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전환기 청소년의 진로개발
Trends and Issues of Career Development for Youth at the Transition Stage
- 저자
- 이지연 윤형한 김나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5-1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09.30
- 등록일
- 2005.09.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청소년시기 진로개발의 중요성 1 2. 청년층 실직 예방과 이를 대응하는 체계적 정책 지원에 “진로개발”이 핵심이 되어야 함을 지지하는 근거 제시의 필요성 2 3. 국가 공공정책과 진로지도간 상호역할론의 중요성 4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5 제3절 용어의 정의 8 1. 진로 8 2. 진로개발 8 3. 진로지도 9 4. 진로결정효능감 9 5. 구직효능감 10 6. 진로개발 성과 11 제4절 연구의 한계점 12 제2장 청소년 진로개발 이론 및 선행연구 제1절 청소년 진로선택ㆍ발달 이론 13 1. 진로선택ㆍ발달 이론의 특징 13 2. 청소년 단계의 이론적 특징 24 제2절 청소년 진로개발 연구 동향 26 1. 청소년 진로지도 정책 연구 26 2. 청소년 진로개발 기초연구 27 3. 청소년 패널관련 연구 28 4. 청소년 진로지도 프로그램 및 진로정보 개발 연구 29 5. 소결 34 제3절 청소년 진로개발 주요 영향변인 35 1. 인구통계학적 변인 35 2. 개인 심리 정서 특성 변인 38 3. 환경변인 42 4. 학습경험 46 5. 진로개발 성과변인 50 제3장 청소년 진로개발 지원 현황 및 정책 과제 제1절 학교 진로지도 현황과 과제 55 1. 진로지도 지원체제 현황 56 2.「진로와 직업」교과목 채택 현황 59 3. 교과과정 이외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 60 4. 학교 진로지도 정책과제 및 소결 62 제2절 청소년 “일 체험” 현황과 과제 65 1. 청소년 직업체험 프로그램 70 2. 청소년 직업교육ㆍ훈련 프로그램 83 3. 청소년 직장경험 프로그램 90 4. 일 체험 정책과제 및 소결 95 제4장 진로전환기 청소년의 진로개발 실태와 성과 제1절 진로전환기 청소년 진로개발의 실태 98 1.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데이터 특징 및 분석 98 2. 응답자 특성 115 3. 영향 변인의 기초 통계 116 4. 진로개발 성과 관련 심층적 집단간 분석 138 5. 진로개발 성과에 대한 핵심 영향 변인을 위한 회귀분석 151 6. 소결 및 논의 156 제2절 진로전환기 청소년의 진로개발 성과 161 1. 분석 방법 161 2. 자료 수집 162 3. 가설 168 4. 분석 과정 169 5. 분석 모형 설정 170 6. 모형의 적합도 지수 173 7. 모형의 교차타당화 분석 결과 176 8. 모형에 근거한 성별 및 학교유형간 집단 비교 177 9. 소결 및 논의 206 제5장 결론 및 정책과제 제1절 청소년 진로개발 관련 연구 동향 관련 과제 209 1. 다수 정책연구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정책평가 연구의 수행 209 2. 자녀 진로개발 지원을 위한 학부모 연수 및 프로그램의 확대 210 3. 진로지도 소외계층 청소년에 관한 기초ㆍ현장ㆍ정책연구의 강화 211 제2절 중등단계 학교 진로지도 관련 과제 211 1. 진로체험점수를 반영하는 대입제도와 ‘진로와 직업’교과의 확대운영 212 2. ‘중앙-지역’의 진로지도 특성화 업무 담당의 신설 212 3. 학교진로지도의 질적 수월성을 유도하는 국가 차원의 평가 틀 확립 213 4. 학교 진로지도 소외집단을 향한 정책적 우선 지원 214 제3절 청소년 일 체험 관련 과제 214 1. 사업체 적극 참여를 유도하는 국가차원의 인센티브 제공 및 사업체의 진로교육적 환경 조성 214 2. “일 체험”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수행 및 정책입안의 근거로 활용 215 제4절 청소년 진로개발 실태 분석 관련 과제 216 1. 학교유형에 기초한 차별적 진로지도 기법 및 프로그램 보급 217 2.“실업고 학생-학부모관계”증진을 위한 진로지도 개입의 강화 217 3. 진로개발 역량을 균형있게 함양하는 학교 진로지도의 제공 218 4. 실업계 고등학생 특성에 적합한 특화 진로지도의 필요 218 5. 심층적 집단 간 분석결과 관련 과제 219 제5절 청소년 진로개발 성과 분석 관련과제 223 1. 개인심리특성 혹은 환경특성 보다 진로지도의 경험이 매우 중요 223 2. “가정-학교”간 균형적 진로지도의 제공과 내실화 필요 224 3.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유도하는 진로지도 역할에 관한 논의 필요 224 4. 진로지도 수요자 특성에 적합한 진로지도 개입의 필요성 재확인 225 제6절 종합 225 SUMMARY 229 <부록 1>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2004년 조사 내용(학생용) 235 <부록 2>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2004년 조사 내용(교사용) 238 <부록 3>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2004년 조사 내용(학부모용) 239 <부록 4>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분석 문항의 상관행렬표 240 참고문헌 241
본 연구는 사회적 이슈로 등장되는 청년층 실직의 예방과 이를 대응하는 체계적 정책지원에 “진로개발”이 핵심이 되어야 함을 지지하는 양적 데이터 근거(evidence) 제시의 필요성과 OECD 등 국제기구에서 강조하는 국가 공공정책과 진로지도간의 상호역할론 증대의 주목이 본 연구 수행의 필요성이라 상정하고 출발하였다.
This study is purpose to analyze and suggest the trends and issues of career development for youth who are in the transition Stage. In Chapter 2, the study looks into 3 areas from theoretical perspectives as well as through analyses of preceding studies. First, it introduces theories regarding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for youth. Second, it illustrates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outcome dealing with supporting the career development for youth. Third, it attempts to identify critical variables from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youth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and classifies them into and elaborates on demographic variables, personal attribute variables, environmental variables and learning experience variables. Chapter 3 demonstrates the results of the recent data from national-wide school career guidance system survey from over 8,000 schools, and points out the key trends and issues in the school career guidance system and work experience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level. The national-wide survey wasstructured around the 4 categories of questions. The first set of questions asked what the career guidance support system in the school is. The second set of questions asked whether or how much the school selected the "Career and Vocation" subject in their school curriculum. The survey were also composed of questions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career guidance program as well as requests for proposals for better operations of school career guidance system. Chapter 4 shows the results of 2005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data on the status of and needs for career development among youth who are both in 3rd year of middle and high-school,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as to their perception toward career, career search, career planning, and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study described in Chapters 2, 3 and 4, Chapter 5 proposes ways to strengthen career development specialized for youth in the following 5 areas: first, career guidance support system; second, school facility and equipment; third, career guidance teacher's competencies; fourth, work experience for youth at the school, etc.; and fifth, career development related research area. Concerning career guidance support system, this study proposes that career guidance only teacher should be located every single school to deliver the high quality service to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ncerning school facility and equipment, the study proposes that career information for all needs to be demonstrated in the career counseling office in the school so that students easily access the information to make a wise career decision both special education needed and unneeded students. Concerning career guidance teachers' competencies, the study proposes teachers be granted opportunities for their own career development through provision of initial basic training and promotions. Lastly, concerning career development related research area; the study proposes that a systematic research strategy for showing the evidence of career guidance outcome for youth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policy for career development to youth.
<표 Ⅰ-1> 연구 내용별 추진방법․6 <표 Ⅱ-1> 진로선택이론과 발달이론의 비교․14 <표 Ⅱ-2>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직업선택․19 <표 Ⅱ-3> 사회학습 진로선택 이론의 관련 변인․20 <표 Ⅱ-4> Tiedeman & O'Hara의 의사결정과정과 특징 요약․24 <표 Ⅱ-5> Super, Ginzberg, Tiedeman & O'Hara 이론에서의 청소년 특징․25 <표 Ⅱ-6> 청소년 진로개발 관련 선행 연구의 성과 정리․31 <표 Ⅲ-1> 학교 설립 유형별 진로․취업지도 상담실 설치 여부․57 <표 Ⅲ-2> 학교 설립유형별 진로지도 전담교사 배치여부․58 <표 Ⅲ-3> 학교 설립유형별 진로정보 자료 비치 여부․59 <표 Ⅲ-4> 학교 설립유형별「진로와 직업」교과서 채택 현황․60 <표 Ⅲ-5> 교과과정 이외의 진로지도 관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62 <표 Ⅲ-6> 학교 진로지도 혁신방안의 요약․65 <표 Ⅲ-7> 청소년 일 체험의 형태 및 장․단점․67 <표 Ⅲ-8> 청소년 일 체험 프로그램의 대상 및 운영방식․69 <표 Ⅲ-9> 일과 직업경험을 통한 체험 프로그램 사례․70 <표 Ⅲ-10>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진로체험센터 프로그램 내용․73 <표 Ⅲ-11> 직업체험(훈련)(산업인력공단 직업전문학교) 일정표(예시)․76 <표 Ⅲ-12> 직업전문학교 직업체험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특성․77 <표 Ⅲ-13> 직업체험 활동내용(인천시청소년자원봉사센터)․81 <표 Ⅲ-14> 청소년자원봉사센터 직업체험 내용․82 <표 Ⅲ-15> 직업교육과 훈련을 통한 체험 프로그램 사례․84 <표 Ⅲ-16> 청소년진로체험클럽 내용․88 <표 Ⅲ-17> 직장경험을 통한 체험 프로그램 사례․94 <표 Ⅳ-1> KEEP 데이터 분석 내용 및 분석 전략․99 <표 Ⅳ-2> 본 연구에 사용되는 변인 및 KEEP 추출 문항 및 분석 방법․100 <표 Ⅳ-3> 개인특성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 신뢰도․104 <표 Ⅳ-4> 학교환경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 신뢰도․106 <표 Ⅳ-5> 가정환경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 신뢰도․107 <표 Ⅳ-6> 학습경험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 신뢰도․110 <표 Ⅳ-7> 진로개발 1차 성과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 신뢰도․113 <표 Ⅳ-8> 진로개발 2차 성과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 신뢰도․115 <표 Ⅳ-9> 응답자의 표집 특성․116 <표 Ⅳ-10> 개인 심리․정서특성변인에 대한 집단간 변량분석․117 <표 Ⅳ-11> 정서적 안녕감의 항목별 집단 간 변량분석․119 <표 Ⅳ-12> 직업을 갖는 이유에 대한 집단 간 교차분석․120 <표 Ⅳ-13> 직업선택의 중요 요소에 대한 집단 간 교차분석․121 <표 Ⅳ-14> 환경 변인에 대한 집단 간 변량 분석․123 <표 Ⅳ-15> 실업고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관계의 밀접도 상하집단의 집단 간 변량분석․124 <표 Ⅳ-16> 학교 진로지도 경험 여부에 대한 집단 간 교차분석․127 <표 Ⅳ-17> 학교 진로지도 경험 만족도에 대한 집단간 변량분석․128 <표 Ⅳ-18> 가정 진로지도 경험 여부에 대한 집단 간 교차분석․129 <표 Ⅳ-19> 학습경험의 학교 외 활동과 학교활동에 대한 집단 간 변량 분석․130 <표 Ⅳ-20> 역할모델 대한 집단 간 교차분석․132 <표 Ⅳ-21> 재학 중 근로 경험 대한 집단 간 교차분석․134 <표 Ⅳ-22> 진로개발 1차 성과에 대한 집단 간 변량분석․135 <표 Ⅳ-23> 진로개발 2차 성과변인에 대한 집단 간 변량분석․136 <표 Ⅳ-24> 장(직업), 단기(학과)결정 여부에 대한 교차분석․137 <표 Ⅳ-25> 장기(직업)미결정 이유에 대한 집단 간 교차분석․138 <표 Ⅳ-26> 성별에 따른 진로개발 1차 성과에 대한 집단 간 변량분석․139 <표 Ⅳ-27> 학교 진로지도 경험 횟수에 따른 진로개발 1차 성과에 대한 집단 간 변량분석․141 <표 Ⅳ-28> 진로지도 만족 여부에 대한 집단 간 변량분석․142 <표 Ⅳ-29> 재학 중 근로 경험 여부에 대한 집단 간 변량분석․143 <표 Ⅳ-30> 만족스런 근로 경험 여부에 대한 집단 간 변량분석․145 <표 Ⅳ-31> 자신감 있는 과목과 전공일치로 나눈 집단 간 변량분석․147 <표 Ⅳ-32> 교과자신감과 전공일치여부에 따른 집단 간 변량분석․148 <표 Ⅳ-33> 장기(직업)결정자와 장기(직업)미결정자 정준 판별함수의 요약․149 <표 Ⅳ-34> 진로결정자 VS 진로미결정자의 판별분석의 요약표․150 <표 Ⅳ-35> 판별분석의 분류 정확률․151 <표 Ⅳ-36> 자기이해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152 <표 Ⅳ-37> 단기(학과)정보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153 <표 Ⅳ-38> 장기(직업)정보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154 <표 Ⅳ-39> 진로결정효능감 대한 예언변인들의 중다회귀분석 결과․155 <표 Ⅳ-40> 구직효능감에 대한 중다회귀 분석․156 <표 Ⅳ-41> 생활에서의 자신감(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3 <표 Ⅳ-42> 교과 효능감(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3 <표 Ⅳ-43> 정서적 안녕감(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3 <표 Ⅳ-44> 학교시설(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4 <표 Ⅳ-45> 학교 수업(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4 <표 Ⅳ-46> 부모관계(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4 <표 Ⅳ-47> 학교에서의 진로지도 경험(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5 <표 Ⅳ-48> 가정에서의 진로지도(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5 <표 Ⅳ-49> 자기이해(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5 <표 Ⅳ-50> 진로결정효능감(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5 <표 Ⅳ-51> 직업정보(문항 통계치 및 신뢰도 계수)․166 <표 Ⅳ-52> 모델에 사용된 측정변수들의 기술 통계치․166 <표 Ⅳ-53> 모델1의 적합도 지수․174 <표 Ⅳ-54> 모델1의 교차타당화 결과․176 <표 Ⅳ-55> 모델1에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결과․178 <표 Ⅳ-56> 모델1에서의 학교유형간 비교․181 <표 Ⅳ-57> 모델1에서의 학교유형간 회귀계수 비교․186 <표 Ⅳ-58> 모델 3R의 적합도 지수․189 <표 Ⅳ-59> 모델 3R의 비표준화 경로계수․192 <표 Ⅳ-60> 모델 3의 적합도 지수․195 <표 Ⅳ-61> 모델 3의 교차타당화 결과․196 <표 Ⅳ-62> 모델 3에서의 학교유형간 비표준화 경로계수․201 <표 Ⅳ-63> 모델 3의 성별에 따른 비표준화 경로계수 비교․205 <표 Ⅴ-1> 청소년 진로개발 현황에 근거한 과제의 요약․227 <표 Ⅴ-2> 청소년 진로개발 지원과제의 이슈별 분류․228 [그림 Ⅰ-1]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7 [그림 Ⅱ-1] Holland 이론의 직업적 성격 관계 모형․18 [그림 Ⅲ-1] 직업전문학교 직업체험 프로그램 과정․75 [그림 Ⅲ-2] 잡스쿨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79 [그림 Ⅲ-3] 청소년자원봉사센터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81 [그림 Ⅲ-4] 수서청소년수련관의 진로체험 사업․87 [그림 Ⅲ-5] YMCA의 청소년직업탐험대 프로그램 과정․90 [그림 Ⅲ-6] 청소년인턴쉽의 진행 과정․91 [그림 Ⅳ-1] 학교에서의 직업체험 경험 유무․125 [그림 Ⅳ-2] 학교에서의 진로관련 검사 경험 유무․126 [그림 Ⅳ-3] 모델1의 Amos Graphic Model․170 [그림 Ⅳ-4] 모델2의 Amos Graphic model․172 [그림 Ⅳ-5] 모델1(개인특성변인과 환경특성변인의 상관관계를 포함한 모델)․175 [그림 Ⅳ-6] 모델1의 성별에 따른 집단 비교(남학생)․179 [그림 Ⅳ-7] 모델1의 성별에 따른 집단 비교(여학생)․180 [그림 Ⅳ-8] 모델1에서의 학교유형 비교(중학생)․183 [그림 Ⅳ-9] 모델1에서의 학교유형 비교(실업계 고교생)․184 [그림 Ⅳ-10] 모델1에서의 학교유형 비교(인문계 고교생)․185 [그림 Ⅳ-11] 모델 3R의 Amos Graphic model․191 [그림 Ⅳ-12] 모델 3의 Amos Graphic model(모델 3R로부터 측정변수 ‘학업성취도’를 제외하고 중학생 집단을 포함시킨 모델)․194 [그림 Ⅳ-13] 모델 3에서의 학교유형 비교(중학생)․198 [그림 Ⅳ-14] 모델 3에서의 학교유형 비교(실업계 고교생)․199 [그림 Ⅳ-15] 모델 3에서의 학교유형 비교(인문계 고교생)․200 [그림 Ⅳ-16] 모델 3의 성별에 따른 집단 비교(남학생)․203 [그림 Ⅳ-17] 모델 3의 성별에 따른 집단 비교(여학생)․20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진로전환기 청소년의 진로개발 실태와 과제 | 2005.01.01~2005.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