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훈련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의 혁신
A study on the innovative evaluation system for vocational training
- 저자
- 오영훈 김미숙 김수원 류장수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6-1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6.10.31
- 등록일
- 2006.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훈련 평가제도
요 약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내용 3 2. 연구 방법 4 제 2 장 직업훈련기관 평가사업 및 운영 현황 제1절 직업훈련기관 평가사업의 배경 및 목적 6 1. 평가사업의 필요성 6 2. 평가사업의 근거 7 3. 평가 목적 8 4. 우리나라 직업훈련기관 평가 현황 9 제2절 집체훈련기관 평가 16 1. 집체훈련기관 평가 개요 16 2. 평가 기준 19 3. 평가 결과 및 활용 21 4. 집체훈련기관 평가사업의 문제점과 시사점 23 제3절 중소기업 직업훈련컨소시엄 평가 25 1. 중소기업 직업훈련컨소시엄의 개념 및 목적 25 2. 중소기업 직업훈련컨소시엄 평가 개요 26 3. 평가기준 27 4. 평가 결과 27 5. 중소기업직업훈련컨소시엄 평가사업의 문제점과 시사점 31 제4절 원격훈련기관 평가 33 1. 원격훈련기관 평가 개요 33 2. 평가기준 38 3. 평가결과 39 4. 원격훈련기관 평가사업의 문제점과 시사점 40 제5절 평가기준 타당성 검토 42 1. 실업자훈련 평가 내용의 타당성 분석 42 2. 정부위탁훈련기관 평가 내용의 타당성 분석 46 3. 인터넷통신훈련기관 평가 내용의 타당성 분석 49 4. 우편통신훈련 평가 내용의 타당성 분석 54 제 3 장 직업훈련 평가제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평가혁신을 위한 평가이론과 방향 57 1. 훈련에 대한 책임 구조와 평가 57 2. 평가의 역할과 책임 구조 58 3. 평가 실행 61 제2절 평가제도의 이론 및 실제 66 1. 성과평가의 의의 66 2. 성과평가와 성과관리 제도 69 3. 우리나라 성과평가 제도 현황 -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평가제도 72 4. 성과평가의 유형과 절차 75 제3절 메타평가(Meta-evaluation) 모형 81 1. 메타평가(Meta-evaluation)의 이론적 배경 81 2. 직업훈련기관 및 과정 평가를 위한 메타 평가 모형 94 제 4 장 직업훈련 평가제도 및 평가 사업에 대한 메타평가 분석 제1절 조사 개요 97 1. 조사 목적 97 2. 조사 대상 97 3. 설문조사지의 개발 98 제2절 평가대상기관의 일반적 특성 100 1. 훈련유형별 훈련기관유형별 조사대상 100 2. 2005년 평가등급 및 평가등급의 변화 101 제3절 집체훈련기관 메타평가 결과· 109 1. 평가기획 109 2. 서면평가 117 3. 현장평가 119 4. 지방노동지청평가 123 5. 평가결과 124 6. 평가결과의 활용 128 7. 평가사업의 효과 131 제4절 원격훈련기관 메타평가 결과· 139 1. 평가기획 139 2. 서면평가 146 3. 현장평가 148 4. 지방노동지청평가 152 5. 평가결과 153 6. 평가결과의 활용 157 7. 평가사업의 효과 159 제5절 직업훈련기관평가의 개선점 165 1. 평가목적의 적절성 165 2. 훈련기관 평가사업의 개선점 167 제 5 장 직업훈련 평가제도의 혁신 방안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173 1. 직업훈련평가사업의 평가체계 및 평가방식 174 2. 평가기준의 타당성 174 3. 메타평가 결과 175 제2절 직업훈련 평가제도의 혁신 방안 181 1. 직업훈련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 혁신의 의의와 필요성 181 2. 평가체계 및 평가방식의 혁신 182 3. 평가 인프라 개선 186 4. 훈련성과 중심의 평가모델 구축과 평가결과의 공유 187 제3절 결론 및 제언 190 SUMMARY 193 <부록 1> 평가기준의 타당성 검토 198 <부록 2> 설문조사지 (2종) 217 참고문헌 234
본 연구는 현행 직업훈련제도 및 평가사업 전반에 대한 운영 실태와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직업훈련 평가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직업훈련 평가사업은 전반적으로 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훈련의 핵심 목표를 평가함으로써 직업훈련사업에 대한 의사결정과 책임 성의 확보 수단으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직업훈련 평가사업은 평가추진기관의 일원화, 평가시스템의 개선 등을 통하여 평가사업 의 일관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한편, 훈련성과 중심의 평가모델과 평가결과 공유시스템 을 구축함으로써 훈련 수요자의 학습 선택권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 주요 내용 - 직업훈련 평가제도 및 평가사업 운영 현황 - 직업훈련 평가의 이론적 배경 - 직업훈련 평가제도 및 평가사업에 대한 메타평가 분석 - 직업훈련 평가제도의 혁신 방안 및 정책 제언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actice and performance of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system and maximize the outcome of vocational training project. For this, we first identifi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program evaluation, involving the related legislations, policy and system. Second, we reviewed the literature of evaluation theory and constructed meta-evaluation framework, which involved two survey tools for meta-evaluation, and collected evaluation specialists' opinions. We then analyzed the validity and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criteria used in the year 2005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through interpretation of raw evaluation scores of training provid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system was committed to some training programs, responsible for the accountability of, and decision-making concerning vocational training. It means that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assures the quality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enhances trainees' right to choice through provision of various information, strengthens the competitiveness of training providers, helps build a healthy training market, as well as performance-centered service system and policies. ...
<표Ⅱ-1> 우리나라 직업훈련기관평가의 연도별 현황·9 <표Ⅱ-2> 집체훈련 평가 대상 기관·16 <표Ⅱ-3> 집체훈련 평가위원 자격 요건·18 <표Ⅱ-4> 실업자훈련기관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19 <표Ⅱ-5> 실업자 훈련과정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20 <표Ⅱ-6> 정부위탁 훈련기관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21 <표Ⅱ-7> 실업자 훈련기관 평가등급 현황·22 <표Ⅱ-8> 정부위탁 훈련기관 평가등급 현황·22 <표Ⅱ-9> 재직자 훈련기관 평가등급 현황(2004년)·23 <표Ⅱ-10> 중소기업직업훈련컨소시엄 평가기준·28 <표Ⅱ-11> 평가등급별 기관 현황·29 <표Ⅱ-12> 평가대상 그룹별 평균점수 비교·30 <표Ⅱ-13> 평가대상 그룹별 훈련실적 비교·30 <표Ⅱ-14> 2005년 평가참여 기관 현황·33 <표Ⅱ-15> 평가형태별 구분·36 <표Ⅱ-16>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자격 요건·37 <표Ⅱ-17> 2005년도 통신훈련기관 평가 영역별 배점·39 <표Ⅱ-18> 2005년 평가등급별 현황·40 <표Ⅱ-19> 실업자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점수분포·43 <표Ⅱ-20> 실업자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상관계수·43 <표Ⅱ-21> 실업자훈련기관 평가영역별 상관계수·45 <표Ⅱ-22> 정부위탁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점수 분포·46 <표Ⅱ-23> 정부위탁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상관계수·47 <표Ⅱ-24> 정부위탁훈련기관 평가영역별 상관계수·48 <표Ⅱ-25> 인터넷자체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점수분포·49 <표Ⅱ-26> 인터넷자체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상관계수·50 <표Ⅱ-27> 인터넷자체훈련기관 전문가 평가 영역별 상관계수·51 <표Ⅱ-28> 인터넷위탁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점수 분포·52 <표Ⅱ-29> 인터넷위탁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상관계수·52 <표Ⅱ-30> 인터넷위탁훈련기관 평가영역별 상관계수·53 <표Ⅱ-31> 우편통신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점수 분포·54 <표Ⅱ-32> 우편통신훈련기관 평가형태별 상관계수·55 <표Ⅱ-33> 우편통신훈련기관 전문가 평가 영역별 상관계수·56 <표Ⅲ-1> 평가에 대한 역할과 책임·61 <표Ⅲ-2> 기관평가의 주요 내용·73 <표Ⅲ-3> 분석수준별 유형·77 <표Ⅲ-4> Cook and Gruder의 메타평가 유형 분류·86 <표Ⅲ-5> Stufflebeam의 메타평가 구성요소·89 <표Ⅲ-6> Larson과 Berliner의 메타평가 구성 요소 및 세부 항목·90 <표Ⅲ-7> 연구개발사업 메타평가 모형 구성요소 및 평가항목·91 <표Ⅲ-8> 연구개발사업 메타평가 모형 구성요소·92 <표Ⅲ-9> 메타평가 틀(모형)·95 <표Ⅲ-10> 측정변인들의 신뢰도 계수·96 <표Ⅳ-1> 훈련유형별 조사대상 기관·98 <표Ⅳ-2> 조사대상 평가위원·98 <표Ⅳ-3> 설문지 주요 내용·99 <표Ⅳ-4> 훈련유형별 조사대상 훈련기관수·100 <표Ⅳ-5> 훈련기관 유형별 조사 대상 훈련기관수·101 <표Ⅳ-6> 훈련유형별 2005년도 평가등급·102 <표Ⅳ-7> 2005년도 집체훈련 년도별 평가 등급의 변화·102 <표Ⅳ-8> 2005년도 원격훈련 평가 등급의 변화·103 <표Ⅳ-9> 훈련기관 유형별 2005년도 집체훈련 평가등급·105 <표Ⅳ-10> 훈련기관 유형별 2005년도 원격훈련 평가등급·106 <표Ⅳ-11> 훈련직종 분야별 2005년도 평가등급·107 <표Ⅳ-12> 지역별 2005년도 평가등급·108 <표Ⅳ-13>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목적의 적절성·109 <표Ⅳ-14>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목적의 적절성·110 <표Ⅳ-15>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위원의 적절성·110 <표Ⅳ-16>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위원 적절성·111 <표Ⅳ-17>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영역의 타당성·112 <표Ⅳ-18>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영역의 타당성·113 <표Ⅳ-19>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기준의 적절성·114 <표Ⅳ-20>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기준의 적절성·114 <표Ⅳ-21>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의 절차 및 방법, 연수, 지원의 적절성·116 <표Ⅳ-22>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의 절차 및 방법, 연수, 지원의 적절성·117 <표Ⅳ-23>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서면평가의 적절성·118 <표Ⅳ-24>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서면평가의 적절성·119 <표Ⅳ-25>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현장평가위원 및 현장평가의 적절성·120 <표Ⅳ-26>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현장평가위원 및 현장평가의 적절성·120 <표Ⅳ-27>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현장평가 자료, 수행방법, 평가일정의 적절성·122 <표Ⅳ-28>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 현장평가 자료, 수행방법, 평가일정의 적절성·122 <표Ⅳ-29>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지방노동지청 평가의 적절성·123 <표Ⅳ-30>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지방노동청 평가의 적절성·124 <표Ⅳ-31>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결과의 신뢰성·125 <표Ⅳ-32>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결과의 신뢰성·125 <표Ⅳ-33>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보고서 내용의 충실성·126 <표Ⅳ-34>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보고서 내용의 충실성·127 <표Ⅳ-35>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보고서 제공의 적절성·127 <표Ⅳ-36>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보고서 제공의 적절성·128 <표Ⅳ-37>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결과 공개 방법 및 내용의 적절성·128 <표Ⅳ-38>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결과 공개방법 및 내용의 적절성·129 <표Ⅳ-39>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결과 활용의 적절성·130 <표Ⅳ-40>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최하위 평가등급 기관 퇴출의 적절성·130 <표Ⅳ-41> 평가대상 훈련기관 유형별 평가결과 활용의 적절성·130 <표Ⅳ-42> 평가결과 등급별 평가결과 활용의 적절성·131 <표Ⅳ-43>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제도의 효과성·132 <표Ⅳ-44>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제도의 기여도·132 <표Ⅳ-45> 평가기관훈련기관 유형별 평가제도의 기여도·133 <표Ⅳ-46> 훈련기관 평가등급별 평가제도의 기여도·133 <표Ⅳ-47>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결과가 기관운영에 미치는 영향·135 <표Ⅳ-48> 집체훈련기관 기관유형별 평가결과가 기관운영에 미치는 영향·136 <표Ⅳ-49> 집체훈련기관 등급별 평가결과가 기관운영에 미치는 영향·137 <표Ⅳ-50> 집체훈련기관 훈련유형별 메타평가의 적절성·138 <표Ⅳ-51> 집체훈련기관 평가위원의 메타평가의 적절성·138 <표Ⅳ-52>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목적의 적절성·139 <표Ⅳ-53>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목적의 적절성·140 <표Ⅳ-54>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위원 적절성·140 <표Ⅳ-55>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위원 적절성·141 <표Ⅳ-56>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영역의 타당성·142 <표Ⅳ-57>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영역의 타당성·143 <표Ⅳ-58>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기준의 적절성·143 <표Ⅳ-59>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기준의 적절성·144 <표Ⅳ-60>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의 절차 및 방법, 연수, 지원의 적절성 · 145 <표Ⅳ-61>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의 절차 및 방법, 연수, 지원의 적절 성·146 <표Ⅳ-62>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서면평가의 적절성·147 <표Ⅳ-63>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서면평가의 적절성·148 <표Ⅳ-64>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현장평가위원 및 현장평가의 적절성·149 <표Ⅳ-65>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현장평가위원 및 현장평가의 적절성·150 <표Ⅳ-66>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현장평가 수행방법 및 평가일정의 적절 성·151 <표Ⅳ-67>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현장평가 수행방법 및 평가일정의 적절 성·152 <표Ⅳ-68>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지방노동지청 평가의 적절성·153 <표Ⅳ-69>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지방노동청 평가의 적절성·153 <표Ⅳ-70>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결과의 신뢰성·154 <표Ⅳ-71>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결과의 신뢰성·154 <표Ⅳ-72>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보고서 내용의 충실성·155 <표Ⅳ-73>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보고서 내용의 충실성·156 <표Ⅳ-74>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보고서 제공의 적절성·157 <표Ⅳ-75>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보고서 제공의 적절성·157 <표Ⅳ-76>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결과 공개 방법 및 내용의 적절성·158 <표Ⅳ-77>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결과 공개방법 및 내용의 적절성·158 <표Ⅳ-78>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결과 활용의 적절성·159 <표Ⅳ-79>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최하위 평가등급 기관 퇴출의 적절성·159 <표Ⅳ-80>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제도의 기여도·160 <표Ⅳ-81>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평가제도의 기여도·160 <표Ⅳ-82>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평가결과가 기관운영에 미치는 영향·161 <표Ⅳ-83> 원격훈련기관 기관유형별 평가결과가 기관운영에 미치는 영향·162 <표Ⅳ-84> 원격훈련기관 등급별 평가결과가 기관운영에 미치는 영향·163 <표Ⅳ-85> 원격훈련기관 훈련유형별 메타평가의 적절성·164 <표Ⅳ-86> 원격훈련기관 평가위원의 메타평가의 적절성·164 <표Ⅳ-87> 훈련유형별 평가목적의 적절성·166 <표Ⅳ-88> 평가등급별 평가목적의 적절성·167 <표Ⅳ-89> 훈련유형별 우선적으로 보완해야 할 평가유형·168 <표Ⅳ-90> 훈련유형별 평가영역 배점의 적절성·169 <표Ⅳ-91> 훈련유형별 평가영역 배점조정의 필요성·170 <표Ⅳ-92> 평가등급별 평가영역 배점조종의 필요성·170 <표Ⅳ-93> 집체훈련대상별 훈련기관 평가개선 및 보완사항 1순위·172 <표Ⅳ-94> 원격훈련대상별 훈련기관 평가개선 및 보완사항 1순위·172 [그림 Ⅱ-1] 중소기업직업훈련컨소시엄 평가방법 체계도·17 [그림 Ⅱ-2] 2005년 통신훈련기관 평가방법·34 [그림 Ⅲ-1] 교육훈련 체계·58 [그림 Ⅲ-2] 평가 목적·62 [그림 Ⅲ-3] 평가 관련 집단의 역할·63 [그림 Ⅲ-4] 평가 모형·64 [그림 Ⅲ-5] 평가 실행 절차·6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의 혁신 | 2006.01.01~2006.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