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격분류 및 매뉴얼 개발
Qualifications Classification and Manual Development in Korea
- 저자
- 이동임 김덕기 김상호 정향진 주인중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5-1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10.31
- 등록일
- 2005.10.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제2장 자격분류의 원칙과 기준 제1절 자격분류의 대상과 범위 11 제2절 자격분류의 방법 12 제3절 자격분류의 원칙 15 제4절 자격분류의 기준 17 제5절 자격분류 및 코드의 활용 19 제3장 자격분류 추진절차 및 내용 제1절 자격분류 추진절차 21 제2절 추진절차별 내용 23 제4장 국내ㆍ외 주요 분류체계분석 제1절 산업분류 50 제2절 직업분류 58 제3절 시사점 74 제5장 자격 대분류별 직무분야 연구(sector study) 제1절 직무분야 연구(sector study)의 필요성 77 제2절 직무분야별 연구(sector study) 79 제6장 자격 중분류(카테고리) 연구 제1절 중분류 카테고리의 의의 237 제2절 국내ㆍ외 주요 중분류 카테고리 분석 238 제3절 자격 중분류의 카테고리화 및 정의 260 제7장 자격분류의 코드화 제1절 자격코드 부여 방법 315 제2절 자격코드 318 제8장 자격정보집 제1절 자격정보집 구성내용 355 제2절 개별 정보 생성 방법 357 제9장 결론 제1절 요약 361 제2절 제언 363 SUMMARYㆍ365 <부록>ㆍ371 참고문헌ㆍ375
본 연구의 목적은 아래와 같음. 첫째, 기존의 자격종목 뿐만 아니라 앞으로 신설될 자격종목까지 고려하여 미래지향적이면서도 유연한 자격분류 체계를 구축하는 것임. ※ 이를 위해 우선 대분류별 직무유형에 따른 직무분야 연구(sector study)를 선행. 이 결과물은 중분류 카테고리 설정에 유용. 둘째, 자격 관리운영기관, 고용안정센터, 진로지도관련 기관에서 이 자격분류 및 코드를 원활하게 활용하도록 자격분류표를 만들고, 자격정보집을 개발하는 것임.
○ Objectives of Study This study aims to classify qualification subjects based on consistent classification principles and standards and award codes to them. In addition, a manual is produced in order to provide qualification code utilization method and qualifications information. ○ Contents of Study - Comparison and analysis of local and foreign qualifications and similar classification system - Study on principles and standards of qualification classification - Understanding individual qualification subject and content - Study on major classifications and sub-classifications - Preliminary classification of qualification subjects and field experts review - Secondary classification of qualification subjects and classification results presentation - Final classification of qualification subjects and awarding codes to finally classified qualifications - Preparation of a qualification code manual
<표 Ⅱ-1> 우리나라 자격 현황(2005년 3월 현재)․12 <표 Ⅱ-2> 중앙고용정보원 KECO 및 직능원 자격대분류 비교․14 <표 Ⅲ-1> 국가자격 변경사항․24 <표 Ⅲ-2> 신설국가기술자격 현황․25 <표 Ⅲ-3> 폐지된 국가기술자격 현황․26 <표 Ⅲ-4> 통합된 국가기술자격 현황․26 <표 Ⅲ-5> 연도별 국가공인 민간자격 공인변화 현황․28 <표 Ⅲ-6> 공인인증 취소된 민간자격 현황․29 <표 Ⅲ-7> 주무부처별 국가자격의 종목 및 직종․29 <표 Ⅲ-8> 국가기술자격 기술 기능분야 등급별 자격종목 수․31 <표 Ⅲ-9> 공인민간자격 현황․33 <표 Ⅳ-1> 국제표준산업분류(ISIC) 구성항목․51 <표 Ⅳ-2>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단계별 항목 수․54 <표 Ⅳ-3> 일본표준산업분류(JSIC) 단계별 항목 수․57 <표 Ⅳ-4> 국제직업분류(ISCO-88) 구성항목․59 <표 Ⅳ-5> 표준직업분류 단계별 항목 수․61 <표 Ⅳ-6> 고용직업분류 단계별 항목 수․63 <표 Ⅳ-7> 2002 KECO 직업분류 23개 중분류 체계․65 <표 Ⅳ-8> 취업알선코드 분류단계별 항목 수․68 <표 Ⅳ-9> 호주 ASCO 대분류․69 <표 Ⅳ-10> ASCO와 AQF와의 직능수준 연계․70 <표 Ⅳ-11> 국․내외 각종 분류체계 현황 비교․76 <표 Ⅴ-1> 경영․회계 및 사무 분야 연도별 고용현황․80 <표 Ⅴ-2> 경영․회계 및 사무 분야 취업자 기초현황․81 <표 Ⅴ-3> 경영․회계 및 사무 분야 취업자 학력․82 <표 Ⅴ-4> 경영․회계 및 사무 분야 취업자의 사업체의 규모․82 <표 Ⅴ-5> 경영․회계 및 사무 분야 자격 취득현황․83 <이하 산업별 고용현황 등의 136개 표 생략> [그림 Ⅲ-1] 자격분류 추진 절차․22 [그림 Ⅲ-2] 국가기술자격종목 변천일람표․25 [그림 Ⅲ-3] 국가자격의 자격관리자 현황․36 [그림 Ⅲ-4] 국가기술자격 참고자료․37 [그림 Ⅲ-5] 산업인력공단의 자격검정관련 자료화․37 [그림 Ⅲ-6] 산업별 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39 [그림 Ⅲ-7] 자료 통합작업․40 [그림 Ⅲ-8] OES 통합자료의 코드별 분할․41 [그림 Ⅲ-9] 자격대분류별 기초통계작업․41 [그림 Ⅴ-1] 석유화학제품 제조과정․18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자격분류 및 매뉴얼 개발 | 2005.01.01~2005.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