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 평생학습관리 연구
Self-Directed Lifelong Learning: Guide for Korean SME Employees
- 저자
- 이정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5-2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11.30
- 등록일
- 2005.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1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1. 연구의 필요성 4 2. 연구의 목적 8 제3절 연구대상 및 연구의 제한 9 1. 연구대상 9 2. 연구의 제한 10 제4절 연구방법 12 1. 개괄 12 2. 전문가 면담 및 자문회의 12 3. 전문가 면담 및 자문회의 내용 14 제2장 자기주도 평생학습 이론 제1절 자기주도 평생학습의 이론적 배경 19 1. 자기주도 평생학습 철학적 배경 19 2. 자기주도 평생학습 이론적 배경 28 제2절 자기주도 평생학습관리론 35 1. 자기주도 평생학습 준비도 분석 38 2. 자기주도 평생학습 요구분석 47 3. 자기주도 학습목표 설정 및 인적ㆍ물적 자원 활용 49 4. 자기주도 학습 전략 선택 및 실행 61 5. 자기주도 평가 66 제3장 중소기업 사원의 자기주도 평생학습 관리 가이드 제1절 자기주도 평생학습을 위한 학습준비도 진단가이드 79 1. 학습선호도 분석 79 2. 구매관리 자기주도 평생 학습역량 자가진단 81 3. 개인별 선호 학습유형 86 제2절 자기주도 학습목표 설정을 위한 요구분석 가이드 90 1. 학습자가 인지하는 소속조직의 요구분석 90 2. 자기주도 과업평가 92 제3절 자기주도 학습목표 설정 및 인적ㆍ물적 자원 확보 95 1. 학습목표 우선순위 정하기 및 학습과정 설계 95 2. 학습목표 설정을 위한 개념지도 활용 97 3. 학습목표 설정 점검 작업 98 4. 필요한 학습자원 획득하기 99 5. 학습자원의 종류와 활용방법 100 제4절 자기주도 학습 전략 선택 및 실행 102 1. 자기주도 학습계약 102 2. 평가기준 정하기 104 3. 학습 실행 관련 도구 106 제5절 자기주도 평가 108 1. 검토과정과 평가 성과물 108 2. 평가기준과의 비교과정을 거친 평가결과 109 3. 피드백 110 4. 새로운 그리고 지속되는 학습요구 정리 111 제4장 요약 및 후속연구 제언 제1절 요약 113 제2절 후속연구 제언 116 SUMMARY 121 <부록 1> 중소기업 현황 131 <부록 2> 현장전문가 질문 응답 분석 134 <부록 3> 향후 예상 정책제언 137 <부록 4> 현장전문가 답변용 질문지 146 참고문헌 157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 사원들이 스스로 자기주도 평생학습 관리 다섯 가지 기본요소들 (①자기주도 평생학습준비도 분석(diagnosing self- directed lifelong learning readiness), ②자기주도 평생학습 요구분석(diagnosing self-directed lifelong learning needs), ③학습목표 설정 및 인적 ·물적 자원 활용(setting lifelong learning goals and identifying·deploy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④자기주도 학습전략 선택 및 실행(select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SDL strategies) ⑤자기주도 평가(assessment)) 각각을 스스로 작성하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시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후속연구제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 Study Needs A practical guide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five elements comprising the SDL management system to be operated by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 (KSME) employees needs to be formulated since KSME SDL is becoming a sun-rising business in Korea. Knowledge-based economy in Korea, powered by technology, fueled by information, and driven by knowledge, transforms whole spectrum of human capacity building in lifelong learning. Thus, SDL emerges as leverage for upgrading technology, and information,; imbedded human capacity building which is required for survival in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SDL guide for SME workers is more needed than that for big enterprises in Korea. Big enterprises have infrastructures as well as finances for employing in-house SDL whereas SMEs don't. Industry-wide consortium building is, as an alternative, required for progress in KSME SDL. B. Study Goals The study aims to formulate a guide for KSME SDL, under which a guide for diagnosing SDL needs, one for formulating self-learning goals, one for identify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ne for select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SDL strategies, and another for assessment are designed separately. It also aims at suggesting concrete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Policy suggestion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KSME SDL are postponed until actual SDL cases emerge. Thus, follow-up study suggestions rather than policy ones are made under the justification that KSME SDL in Korea today is still at germination or initial stages... ...
<표 Ⅰ-1> 평생학습과 자기주도 학습의 공통점과 차이점․6 <표 Ⅰ-2> 연구시기별 연구내용과 방법․12 <표 Ⅰ-3> 자문회의 참석자 명단․14 <표 Ⅰ-4> 전문가 면담 내용․15 <표 Ⅰ-5> 자문회의 내용․16 <표 Ⅱ-1> 전통적 교수학습과 자기주도 평생학습․27 <표 Ⅱ-2> 지향하는 학습 스타일․40 <표 Ⅱ-3> 학습선호도와 역량 요소의 매칭․42 <표 Ⅱ-4> 학습유형․46 <표 Ⅱ-5> 인적자원의 종류와 활용방법․58 <표 Ⅱ-6> 물적자원의 종류와 활용방법․60 <표 Ⅱ-7> 학습계획표․62 <표 Ⅱ-8> 이러닝을 통한 일지의 예․64 <표 Ⅱ-9> 이러닝을 통한 일기의 예․65 <표 Ⅱ-10> 이러닝을 통한 저널의 예․65 <표 Ⅱ-11> 포트폴리오 내용을 위한 점검표․68 <표 Ⅱ-12> 동료에게 피드백을 요청하기 위해 해야 하는 질문들․71 <표 Ⅱ-13> 자기주도 평생학습관리 5기본요소 정리․73 <표 Ⅲ-1> 구매관리 사원들의 학습선호도 파악 질문표․79 <표 Ⅲ-2> 구매관리 자기주도 학습역량 자가진단표․81 <표 Ⅲ-3> 학습선호도와 역량의 조합 표․85 <표 Ⅲ-4> 학습준비도 측정 가이드․86 <표 Ⅲ-5> 개인별 선호하는 학습유형․87 <표 Ⅲ-6> 학습목표 설정을 위한 조직의 요구평가 질문․91 <표 Ⅲ-7> 학습목표 설정을 위한 직무과업 일반 내용 답변예시․92 <표 Ⅲ-8> 직무과업 세부내용․94 <표 Ⅲ-9> 학습목표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점검표․98 <표 Ⅲ-10> 학습자원의 종류․100 <표 Ⅲ-11> 학습계약 예시표․102 <표 Ⅲ-12> 평가기준 검증척도․105 <표 Ⅲ-13> 구매관리 프로그램 학습 일지․106 <표 Ⅲ-14> 구매관리 프로그램 학습 일기․107 <표 Ⅲ-15> 구매관리 프로그램 학습 저널․107 <표 Ⅲ-16> 평가를 위해 점검해야 할 포트폴리오․109 <표 Ⅲ-17> 평가결과 검증을 위한 질문․110 <표 Ⅲ-18> 피드백을 위한 질문․111 [그림 Ⅱ-1] 딕과 캐리의 체제적 접근모델․25 [그림 Ⅱ-2] 개념지도 작성법․52 [그림 Ⅱ-3] 학습지원 모델․55 [그림 Ⅱ-4] 반성과 피드백․67 [그림 Ⅲ-1] 자기주도 평생학습과정 순환도․78 [그림 Ⅲ-2] 중소기업 구매관리 사원들의 학습준비도 도출과정․86 [그림 Ⅲ-3] 직무 중 자기주도 학습목표 설정의 구체화에 적용된 개념지도․9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자기주도 평생학습관리 연구 | 2005.03.01~2005.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