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산학클러스터의 HRD 기능 강화 연구

Activating Measures of HRD toward the Industry-Academia Clusters
저자
정지선 박동 이종선 박준식 박철우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09.30
등록일
2006.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산학클러스터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3
 제3절  연구 방법 5
제2장  산학클러스터의 이론적 논의
 제1절  국내외 최근 동향 9
 제2절  클러스터의 개념과 유형 12
   1. 클러스터의 개념 14
   2. 클러스터의 유형 16
   3. 산학 네트워킹의 중요성 20
 제3절  산학클러스터와 HRD 23
   1. 산학클러스터의 인적자원개발 기능 23
   2. 산학클러스터의 구성요소 25
   3. 산학클러스터 분석의 틀  27
제3장  해외 산학클러스터의 HRD 성공사례 
 제1절  미국 31
   1. 실리콘밸리의 발전과정 32
   2.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의 발전과정 48
   3. 실리콘밸리와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의 HRD 64
   4. 실리콘밸리와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의 시사점 79
 제2절  캐나다 80
   1. 윈저-에섹스 자동차 부품산업클러스터의 발전과정 81
   2. 윈저-에섹스 자동차 부품산업클러스터의 HRD 93
   3. 윈저-에섹스 클러스터의 시사점 103
 제3절  핀란드 109
   1. 오울루 테크노폴리스의 발전과정 109
   2. 오울루 테크노폴리스의 HRD 112
   3. 오울루 테크노폴리스의 시사점 127
 제4절  스웨덴 128
   1.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의 발전과정 129
   2.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의 HRD 131
   3.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의 시사점 146
 제5절  독일 148
   1. 튀틀링겐 클러스터의 발전과정 148
   2. 튀틀링겐 클러스터의 HRD 163
   3. 튀틀링겐 클러스터의 시사점 177
제4장  국내 산업클러스터의 HRD 기능 현황
 제1절  국내 산업클러스터의 HRD 기능 현황 181
   1. 반월 시화 클러스터의 발전과정과 현황 181
   2. 반월 시화 클러스터의 네트워킹 191
   3. 부품산업클러스터의 HRD 197
   4. 반월 시화 부품산업클러스터의 HRD 기능 강화 방안 222
 제2절  대덕 R&D 클러스터 225
   1. 대덕 R&D 클러스터의 발전과정과 현황 225
   2. 대덕 클러스터의 네트워킹 236
   3. R&D 클러스터의 HRD 251
   4. 대덕 R&D 클러스터의 HRD 기능 강화 방안 267
 제3절  원주 의료기기클러스터 270
   1. 원주 의료기기클러스터의 발전과정과 현황 270
   2. 원주 의료기기클러스터의 네트워킹 280
   3. 의료기기클러스터의 HRD 286
   4. 원주 의료기기산업클러스터의 HRD 기능 강화 방안 305
 제4절  광주 광산업클러스터와 HRD 311
   1. 광주 광산업클러스터의 발전과정과 현황 311
   2. 광산업클러스터의 네트워킹 324
   3. 광산업클러스터와 HRD 331
   4. 광주 광산업클러스터의 HRD 기능 강화 방안 341
 제5절  창원 기계산업클러스터 343
   1. 창원 기계산업단지의 발전과정과 현황 343
   2. 창원 클러스터의 네트워킹 351
   3. 기계산업클러스터의 HRD  356
   4. 창원 기계산업클러스터의 HRD 기능 강화 방안 365
제5장  산학클러스터의 HRD 기능강화 방안  
 제1절  유형별 산학클러스터의 HRD 기능강화 방안 369
   1. 선진국 산학클러스터의 공통적 성공변수 369
   2. 국내 산학클러스터의 분석과 평가 376
   3. 산학클러스터의 유형별 발전방안 378
 제2절  산학클러스터의 HRD 기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386
제6장  결론  
 제1절  산학클러스터의 기능 강화 효과 393
 제2절  연구의 특징과 한계 395
 제3절  정책제언과 후속 연구과제 396
SUMMARY 399
참고문헌 405
  산학클러스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혁신적이고 현장적응력 있는 인적 자원을 개발하는 일일 것이다. 특히,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혁신클러스터를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인적자원개발이 핵심이 되는 산학 클러스터의 발전을 기반으로써 가능할 것으로 본다. 아울러 국내외 우수인력의 유치를 위한 지방 정주여건 개선과 인센티브 제공이 발전의 필수 조건 일 것이다. 또한 인력의 수요와 공급 불일치 격차를 좁혀 나가고, 숙련인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지역 노동시장 형성이 클러스터의 진화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 연구에서 해외 선진 클러스터 분석으로 추출된 공통적 성공변수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산업을 주도하고 지역인재를 흡수하는 앵커기업과 연구기관이 존재이다. 혁신 클러스터로 진화 하는 과정에는 일정한 임계가 존재하는데, 앵커기업은 이를 넘어서는 데 결정적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클러스터가 입지한 지역사회의 문화, 기업조직 문화의 개방성 정도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선진 클러스터들은 지역사회 내 각종 혁신주체들과 네트워킹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 으며 개별기업 차원의 독립적 인적자원개발보다 지역 내 인적자원개발 파트너쉽을 구축하여 비용 과 위험을 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주요 내용
   - 산학클러스터의 인적자원개발 기능
   - 해외 산학클러스터의 HRD 성공 사례
   - 선진국 산학클러스터의 공통적 성공변수
   - 국내 산학클러스터의 분서과 평가
   - 산학클러스터의 HRD 긴으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dicating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industrial clusters which are at the stage of germination to seek the effective results. In this research 5 industrial clusters are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al phases of industries, networking to stake holders, the function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clusters. Several successful foreign cases are analyzed and deduced some lessons from it. Finally, the strengthening measures of HRD in each cluster are drawn. As methodologies of the research literature survey, analysis of the foreign successful models, focus-interview and consultation with the related experts and specialists, 
...
<표 Ⅱ-1> 전국의 혁신클러스터 시범단지․11
<표 Ⅲ-1> 리서치 트라이앵글 연구단지 입주업체의 분야별 구성(2002년)․59
<표 Ⅲ-2> RTP와 트라이앵글 지역의 시기별 입주 기업 및 창업 기업 수․60
<표 Ⅲ-3> 노스캐롤라이나 고교졸업자들의 졸업이후 진로희망(2005년)․74
<표 Ⅲ-4> RTP의 산학협력을 위한 연구개발비 지원 현황(2002 회계연도)․77
<표 Ⅲ-5> 온타리오 자동차 부품 제조공장과 종사자 수․82
<표 Ⅲ-6> 캐나다 주요 도시의 제조업 고용비중․85
<표 Ⅲ-7> 윈저-에섹스 지역의 자동차산업 관련 사업체 수(2003년)․87
<표 Ⅲ-8> 윈저-에섹스 지역의 기계, 공작기계, 금형 기업들의 설립연도․95
<표 Ⅲ-9> 자동차 산업체들이 지역의 교육기관에 대하여 부여한 등급․99
<표 Ⅲ-10> 협동 프로그램 현황․100
<표 Ⅲ-11> 비즈니스-교육 파트너십 프로그램 현황․100
<표 Ⅲ-12> 세계 성장경쟁력 종합순위 (2003년 10월)․110
<표 Ⅲ-13> 세계 사업경쟁력 종합순위 (2003년 10월)․111
<표 Ⅲ-14> 2003년 R&D 인력․117
<표 Ⅲ-15> 핀란드 정부 연구개발예산 투자액 및 비율 (2003년)․118
<표 Ⅲ-16> 전문기술대학 졸업인증 프로젝트 수행현황 (2000년 말)․124
<표 Ⅲ-17> 2002년도 대학교육 투자내역․134
<표 Ⅲ-18> 벤처 컵 단계별 구성․146
<표 Ⅲ-19> 1955년 Tṻttlingen 시의 업체와 고용 : 외과용 기구․152
<표 Ⅲ-20> 튀틀링겐 의료기기 제조업 기업 및 종사자 현황(1999년)․153
<표 Ⅲ-21> B. Braun 회사 현황․154
<표 Ⅲ-22> 기업의 직업아카데미 선호이유 및 비율․166
<표 Ⅲ-23> 튀틀링겐 클러스터의 당면과제 및 해결방안․178
<표 Ⅳ-1> 시화단지 10대 업종현황․182
<표 Ⅳ-2> 반월단지 10대 업종현황․183
<표 Ⅳ-3> 반월․시화산업단지 산업기술분류 기준, 비전대상업종 집적현황․184
<표 Ⅳ-4> 경기도 연구기관 유형별 분포현황(과학기술부)․192
<표 Ⅳ-5> 주요 기업지원 유관기관 현황․193
<표 Ⅳ-6> 부문별 자체 경쟁력 수준 진단․194
<표 Ⅳ-7> 거래형태․195
<표 Ⅳ-8> 산학연 네트워킹 현황․196
<표 Ⅳ-9> 부진요인․196
<표 Ⅳ-10> 수도권 실업고 입학정원․197
<표 Ⅳ-11> 안산․시흥지역 공업고 2006년 현황․198
<표 Ⅳ-12> 수도권 전문대학정원․199
<표 Ⅳ-13> 반월․시화 클러스터 전문대학 현황․200
<표 Ⅳ-14> 수도권 대학정원․200
<표 Ⅳ-15> 반월․시화 클러스터에 영향을 미치는 4년제 대학 현황․200
<표 Ⅳ-16> 수도권 대학원 입학정원․202
<표 Ⅳ-17> 반월․시화 클러스터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원 현황․203
<표 Ⅳ-18> 2006년도 산학협력확산사업 유형과 예산․204
<표 Ⅳ-19>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중심대학 추진예산․209
<표 Ⅳ-2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사업참여 학생현황․209
<표 Ⅳ-2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사업참여 학과현황․210
<표 Ⅳ-2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차년도 사업성과 및 추진현황․211
<표 Ⅳ-23> 한양대학교 중심대학 추진예산․212
<표 Ⅳ-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차년도 사업목표 및 사업지표․212
<표 Ⅳ-25> 한양대학교 사업참여 학생현황․213
<표 Ⅳ-26> 한양대학교 사업참여 학과현황․213
<표 Ⅳ-27> 한양대학교 1차년도 사업성과 및 추진현황․214
<표 Ⅳ-28> 재교육 관련 정부지원 센터 현황․219
<표 Ⅳ-29> 대덕혁신미니클러스터 회원의 산학연 구성 현황․239
<표 Ⅳ-30> 전략산업별 부족인원 및 부족률․248
<표 Ⅳ-31> 정보통신산업 관련학과 현황(4년제 대학, 2005년도)․253
<표 Ⅳ-32> 생물산업 관련학과 현황(4년제 대학, 2005년도)․256
<표 Ⅳ-33> 첨단부품 및 소재산업 관련학과 현황(4년제 대학)․259
<표 Ⅳ-34> 메카트로닉스 관련학과 현황(4년제 대학)․261
<표 Ⅳ-35> 강원도 내 의료기기산업 생산 추이․272
<표 Ⅳ-36> 원주지역 의료기기 업체 수, 생산 및 수출규모 추이․274
<표 Ⅳ-37> 원주 의료기기 산업기술단지 사업의 전개 과정․278
<표 Ⅳ-38> 연세대학과 원주시의 의료기기 테크노밸리 사업 추진 과정․287
<표 Ⅳ-39> 원주지역 전자의료기기 관련 학과 및 대학 연구소 현황․295
<표 Ⅳ-40> 자체 연구소를 보유한 원주지역 의료기기 전용공단 입주 업체(2004년 5월 현재)․298
<표 Ⅳ-41> 광주 광산업클러스터의 특성 비교․312
<표 Ⅳ-42> 광주 광산업의 생산 및 고용 관련 주요지표 추이․315
<표 Ⅳ-43> 세계시장 대비 국내 광산업 위상(매출액 기준)․319
<표 Ⅳ-44> 지역별 광산업체 현황․320
<표 Ⅳ-45> 국내 광산업체의 분류별 업체 현황․320
<표 Ⅳ-46> 광주지역 중소기업형 광산업체 현황․322
<표 Ⅳ-47> 광주지역 광산업체 매출액 현황․323
<표 Ⅳ-48> 광산업 제1단계 사업 추진성과 (2003년말 기준)․326
<표 Ⅳ-49> 광산업 기술인력양성사업 연차별 추진현황․332
<표 Ⅳ-50> 광주지역 광산업체 및 고용 추이․333
<표 Ⅳ-51> 광주지역 광공학 전공인력 재학생 현황(2006년 3월 현재)․335
<표 Ⅳ-52> 광주지역 광산업 전문 인력 집적 현황(2003년 5월말 현재)․339
<표 Ⅳ-53> 창원 기계산업단지 현황․344
<표 Ⅳ-54> ‘메카노 21’ 2단계 사업 투자계획․346
<표 Ⅳ-55> 창원 기계산업단지 산업화 수준 평가․347
<표 Ⅳ-56> 창원단지의 대기업 입주 현황․348
<표 Ⅳ-57> 창원산업단지의 제조업체 업체 수 추이 및 성장 기여율․349
<표 Ⅳ-58> 연구소 보유 기업체 현황․351
<표 Ⅳ-59> 직능별 고용 비중 현황․312
<표 Ⅳ-60> 창원 산업단지의 기업체 산학연 협력 현황․355
<표 Ⅳ-61> 창원 클러스터 전문대학 현황 (2006년 4월 기준)․357
<표 Ⅳ-62> 창원 클러스터 4년제 대학 현황 (2006년 4월 기준)․358
<표 Ⅳ-63> 창원 클러스터 대학원 현황 (2006년 4월 기준)․359
<표 Ⅳ-64> 창원 클러스터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 (창원, 경남)․360
<표 Ⅳ-65> 창원 산업단지 기업체 연구소의 연구인력 현황․362
<표 Ⅳ-66> 창원 인적자원개발프로그램 현황․365
<표 Ⅴ-1> 선진국의 사례들에서 추출한 산학클러스터의 주요 성공변수․372
<표 Ⅴ-2> 산학클러스터의 평가 기준 및 유형 구분․377
<표 Ⅴ-3> 국내 산학클러스터의 진화 및 HRD 기능에 대한 평가․378
<표 Ⅴ-4> 국내 클러스터의 특성 및 강약점 요약․387
[그림 Ⅱ-1] 클러스터의 유형 분류․16
[그림 Ⅱ-2] 클러스터의 진화단계에 따른 개념구분․17
[그림 Ⅱ-3] 포터의 다이아몬드 분석모델: 클러스터의 발전과 정부의 역할․22
[그림 Ⅱ-4] 산학클러스터 분석틀․29
[그림 Ⅲ-1] 실리콘밸리 고용인들의 직업과 창조성․34
[그림 Ⅲ-2] 실리콘밸리의 산업부문별 고용 및 임금 변화․37
[그림 Ⅲ-3] 실리콘밸리의 고용자당 부가가치 추이(1995-2005)․39
[그림 Ⅲ-4] 미국 벤처자본 투자에서 실리콘밸리의 비중 추이(1995-2005)․40
[그림 Ⅲ-5] 실리콘밸리의 10만 명당 특허등록 추이(1994-2004)․42
[그림 Ⅲ-6] 실리콘밸리의 혁신환경․43
[그림 Ⅲ-7] 실리콘밸리 비전 2010․45
[그림 Ⅲ-8]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의 클러스터 구조․49
[그림 Ⅲ-9] 리서치 트라이앵글의 성장추이(1965-2006)․50
[그림 Ⅲ-10] 캐나다와 미국의 자동차 산업․81
[그림 Ⅲ-11] 5대호 주변 자동차 산업클러스터․83
[그림 Ⅲ-12] 남서부 온타리오의 자동차 부품공장․84
[그림 Ⅲ-13] 윈저-에섹스 자동차 부품산업 구조․86
[그림 Ⅲ-14] 토착형 클러스터 유형․91
[그림 Ⅲ-15] 중계형 클러스터 유형․92
[그림 Ⅲ-16] 윈저-에섹스 자동차 부품 클러스터와 인적자원과의 긴밀도․97
[그림 Ⅲ-17] 튀틀링겐의 광역적 위치․150
[그림 Ⅲ-18] 튀틀링겐의 주변지역․151
[그림 Ⅲ-19] 튀틀링겐 의료기기클러스터의 생산 분야․155
[그림 Ⅲ-20] 튀틀링겐 의료기기클러스터의 생산 시스템․158
[그림 Ⅲ-21] 성숙상품분야에서 시알코트와 튀틀링겐 간 지식 및 상품 연계․159
[그림 Ⅲ-22] 신상품분야에서 시알코트와 튀틀링겐 간 지식 및 상품 연계․160
[그림 Ⅲ-23] 튀틀링겐 의료기기클러스터의 시장연계․162
[그림 Ⅲ-24] 튀틀링겐의 직업교육센터 BBT․169
[그림 Ⅲ-25] 역량 네트워크(Competence Networks) 지역지도․174
[그림 Ⅲ-26] MITT와 주변지역의 관련기관들․175
[그림 Ⅳ-1] 엔지니어링 하우스 제도의 개념도․222
[그림 Ⅳ-2] 대전 3개 산업의 네트워크지수․230
[그림 Ⅳ-3] 대전 3개 산업의 협력경쟁지수․231
[그림 Ⅳ-4] 대전 3개 산업의 조직문화지수․232
[그림 Ⅳ-5] 클러스터 구축 여건 분석 지수 종합 평가․234
[그림 Ⅳ-6] 대덕밸리 혁신클러스터 구성도․237
[그림 Ⅳ-7] 대전의 혁신기능별 연계기관 네트워크․240
[그림 Ⅳ-8] 대전의 혁신주체별 연계기관 네트워크․243
[그림 Ⅳ-9] ETRI 파생 기업의 분포․245
[그림 Ⅳ-10] ETRI 기술이전현황․246
[그림 Ⅳ-11] 정보통신산업 기술직근로자 인력충원계획․249
[그림 Ⅳ-12] 생물산업 기술직근로자 인력충원계획․249
[그림 Ⅳ-13] 메카트로닉스 기술직근로자 인력충원계획․250
[그림 Ⅳ-14] 전략산업별 기술능력 만족도․251
[그림 Ⅳ-15] 정보통신산업 관련학과 졸업자 및 취업자 현황(4년제 대학)․255
[그림 Ⅳ-16] 생물산업 관련학과 졸업자 및 취업자 현황(4년제 대학)․258
[그림 Ⅳ-17] 첨단부품 소재 산업 관련학과 졸업자 및 취업자 현황(4년제 대학)․260
[그림 Ⅳ-18] 메카트로닉스 관련학과 졸업자 및 취업자 현황(4년제 대학)․262
[그림 Ⅳ-19] 강원지역 내 의료기기 업체 현황․271
[그림 Ⅳ-20] 강원지역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종업원 수 현황(2003년 현재)․273
[그림 Ⅳ-21] 연세대학교 의공학과 졸업생 사회진출 현황 (2002년 12월)․290
[그림 Ⅳ-22] 의료기기클러스터의 삼각 협력 체계․303
[그림 Ⅳ-23] 원주지역의 클러스터와 인적자원 협력 체계․304
[그림 Ⅳ-24] 광주 광산업클러스터의 구성 주체․313
[그림 Ⅳ-25] 광산업의 개념․316
[그림 Ⅳ-26] 광산업의 분류․317
[그림 Ⅳ-27] 광산업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단위: 10억 원)․318
[그림 Ⅳ-28] 국내 광산업체의 규모별 현황․321
[그림 Ⅳ-29] 광주지역 분야별 광산업체 현황․322
[그림 Ⅳ-30] 광주 광산업클러스터 연구지원기관과 역할․328
[그림 Ⅳ-31] 창원단지 기계업종의 계통도․348
[그림 Ⅳ-32] 기업 간 연계수준 비교․353
[그림 Ⅴ-1] 선진국 산학클러스터의 인적자원 개발 유형․375
[그림 Ⅴ-2] 국내 산학클러스터의 유형분류․37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산학 클러스터의 HRD 기능강화 연구 2006.01.01~2006.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