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노동과 학습

Labor and Learning in a Ubiquitous Society
저자
장홍근 조위덕 설동훈 조주은 장덕진 서우석 정태석
분류정보
기본연구(2005-2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5.12.31
등록일
2005.12.31
제1장  서론
제2장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혁신과 휴먼라이프
 제1절  IT 기술의 진화와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출현 7
 제2절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핵심개념 9
   1.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12
   2. 3Layer 기반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스템 기술 개념 14
   3.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필요핵심기술 15
 제3절  국내외 유비쿼터스 정책 및 기술 동향 16
   1. 국외 유비쿼터스 정책 및 기술 연구 동향 16
   2. 국내 유비쿼터스 정책 및 기술 연구 동향 25
 제4절  휴먼라이프의 변혁 27
   1. 유비쿼터스 IT와 사회변화 추세 27
   2. 새로운 디지털 문화양식의 확산 28
   3. 유비쿼터스 환경의 우려요소 30
   4. 첨단 지능형 도시 u-City 32
   5. 휴먼라이프 중심의 미래 비전 33
제3장  유비쿼터스 사회와 직업변동
 제1절  개요 39
 제2절  정보사회와 유비쿼터스 사회의 특징 40
   1. 사이버사회로서의 정보사회 40
   2. 지능사회로서의 유비쿼터스 사회 41
 제3절  직업 변동의 시나리오: 산업별 취업구조를 중심으로 42
   1. 정보사회의 직업구성 현황과 전망 43
   2. 유비쿼터스 사회의 직업구성 전망 48
   3.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고려한 직업구성 전망: 일반 서비스업 고용 창출 56
 제4절  유비쿼터스 사회 직업 변동의 주요 특징 59
   1. 일반 서비스직의 감소와 실업문제 59
   2. 직업의 탈경계화와 융합 60
 제5절  유비쿼터스 사회의 유망직업 61
 제6절  소결 64
제4장  유비쿼터스 노동세계
 제1절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 65
   1. 새로운 미래상으로서의 유비쿼터스 사회 65
   2. 정보화사회와 유비쿼터스 사회 66
   3. 유비쿼터스 사회의 발전 전망 67
 제2절  노동세계 전망의 관점 70
   1. 사회기술론적 관점의 필요 70
   2. 기술적 잠재력 70
   3. 사회적 제약 71
 제3절  유비쿼터스 사회의 직업구조 72
   1. 주요 이슈 72
   2. 일자리의 총량적 변화 73
   3. 분야별 일자리 변화 74
   4. 일자리의 질적 수준 변화 74
   5. 성별, 집단별 일자리 배분의 변화 75
   6. u-Work 환경에 따른 국제노동분업구조의 재편 75
 제4절  유비쿼터스 사회의 노동패러다임 76
   1. 유비쿼터스 노동패러다임의 주요 이슈와 u-work 환경 76
   2. u-Work 환경에서 노동의 질적 변화 77
   3. 노사관계 및 노동과정 내 권력관계의 변화 78
   4. 유비쿼터스 감시/통제의 문제 78
   5. 노동생활의 질(Quality of Working Life, QWL)의 변화 79
 제5절  소결 80
제5장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	
 제1절  개요 81
 제2절  기업조직의 변화: 기업사회의 등장과 전환 83
 제3절  유비쿼터스 사회와 부가가치 창출 87
 제4절  기업-소비자-대상을 중심으로 본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 전략 92
   1. 효율적 생산 전략(Bs) 93
   2. 기업간 연계 전략(B-B) 94
   3. 소비자간 연계 전략(b-C-C) 96
   4. 기업-소비자-상품 연계 전략(b-C-C-o) 98
 제5절  소결 101
제6장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여가와 노동
 제1절  개요 105
 제2절  예비적 고찰 107
 제3절  시간 이용 차원의 변화 111
 제4절  공간 활용 차원의 변화 117
 제5절  일과 여가의 관계 변화 120
 제6절  함의 123
제7장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학습과 인적자원개발
 제1절  개요 125
 제2절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노동, 직업, 교육 127
   1. 산업구조 변화와 지식정보 노동 127
   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습과 학교교육의 개혁 130
 제3절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지식과 유비쿼터스 학습체제 134
   1.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정보와 지식의 특성 134
   2. 교육정보화와 유비쿼터스 학습체제 138
 제4절  교육정보화에서 e-러닝과 u-러닝의 한계와 대응책 143
   1. 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지적 재산권 144
   2. 정보의 양적 증대와 지식수준 간의 딜레마 145
   3. 개별화, 파편화된 학습과 의사소통능력 및 공유된 이해의 쇠퇴 147
   4. 지식교육과 가치교육 148
   5. 기술적 종속과 성찰성의 쇠퇴 150
 제5절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인적자원개발과 노동의 미래 151
참고문헌 155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일과 학습의 영역에서 유비쿼터스 환경이 초래할 변화를 직업구조, 노동과정과 통제, 기업조직, 노동력재생산방식, 학습 등의 여러 측면에서 점검하고 정책적 함의를 탐색한 것이다.
<표 Ⅱ-1> 유비쿼터스 기술 분류․15
<표 Ⅱ-2> 미국의 주요 프로젝트․17
<표 Ⅱ-3> 유럽의 주요 프로젝트․21
<표 Ⅱ-4> 일본의 주요 프로젝트․23
<표 Ⅱ-5> 정부 부처별 유비쿼터스 관련 정책 추진현황․26
<표 Ⅱ-6> 유비쿼터스사회에서의 새로운 사회양식 변화․29
<표 Ⅲ-1> 미국의 직업구조 전망․43
<표 Ⅲ-2> 미국의 고용분포 변화․44
<표 Ⅲ-3> 정보사회의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 Ⅰ(1997-2010․46
<표 Ⅳ-1>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에 따른 변화․67
<표 Ⅳ-2> 한국에서 유비쿼터스 사회의 발전 단계 전망․69
<표 Ⅳ-3> IT기술 발전과 U-Work 환경의 발전과정․77
<표 Ⅵ-1> 전 국민의 행동별․성별 요일평균시간 사용량(10세 이상)․113
<표 Ⅵ-2> 컴퓨터 이용 시간 및 행위자 비율, 행위자 평균시간(10세 이상)․114
<표 Ⅵ-3> 미디어별 일회 미디어 사용시간(media usage spam)․115
<표 Ⅵ-4> 노동과 여가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 혹은 유형․121
[그림 Ⅱ-1] IT Mega Trend의 진화․8
[그림 Ⅱ-2] IT 패러다임의 변화 / 한국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론티어 Project․10
[그림 Ⅱ-3]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사 개념들․11
[그림 Ⅱ-4]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모형․12
[그림 Ⅱ-5]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시스템 모델․14
[그림 Ⅱ-6] 5가지 저해요소․31
[그림 Ⅱ-7] u-City 개념도와 서비스․33
[그림 Ⅱ-8] 유비쿼터스 지능공간이 적용될 비전 영역]․36
[그림 Ⅲ-1] 산업별 취업구성 변화(1995-2005년)․45
[그림 Ⅲ-2] 정보사회의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 Ⅱ(2002-2010)․48
[그림 Ⅲ-3] 유비쿼터스 사회의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Ⅰ(2005-2020)․50
[그림 Ⅲ-4] 산업별 취업구성 변화Ⅰ(1995-2020)․51
[그림 Ⅲ-5] IT839정책의 개요․53
[그림 Ⅲ-6] IT839정책의 기대효과․53
[그림 Ⅲ-7] 유비쿼터스 사회의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Ⅱ(2005-2020)․54
[그림 Ⅲ-8] 산업별 취업구성 변화Ⅱ(1995-2020)․55
[그림 Ⅲ-9]  유비쿼터스 사회의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Ⅲ(2005-2020)․58
[그림 Ⅲ-10] 산업별 취업구성 변화Ⅲ(1995-2020)․58
[그림 Ⅳ-1] 유비쿼터스 사회 발전 전망․68
[그림 Ⅵ-1] 인류역사에 나타난 공간 혁명․11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노동과 학습 2005.08.16~200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