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네트워킹과 방과후 학교 활성화
A Study on the Invigoration of After-School Education through Local Networking
- 저자
- 김기홍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6-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6.09.30
- 등록일
- 2006.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방과후 학교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5 1. 문헌연구 5 2. 사례조사를 위한 현장방문 면담조사 6 3. 설문 조사 6 제2장 방과후 학교 활성화를 위한 지역네트워크의 의미 제1절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의 개념 13 제2절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의 역할과 내용 19 제3장 방과후 학교의 지역네트워크 실태 및 요구 조사 분석 제1절 방과후 학교 지역네트워크의 실태 23 1. 방과후 학교 운영 현황 23 2. 지역네트워크 주요 운영 현황과 문제점 28 제2절 방과후 학교 지역네트워크 조사 분석 결과 37 1.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의 현황 37 2.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의 추진 실태 및 효과 41 3.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의 문제점 43 4.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 운영 모형 45 5.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 강화 및 내실화 방안 49 제3절 논의와 시사점 52 1. 방과후 학교 운영과 지역네트워크 현황에서의 시사점 52 2. 방과후 학교 지역네트워크 조사 분석 결과에 대한 시사점 53 제4장 지역네트워크를 통한 방과후 학교 활성화 방안 제1절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 구축 기본 방향 57 1. 지역네트워크 구축 기본 방향 57 2. 지역네트워크 운영 모형 62 제2절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 운영 강화 및 지원 방안 64 1. 국가 차원 64 2. 지자체와 지역사회 비영리 단체 및 기관 차원 68 3. 학교 차원 71 제3절 제언 73 SUMMARY 77 <부록 1> 방과후 학교의 지역네트워크관련 실태 조사 설문지(1종) 81 참고문헌 91
방과후 학교가 정규 교육제도를 보완하고 교육복지실현이라는 사회 안전망 확보를 정책으로 일조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체계화된 정책 수립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 및 지역 사회에서 방과후 학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비영리 단체와 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 하다. 또한, 이들 지역사회의 비영리 단체와 기관들이 갖고 있는 전문적인 인적, 물적 역량을 방과후 학교에 교육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방과후 학교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지역 네트 워크 체제를 구축하고 운영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주요 내용 - 방과후 학교 활성화를 위한 지역 네트워크의 의미 - 방과후 학교의 지역네트워크 실태 및 요구 조사 분석 - 지역네트워크를 통한 방과후 학교 활성화 방안
Since 2005, after-school education is being operated in addition to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with policy goals including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welfare’,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costs’, and ‘tailoring of schools to local community needs’. The purpose of realizing educational welfare is to support and educate low income classes, and to protect and guide teenagers. The goal of the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costs is to absorb various educational demands within schools. And the aim of the tailoring of schools to local community needs is to allow for lifelong learning and to establish a linkage between schools, local community,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for after-school education to become invigorated and to acquire substance by reflecting its original goals, improvement of its operation system and close cooperation with local non-profit organizations are necessary. Also, in order for after-school education to effectively supplement formal education and reduce the gap between students from low and high income households, it needs to provide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through close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fter-school education by region. The local community network conditions related to after-school education are relatively better in urban cities, but rural areas including farming, mountainous and fishing villages have only after-school education to depend on because of the non-existence or low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But because the student body is smaller in rural areas, there are only one or two teachers per subject, and they would be burdened with higher workloads if they take part in after-school education. The circumstances are better in large cities, but after-school education must become more diversified and the expertise of teachers must be improved through faculty exchange among schools. This study will seek ways to establish and support the operation of a regional network system to invigorate after-school education. ...
<표 Ⅰ-1> 설문조사 설계․7 <표 Ⅰ-2> 설문조사 내용․8 <표 Ⅰ-3> 조사 대상의 특성․9 <표 Ⅰ-4> 조사 대상의 학교급별 및 소재지에 대한 세부 특성․10 <표 Ⅱ-1> 기존 방과후 교육활동과 방과후 학교 비교 및 네트워크의 의미․17 <표 Ⅱ-2>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 주체별 역할 내용․19 <표 Ⅱ-3>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 교류 유형과 내용․21 <표 Ⅲ-1> 방과후 학교 실시학교 및 참여 학생 비율 현황․24 <표 Ⅲ-2>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현황․24 <표 Ⅲ-3> 교과프로그램 참여 현황․25 <표 Ⅲ-4>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현황․26 <표 Ⅲ-5> 방과후 학교 유형별 프로그램 수․26 <표 Ⅲ-6> 방과후 학교에서의 외부위탁 프로그램 수․27 <표 Ⅲ-7> 외부기관의 인력지원 현황․27 <표 Ⅲ-8> 방과후 학교 지역네트워크 운영 계획․28 <표 Ⅲ-9> 방과후 학교 지역네트워크 우수사례․31 <표 Ⅲ-10> 방과후 학교 운영의 문제점과 지역네트워크와의 관련성․34 <표 Ⅲ-11> 학교급별에 따른 지역네트워크의 구축 현황․37 <표 Ⅲ-12> 소재지에 다른 지역네트워크의 구축 현황․38 <표 Ⅲ-13> 방과후 학교에서 학교급별 지역네트워크 효과성 인식․39 <표 Ⅲ-14> 방과후 학교에서 소재지별 지역네트워크 효과성 인식․41 <표 Ⅲ-15> 지역네트워크의 실시여부 및 효과․42 <표 Ⅲ-16> 지역네트워크의 추진 경험과 추진계획 없음의 이유․43 <표 Ⅲ-17> 방과후 학교에서 학교급별 지역네트워크의 문제점․44 <표 Ⅲ-18> 방과후 학교에서 소재지별 지역네트워크의 문제점․45 <표 Ⅲ-19> 학교급별에 따른 선호 지역네트워크 운영 모형․46 <표 Ⅲ-20> 소재지별에 따른 선호 지역네트워크 운영 모형․46 <표 Ⅲ-21> 학교중심의 지역네트워크 운영에 바람직한 이유와 바림직하지 않은 이유․47 <표 Ⅲ-22> 비영리 단체 및 기관중심의 지역네트워크 운영에 바람직한 이유와 바림직하지 않은 이유․48 <표 Ⅲ-23> 학교와 비영리 단체 및 기관의 수평적 연계 운영에 바람직한 이유와 바림직하지 않은 이유․48 <표 Ⅲ-24> 지역네트워크 운영 강화 및 내실화 방안에 대한 효과성 정도․50 <표 Ⅲ-25> 방과후 학교에서 지역네트워크 강화 자유의견․51 〔그림 Ⅱ-1〕방과후 학교의 지역네트워크 영역․16 〔그림 Ⅳ-1〕지역네트워크를 통한 방과후 학교 활성화 방안 수립 전략 모델․61 〔그림 Ⅳ-2〕방과후 학교 지역 네트워크 운영 모형․63 〔그림 Ⅳ-3〕방과후 학교 컨설팅 지원단 운영 네트워크․6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지역 네트워킹과 방과후 학교 활성화 | 2006.05.01~2006.09.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