 참여율․59
<표 Ⅳ-3> 형식 및 준형식 평생학습 참여율의 국가별 비교․60
<표 Ⅳ-4> 국가별 무형식학습 참여 비율․62
<표 Ⅳ-5> 무형식학습 내용별 참여율․63
<표 Ⅳ-6> 평생학습 참여 목적․66
<표 Ⅳ-7> 평생학습 참여 평균 시간․67
<표 Ⅳ-8> 평생학습 참여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다회귀분석․68
<표 Ⅳ-9> 평생학습 비용 부담 주체․69
<표 Ⅳ-10> 평생학습 장애 요인․71
<표 Ⅳ-11> 직업기초능력이 평생학습 참여와 갖는 관련성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74
<표 Ⅳ-12> 직업기초능력이 무형식학습참여와 갖는 관련성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74
<표 Ⅴ-1> 성별, 연령, 학력 별 직업군 구성․80
<표 Ⅴ-2> ALL 조사에 적용된 기술 및 지식 집약 정도에 따른 산업 분류․84
<표 Ⅴ-3> 성별, 연령, 학력별 산업군 구성․85
<표 Ⅴ-4>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따라서 12개월 동안 취업한 사람과 비교할 때 비경제 활동에 속할 승산비(odds-ratios)(학생과 은퇴자 제외)․89
<표 Ⅴ-5> 직업기초능력과 임금의 관계에 관한 경로모델에 포함된 변인․91
<표 Ⅴ-6> 임금과 직업기초능력 관계에 관한 경로모델에서의 표준화된 회귀계수․93
<표 Ⅴ-7> 모델 적합도 수치․93
<표 Ⅴ-8> 소득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의 설명력(30~45세 남성)․94
<표 Ⅴ-9> 소득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의 설명력(30~45세 여성)․95
<표 Ⅴ-10> 직업군 및 직업기초능력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30~45세)․98
<표 Ⅵ-1>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정도 측정을 위한 문항 및 하위 영역별 신뢰도․119
<표 Ⅵ-2>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과 보유수준의 관계(교육년수 통제)․126
<표 Ⅵ-3>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 유형별 비율․128
<표 Ⅵ-4> 성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128
<표 Ⅵ-5> 관리자의 직업기초능력 매치 유형에 따른 연령 및 교육년수 차이․132
<표 Ⅶ-1> 컴퓨터 활용과 관련한 국외 연구․159
<표 Ⅶ-2> ICT 활용 하위요소별 문항 및 신뢰도․161
<표 Ⅶ-3> 남녀간 ICT 활용 차이․163
<표 Ⅶ-4> ICT 활용 정도에 관한 결과 요인들의 학력별 차이․164
<표 Ⅶ-5> 연령 및 최종 학력에 따른 ICT 활용 차이․166
<표 Ⅶ-6> 지역에 따른 ICT 활용 차이․167
<표 Ⅶ-7> 직업군에 따른 ICT 활용 차이․168
<표 Ⅶ-8> 독해력 수준에 따른 ICT 활용 친숙도의 차이․172
<표 Ⅶ-9> 업무 관련 컴퓨터 사용 빈도와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따른 임금차이․173
<표 Ⅶ-10> “업무 관련 컴퓨터 사용 정도”에 의한 임금격차․175
<표 Ⅷ-1>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정도 및 관련 문항의 신뢰도․184
<표 Ⅷ-2>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와 관련 변인의 중다회귀분석․189
<표 Ⅷ-3>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정도가 독해력에 주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연령대별 비교)․192
<표 Ⅷ-4> 건강상태를 묻는 문항 및 신뢰도․194
<표 Ⅷ-5> SCCBS 사회자본 구성요인 및 설문내용․202
<표 Ⅷ-6> OECD 국가별 사회적 자본․204
<표 Ⅷ-7> 시민적 참여 차원․205
<표 Ⅷ-8> 주요 특성별 단체활동 및 자원봉사 참여 비율․207
<표 Ⅷ-9> 단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210
<표 Ⅷ-10>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211
<표 Ⅸ-1> PIAAC 사업 일정(안)․236
[그림 Ⅱ-1] 검사문항지 채점의 과정․19
[그림 Ⅲ-1] 연령별 직업기초능력 평균․35
[그림 Ⅲ-2] 연령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점수 변화(회귀분석 결과, 고졸 이하)․36
[그림 Ⅲ-3] 성별 직업기초능력 평균․37
[그림 Ⅲ-4] 학력별, 성별, 연령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점수 변화(문서이해력)․38
[그림 Ⅲ-5] 학력별 직업기초능력 평균․40
[그림 Ⅲ-6] 성별, 학력별 직업기초능력 분포(독해력)․41
[그림 Ⅲ-7] 정규교육년수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점수 (회귀분석 곡선 추정 결과)․41
[그림 Ⅳ-1] 특성별 형식 및 준형식 학습 참여 승산비(odds-ratios)․61
[그림 Ⅳ-2] 특성별 무형식학습 참여 승산비(odds-ratios)․64
[그림 Ⅳ-3] 평생학습 비용 부담 주체․69
[그림 Ⅳ-4] 평생학습 참여 장애 요인․72
[그림 Ⅴ-1] 지식기반직업군별 직업기초능력 평균․81
[그림 Ⅴ-2] 성별 및 직업군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평균(독해력)․82
[그림 Ⅴ-3] 연령 및 직업군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평균(독해력)․83
[그림 Ⅴ-4] 지식에 기초한 산업군별 직업기초능력 평균․86
[그림 Ⅴ-5] 문서이해력 수준에 따라서 12개월 동안 취업한 사람과 비교할 때 6개월 이상 실직 상태에 있을 승산비(odds-ratios)․88
[그림 Ⅴ-6] 교육과 직업기초능력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30~45세, 남성)․92
[그림 Ⅴ-7] 교육과 직업기초능력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30~45세, 여성)․93
[그림 Ⅴ-8] 직업군에 따른 주당소득 차이 (생산직 대비 주당소득 증가 퍼센트)․96
[그림 Ⅴ-9] 직업군별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주당임금 평균 (교육수준 통제, 독해력, 30~45세)․97
[그림 Ⅵ-1] 직업군별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120
[그림 Ⅵ-2] 성별 및 직업군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읽기)․121
[그림 Ⅵ-3] 성별 및 직업군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수리)․121
[그림 Ⅵ-4] 연령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 분포(단위: Z점수)․122
[그림 Ⅵ-5] 연령 및 학력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읽기)․123
[그림 Ⅵ-6] 연령 및 직업군에 따른 직장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수리)․124
[그림 Ⅵ-7]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직업기초능력 활용의 매치 유형․127
[그림 Ⅵ-8] 연령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130
[그림 Ⅵ-9] 학력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130
[그림 Ⅵ-10] 직업군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 비율․131
[그림 Ⅵ-11] 직업기초능력 매치 유형에 따른 관리자가 소속된 사업장 규모․132
[그림 Ⅵ-12] 직업군별 및 산업별 직업기초능력 일치 및 불일치비율․133
[그림 Ⅵ-13] 직업기초능력 매치 유형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율 차이․135
[그림 Ⅵ-14] 직업기초능력 매치 유형에 따른 주당임금의 차이․136
[그림 Ⅶ-1] 연령에 따른 ICT 활용 정도 변화․165
[그림 Ⅶ-2] 직업군에 따른 ICT 활용 차이․169
[그림 Ⅶ-3] 산업군에 따른 ICT 활용 차이․170
[그림 Ⅷ-1] 성별․최종 학력별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185
[그림 Ⅷ-2] 성별․고용상태별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186
[그림 Ⅷ-3] 성별․직업군별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187
[그림 Ⅷ-4] 남녀 성인의 연령에 따른 일상생활에서의 직업기초능력 활용도․188
[그림 Ⅷ-5] 성별․최종 학력 수준별 건강지수의 차이․195
[그림 Ⅷ-6] 연령에 따른 건강지수의 변화․196
[그림 Ⅷ-7] 성별 및 고용상태별 건강지수의 차이․197
[그림 Ⅷ-8] 성별․직업군별 건강지수의 차이․198
[그림 Ⅷ-9] 건강지수와 성인의 직업기초능력과의 관계․199
[그림 Ⅸ-1] 직업기초능력 형성 모형(남자, 표준화된 회귀계수)․224
[그림 Ⅸ-2] 직업기초능력 형성 모형(여자, 표준화된 회귀계수)․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