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e-Learning과 산학협력

E-learning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저자
김선태 최지희 전종호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08.31
등록일
2006.08.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e-Learning산학협력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1. 연구의 내용 2
   2. 연구의 방법 3
   3. 연구의 절차 3
 제3절  연구의 배경 5
   1. 연구의 배경 5
 제4절  용어의 정의 8
   1. e-Learning 8
   2. 산학협력 8
   3.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8
   4.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9
 제5절  연구의 제한점 9
제2장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
 제1절  사례 분석의 주안점 11
   1. 기관의 배경 12
   2. 기관의 전반적 산학협력 현황 12
   3. 기관의 e-Learning 전반적 산학협력 현황 13
   4.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현황 13
 제2절  국내사례 14
   1. 고려대학교 14
   2. 이화여자대학교 21
   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31
   4. 한국산업기술대학교 42
 제3절  외국사례 60
   1. 영국의 LtW(Learning through Work) 60
   2. 미국의 UC-San Diego 66
   3. 호주 TAFEs의 e-Learning과 산학협력 72
   4. 캐나다 Waterloo 대학 76
 제4절  사례분석의 종합적 시사점 79
   1. 정부의 지원 79
   2. 대학의 지리적 지역적 조건 79
   3. 학교의 제도적 지원 80
   4. 교원의 산학협력 및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의 제공 81
   5. e-Learning 인프라의 구축과 강화 81
   6. 대학별 특성화 과정의 설치 82
제3장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운영 현황 및 요구 분석
 제1절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83
   1. 조사 개요 83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87
   3.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현황과 실태 88
   4.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과 기여도 98
   5.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강화 방안 101
   6. 조사 결과 요약 논의 및 시사점 104
 제2절  델파이 조사결과 및 분석 108
   1. 델파이 조사개요 108
   2. 1차 델파이 조사 108
   3. 2차 델파이 조사 115
   4. 3차 델파이 조사 126
   5. 델파이 조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33
 제3절  세미나 개최 결과 및 분석 136
   1. 세미나 개최 개요 136
   2. 주제별 논의 내용 138
   3. 각 대학별 모범사례 143
   4. 세미나 개최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51
제4장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및 모델
 제1절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153
   1. 활성화 방안 제안을 위한 논의와 기본 전제 153
   2. e-Learning과 산학협력 연계 방안 157
 제2절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모델 161
   1. 산학협력 모델개발의 논리적 절차 및 배경 161
   2.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모델 163
제5장  요약 및 제언
 제1절  요약 169
 제2절  제언 171
   1.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운영 체제 정립 171
   2. 정부의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강화 172
   3. 산업체-대학-정부-업종별 협회 등의 e-Learning 산학 네트워크 구축 173
   4.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의 제공 173
SUMMARY 175
<부록 1> e-Learning과 산학협력 대학별 우수사례집(별책부록) 181
<부록 2>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국외사례 183
<부록 3>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우수사례 분석 프레임 219
<부록 4> 설문지 241
<부록 5> 델파이 조사지 및 조사 결과(각 차수별) 285
<부록 6> 델파이 위원 명단 305
<부록 7> 세미나 발표자 및 토론자 명단 307
참고문헌 309
  본 연구는 산학협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e-Learning 측면에서의 산학 협력 우수 사례 및 효과성 분석과 아울러 산학협력 운영 사례 등을 분석하여,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을 정부, 학교, 산업체의 입장에서 입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실직적인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을 제시하였다.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다. 
  첫째,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국내외 우수 사례 분석, 둘째, e-Learning을 통한 산학 협력의 효율성 제고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 셋째,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관련 쟁정사항 도출 및 의견 수렴을 위한 세미나, 넷째,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에 대한 델파이조사 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모델 1, e-Learning 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역할모델, 모델 2,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전국단위), 모델 3,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지역단위) 모델 4,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운영모델이다. 제안하는 모델은 향후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정책추진 및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주요 내용 
    -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및 모델 제시
    -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국내외 우수 사례 및 운영 현황 분석
    -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을 위한 요구 분석
    -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국내 대학별 우수 사례집
  Recently,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s becoming ever more important for the stake-holders; for universities to increase its competitiveness, for industries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ecure human resources, and for the government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its national human resources and technology.
  Along with this, in this information era, how to utilize e-learning to promot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industry,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growing human resources for the future,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takes on this issue and explores its possibility and possible solutions. To pursue this purpose, we looked at exemplary cases where e-learning is utilized as effective means to promote school-industry cooperation. We then surveyed which components of school-industry cooperation is actively utilized through e-learning a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Then we tried to suggest the way to promote school-industry cooperation thorough e-learning for the government, universities, and industries. 
  To achieve this goal, we went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we surveyed how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s being promoted through e-learning at universities and industries. Second, we took case studies of selected universities to get the picture of how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s being pursued via e-learning. Third, we looked at the universities overseas where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industry is further promoted through e-learning. Fourth, we also surveyed the need for school-industry cooperation through e-learning among the schools. Then, based on all the above results, we made recommendations on the division of labor among three stakeholder, the government, schools and industries, and developed operation models of promoting school-industry cooperation through e-learning.       
  In the course of the study, we surveyed 389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nationwide. We also went through a 3-phased Delphi survey among the experts to finally develop a model of promoting school-industry cooperation through e-learning.       
  Major findings from the survey of universit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e-learning provides a more effective way of promoting school-industry cooperation in that e-learning increases accessibility, it saves time and money at the same time, it allows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most respondents agree that there is a great need for increasing th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of the government on e-learning as a means of promoting school-academia cooperation. Third, joint research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need to be further promoted by provision of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th, a better incentive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to encourage the faculty members to participate in school-industry cooperation through e-learning. Fourth,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at universities and their e-learning infrastructure need to be further upgraded to promote school-industry cooperation through e-learning. 
  Based on this result and results from other surveys conducted throughout this study, we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on the role of major stakeholder and future directions. First, a industry- cademia cooper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in Korea where universities, industries, and the government work closely together to promote the cooperation through e-learning. Secon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promoting the cooperation through e-learning should be increased. Third, a network of school-academia cooperation promotion through e-learning need to be established among the government, universities, industries and the sector council for each industry. A proper incentive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to promote participation in the school-industry cooperation through e-learning among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and industry. 
...
<표 Ⅰ-1> e-Learning 특성과 산학협력 촉진에의 적용 가능 요소․5
<표 Ⅰ-2> 산업협력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의 e-Learning을 통한 연계(안)․7
<표 Ⅱ-1>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사례분석의 주요 내용․14
<표 Ⅱ-2> 2006년도 산학협력단 운영사업․33
<표 Ⅱ-3> 한기대 산학협력단 산학협력 약정 체결 내역․35
<표 Ⅱ-4> 新 산학협력 기술교육 사업: 연도별 추진계획․39
<표 Ⅱ-5> Learning through Work(LtW)의 단계(stages)․64
<표 Ⅲ-1>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운영현황 전화조사표․84
<표 Ⅲ-2> 국공립 대학과 사립대학별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혁 운영현황․85
<표 Ⅲ-3> 설문의 문항 구성․86
<표 Ⅲ-4> 설문지 회수율․87
<표 Ⅲ-5> 배경변인․88
<표 Ⅲ-6>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90
<표 Ⅲ-7> 산학협력 프로그램 추진에 있어 어려운 점(복수응답)․92
<표 Ⅲ-8> 산학협력 활성화 우선순위: 1순위․93
<표 Ⅲ-9> 산학협력 활성화 우선순위: 2순위․93
<표 Ⅲ-10> 산학협력 활성화 우선순위: 3순위․94
<표 Ⅲ-11> 대학별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운영 현황(대표사례정리)․95
<표 Ⅲ-12> 가장 성공적인 사례에 대한 분석(대표사례 정리)․96
<표 Ⅲ-13>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 정도․98
<표 Ⅲ-14> 산학협력 프로그램 효과․100
<표 Ⅲ-15>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e-Learning 지원 및 강화 방안․103
<표 Ⅲ-16>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해당 산학협력에서의 e-Learning의 활성화 정도․110
<표 Ⅲ-17> 향후 e-Learning 적용 가능성과 현재 시행중인 e-Learning의 효과에 대한 응답․111
<표 Ⅲ-18> 산학협력 촉진을 위한 e-Learning 도구 활용 분야․112
<표 Ⅲ-19> e-Learning 도구 활용이 가지는 강점에 대한 의견조사․114
<표 Ⅲ-20>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 개발시 고려해야 할 요소․115
<표 Ⅲ-21> 활성화되고 있는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e-Learning 프로그램․117
<표 Ⅲ-22> e-Learning의 적용이 시급한 분야와 적용시 효과가 큰 분야․118
<표 Ⅲ-23> 프로그램별 산학협력을 가장 촉진시킬 수 있는 e-Learning 방식․119
<표 Ⅲ-24> e-Learning이 도입될 경우 기대할 수 있는 효과․120
<표 Ⅲ-25>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을 위한 현재 대학의 여건․122
<표 Ⅲ-26>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추진의 어려운 점․123
<표 Ⅲ-27>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추진의 주요쟁점․124
<표 Ⅲ-28>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개선 방안․125
<표 Ⅲ-29> 대학의 e-Learning 분야의 다양화 필요․126
<표 Ⅲ-30> 상기 모델에 대한 전문가의 동의 정도․127
<표 Ⅲ-31> 상기 산학협력 모델(전국단위)에 대한 전문가 동의 정도․129
<표 Ⅲ-32> 상기 산학협력 모델(지방단위)에 대한 전문가 동의 정도․131
<표 Ⅲ-33> 상기 모델에 대한 전문가의 동의 정도․132
<표 Ⅲ-34> 제1주제 발표 정리․138
<표 Ⅲ-35> 제2주제 발표 정리․138
<표 Ⅲ-36> 제3주제 발표 정리․139
<표 Ⅲ-37> 제4주제 발표 정리․141
<표 Ⅲ-38> 제5주제 발표 정리․143
<표 Ⅳ-1> 모델에 반영할 구성요소․154
<표 Ⅳ-2> e-Learning 특성과 산학협력 원리간의 접목 가능 요소․158
[그림 Ⅰ-1] 연구의 절차․4
[그림 Ⅱ-1] 정보통신 Track 운영체계․19
[그림 Ⅱ-2] 삼성전자의 Track 구성도․19
[그림 Ⅱ-3] 정보통신 Track 프로그램을 통한 산학혁신 시스템․20
[그림 Ⅱ-4] 新 산학협력 기술교육 사업: 산학협력 패키지 사업․37
[그림 Ⅱ-5] 新 산학협력 기술교육 사업: 추진모형․38
[그림 Ⅱ-6] 新 산학협력 기술교육 사업: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체계모형․40
[그림 Ⅱ-7] 엔지니어링 하우스 비전 및 연혁․45
[그림 Ⅱ-8] 엔지니어링 하우스 교육제도․47
[그림 Ⅱ-9] 지역혁신 클러스터 구축․49
[그림 Ⅱ-10] 가족회사 운영도․50
[그림 Ⅱ-11] 가족회사 운영 강화․52
[그림 Ⅱ-12] e-Learning 콘텐츠의 개발․56
[그림 Ⅱ-13] e-Learning을 활용한 산학협력 시스템 모델․58
[그림 Ⅲ-1]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역할 모델․128
[그림 Ⅲ-2]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전국단위)․129
[그림 Ⅲ-3]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지방단위)․130
[그림 Ⅲ-4]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운영 모델․132
[그림 Ⅲ-5]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세미나 발표내용․137
[그림 Ⅲ-6] 인적자원개발 중심 산학협력체제 모형․139
[그림 Ⅲ-7] e-Learning 시장 활성화를 위한 모델․140
[그림 Ⅲ-8] 산학협력단 활성화 구축 모델․142
[그림 Ⅳ-1]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역할 모델․164
[그림 Ⅳ-2]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전국단위)․165
[그림 Ⅳ-3]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모델(지역단위)․166
[그림 Ⅳ-4] e-Learning을 통한 산학협력 운영모델․16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e-Learning과 산학협력 2006.01.01~2006.08.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