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직업의식 구조: 예비적 고찰
The Structure of Korean People
- 저자
- 홍두승 서우석 이기홍 이지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5-2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5.12.31
- 등록일
- 2005.12.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1. 직업의식에 관한 사회 조사의 중요성 1 2. 직업환경의 변화에 따른 직업의식 조사의 중요성 증대 2 3. 직업의식의 설명 변인과 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2 제2절 연구의 목적 3 제3절 연구내용 및 방법 4 1. 연구의 내용 4 2. 연구 방법 6 제2장 직업의식 관련 선행연구 검토 제1절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Ⅰ), (Ⅱ) 검토 9 1.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Ⅰ), (Ⅱ) 검토 9 제2절 기타 주요조사자료 검토 23 1.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23 2. KGSS 및 ISSP 24 3. WVS 25 4.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25 제3절 청소년의 직업의식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 28 제3장 직업의식 개념의 체계화 제1절 직업의식에 대한 두 가지 접근 35 1. 객체로서의 직업 36 2. 주체로서의 직업 36 3. 두 가지 접근방법의 주요 구성요소 37 제2절 객체로서의 직업 38 1. 직업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평가: 직업위신 연구 38 2. 직업적 열망 52 제3절 주체로서의 직업 53 1. 전문 직업성의식 연구 53 2. 조직행동 연구 63 3. 계층의식으로서의 직업의식: 직업 간 거리감 71 제4절 직업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72 1. 배경 변수 72 2. 사회자본 73 제4장 직업의식에 대한 조사도구 개발 제1절 심층면접 조사 결과 77 1. 심층면접 조사 설계 77 2. 심층면접 조사결과의 해석 78 제2절 직업의식 관련 질문 검토 및 제시 81 1. 조사항목 및 선행조사연구의 설문문항 81 2. 항목별 설문문항 비교검토 및 제시 82 제3절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Ⅲ)」질문지 초안 134 제5장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Ⅲ)」의 표집방법 제1절 일반인 표집방법 136 제2절 학생 표집방법 137 1. 고등학생 조사 138 2. 대학생 조사 139 제6장 맺음말 <부록 1> 심층면접 결과 147 <부록 2>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Ⅲ)」질문지 초안 179 참고문헌201
본 연구는 본격적인 직업의식의 준비를 위한 주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다음의 세부 하위 연구 목적을 설정한다. 첫째, 한국인의 직업의식에 관한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2006년 직업의식 조사 계획에 대한 함의를 도출한다. 둘째, 노동시장 및 직업훈련교육 정책의 다양한 쟁점들과 직업의식 조사의 유기적 연관성 제고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2006년에 사용할 직업의식 조사 문항의 상하위 영역에 대한 시안을 개발한다. 넷째, 신뢰성 있는 자료의 확보를 위한 조사 방법을 제시한다.
<표 Ⅱ-1> 1998년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도구 중 ‘직업의식’부분․12 <표 Ⅱ-2> 2002년 직업의식조사의 질문지 하위 영역 구조․16 <표 Ⅱ-3> 1차(1998년) 및 2차(2002년)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도구의 비교․19 <표 Ⅱ-4> 한국인 직업 의식 조사 공통 문항 비교․20 <표 Ⅱ-5> 직업에 대한 태도 1, 2차년도 조사 결과의 비교․21 <표 Ⅱ-6>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의 조사문항․26 <표 Ⅱ-7> 취업형태별 조사항목․27 <표 Ⅱ-8> 청소년 직업의식에 관한 선행 연구 주요 결과․30 <표 Ⅲ-1> 직업의식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법과 구성요소․38 <표 Ⅲ-2> 사회계층 및 이동조사의 <질문 1>과 <질문 2>에 사용된 직업․42 <표 Ⅲ-3> 사회계층 및 이동조사의 <질문 3>에 사용된 직업명칭․43 <표 Ⅲ-4> 사회적 지위, 수입 및 사회적 공헌도에 따른 직업의 순위(1956년)․45 <표 Ⅲ-5> 직업의 평가점수와 순위 (1962년)․46 <표 Ⅲ-6> 직업평가(1967년)․47 <표 Ⅲ-7> 28개 대표직업의 평가점수 (1976년)․48 <표 Ⅲ-8> 30개 대표직업의 평가점수 (1990년)․49 <표 Ⅲ-9> 직업별 자기직업에 대한 평가․50 <표 Ⅲ-10> 각년도 직업의 사회적 위신점수간 상관계수표․50 <표 Ⅲ-11> 직업의 위신점수의 변화 (1962~1990년)․51 <표 Ⅲ-12> 한국국방연구원(1994)의 직업군인의 직업의식 조사 문항․54 <표 Ⅲ-13> 추가된 관련변인에 따른 하위요소․55 <표 Ⅲ-14> 전병재 외(1995)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56 <표 Ⅲ-15> 한국언론연구원(1993)의 한미 언론인 직업의식 비교에서의 집단구분에 따른 주요가치․57 <표 Ⅲ-16> 김문조(1989) 연구에서 사용된 요인에 따른 문항수 및 문항번호․62 <표 Ⅲ-17> 자신의 직업에 대한 평가․62 <표 Ⅲ-18> 직업간 거리감을 측정하기 위해 Laumann 연구에서 사용한 직업․72 <표 Ⅳ-1> 심층면접 조사의 조사항목 및 설문지 내용․78 <표 Ⅳ-2> 조사항목 및 선행조사연구의 설문문항․82 <표 Ⅴ-1> 1차 조사와 2차 조사의 설문 응답자․136 <표 Ⅴ-2> 전공별, 도시규모별 재학생수․138 <표 Ⅴ-3> 전공별, 권역별 재학생수․139 <표 Ⅴ-4> 전국 시도별 대학생수․140 <표 Ⅴ-5> �2005 한국 대학생의 의식과 생활에 관한 조사연구�의 대학별 응답자 분포․141 [그림 Ⅱ-1] 직업의식의 하위 요소․11 [그림 Ⅱ-2]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2002년) 이론적 분석틀․15 [그림 Ⅲ-1] 직업윤리의 구성요소(Wollack et al., 1971)․6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인 직업의식의 구조 | 2005.09.01~2005.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