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보건의료산업의 직업연구

Occupational Research on Health and Medical Industry
저자
한상근 박천수 이동임 정윤경 최동선 정향진 이주호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1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10.31
등록일
2006.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보건의료산업; 직업전망; 직무분석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5
   1. 연구의 대상산업 5
   2. 연구의 구성체계 5
   3. 국내외 자료 분석 6
   4. 심층 인터뷰 및 설문조사 7
   5. 직무분석 11
   6. 산업체 및 유관기관과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11
제2장  보건의료분야 직업에 관한 선행연구
 제1절  해외의 보건의료분야 직업 관련 연구 13
   1. 캘리포니아 주의 산업별 직업연구 13
   2. 미국 BLS의 보건의료산업의 직업 14
   3. 기타 보건의료산업의 직업에 관한 연구 17
 제2절  국내의 보건의료분야 직업에 관한 연구 19
   1. 인력수급 및 서비스 체계에 관한 연구 19
   2. 자격 및 직업에 관한 연구 21
   3. 보건의료분야 직업의 직무분석 현황 23
 제3절  시사점 24
제3장  보건의료산업의 현황 및 동향
 제1절  보건의료산업의 현황 25
 제2절  보건의료산업의 특징 31
   1. 고부가가치 산업 32
   2. 노동집약적 산업 33
   3. 다른 산업분야와 연계도가 낮은 독립형 산업 34
 제3절  보건의료산업 관련 최근 동향 35
   1. 보건의료산업 시장의 개방 35
   2. e-Health(또는 u-Healthcare) 39
제4장  보건의료산업의 산업분류와 직업분류
 제1절  보건의료산업의 산업분류 45
 제2절  보건의료산업의 직업분류 48
   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에 의한 의료분야 직업 48
   2. 한국고용직업분류에 의한 의료분야 직업 56
   3. 직업분류 체계의 비교 63
   4. 보건의료산업 종사자의 직업 65
 제3절  연구대상 직종의 선정 66
   1. 보건의료산업의 직업구조 66
   2. 보건의료산업의 주요 직종: 기존 연구 67
   3. 조사대상 직종의 선정 68
제5장  보건의료산업 분야 직업의 특성
 제1절  경력개발 77
   1. 의료직종 77
   2. 의약직종 90
   3. 간호직종 98
   4. 수의직종 106
   5. 의료지원 직종 109
   6. 기타 보건의료 직종 147
 제2절  직무수행능력 162
   1. 보건의료산업의 직무수행능력 162
   2. 교육훈련과 직업세계의 차이 171
   3. 교육훈련과 직업세계의 격차 - 음악치료사의 사례 179
 제3절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 184
   1. 전문직에 관한 논의 184
   2. 보건의료산업 분야 직업의 전문직화 186
   3. 보건의료산업 분야 직업의 전문직업성 189
   4. 보건의료산업 분야 직업의 직무만족도 199
제6장  보건의료산업 분야 자격제도
 제1절  보건의료분야 자격제도 현황 205
   1. 자격의 개념과 종류 205
   2. 보건의료분야 자격종목 현황 208
   3. 보건의료분야 자격분류 210
   4. 보건의료분야 자격검정 현황 212
 제2절  보건의료분야 자격 취득자 현황과 자격의 효과분석 216
   1. 자격 취득자 현황 216
   2. 자격의 인식과 활용 정도 221
   3. 소결 225
 제3절  보건의료분야 자격검정의 관리운영 현황 226
   1. 자격검정의 위탁범위 226
   2. 검정기관의 현황 227
   3. 자격검정의 질 관리 현황과 문제점 229
   4. 자격제도 문제점과 필요한 신설자격(설문지 분석결과) 231
 제4절  보건의료분야 자격제도 개선방안 242
   1. 자격제도의 체계화 242
   2. 자격종목 및 응시요건 개선 243
   3. 검정방법 개선 244
   4. 자격정보시스템 구축 245
제7장  보건의료산업 분야 직업의 교육훈련
 제1절  양성 및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훈련 현황 247
   1. 직업(자격)별 교육과정 및 교과목 247
   2. 직업(자격)별 입직에 필요한 학력 248
   3. 직업(자격)별 교육 프로그램 249
   4. 학교 전공과 업무 일치 정도 250
 제2절  입직 후 교육훈련현황 251
   1. 교육훈련방식 251
   2. 교육훈련경험 256
 제3절  교육훈련의 문제점 263
   1. 양성 교육훈련의 문제점 263
   2. 입직 후 교육훈련의 문제점 267
제8장  보건의료산업의 직업전망
 제1절  양적 직업전망 271
   1. 의료 직종 273
   2. 의약 직종 274
   3. 간호 직종 274
   4. 수의 직종 275
   5. 의료 지원 직종 275
   6. 기타 직종 276
 제2절  현직자의 직업전망 인식 276
   1. 의료 직종 277
   2. 의약 직종 280
   3. 간호 직종 281
   4. 수의 직종 284
   5. 의료 지원직 285
   6. 기타 직종 286
제9장  보건의료산업의 인력개발을 위한 정책 제언
 제1절  교육훈련제도의 개편 289
   1. 의료기사 인력양성을 위한 학제개편 검토 289
   2. 보건의료인력 양성에서의 임상실습 강화 290
   3. 대학과 의료기관 간 연계 교육과정의 적극적 도입 291
   4. 의료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지원제도 마련 292
   5. 음악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과정의 연계ㆍ인증 시스템 도입 293
   6.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개선 294
 제2절  자격제도의 개편 297
   1. 보건의료분야 자격제도의 체계화 297
   2. 보건의료분야 자격의 현장성 제고 298
   3. 보건의료분야 자격의 국제통용성 제고 299
   4. 보건의료분야 민간자격의 질 관리 300
   5. 전문성 배양을 위한 전문자격 종목의 개발 301
   6. 임상심리사, 음악치료사의 국가자격 및 관련 법 마련 302
 제3절  기타 인력정책 303
   1. 의사인력의 지속적인 확충 303
   2. 전문의 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 304
   3. 간호인력의 장기근속 유도를 위한 교육훈련 지원과 노동조건 개선 305
   4. 간병인 양성화와 가내간병 제도의 활성화 307
SUMMARY 309
<부록 1> 부표 1~6 319
<부록 2> 보건의료분야 심층 인터뷰지 382
<부록 3> 지식(K) 스킬(S)의 요구및기여 조사(음악치료사) 393
참고문헌 397
  본 연구사업에서는 보건의료산업 현장과 긴밀한 네트워킹을 유지하면서 보건의료산업 분야의 직업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보건의료산업의 주요 직업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스킬, 태도의 내용이 무엇 인지를 파악하여 인력수급, 교육훈련과 자격 등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보건의료산업의 산업분류와 직업분류를 분석하여 보의료산업 분야의 직업구성을 밝힌다. 둘째,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산업별 직업연구를 실시하여 지식·스킬, 태도, 임금 및 노동 조건, 직업경로(career path), 전문직업성 및 직무만족도 등 직업별 특성을 밝힌다. 셋째, 보건의료산업 분야의 자격·면허, 교육훈련 등 인력양성과 관련된 제도를 분석한다. 넷째, 보건의료산업 분야의 한 직종(음악치료사)에 대한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교육과정과 직업세계 사이의 간극을 분석한다. 다섯째, 직업연구방법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여 『보건의료산업의 직업세계』를 발간, 학생 및 일반인의 진로선택을 지원한다. 여섯째,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직업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력수급, 자격, 교육훈련 등 인적자원 개발과 관련된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현장 지향적 직업연구를 수행한다는 특성을 갖으며 방법적으로는 본 연구는 산업현장 종사자 대상의 심층 인터뷰, 그리고 산업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주요 방법으로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This research work intends to track the change of occupations in the health and medicine industry, through close networking within the field of health and medicine, and to identify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required for the major occupations in the health and medicine industry, in order to devise a strategic alternative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hich will include the consideration of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workforce, educational training and certification. More detailed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purpose is to find out the structure of occupations in the field of health and medicine through an analysis of categorization by industry and by occupa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ccupation such as knowledge/skill, attitude, salary and working conditions, career path, job expertise level,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 study on occupations by industry targeting the health and medicine industry. The third purpose is to analyze the system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cluding qualification/certifica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in the field of health and medicine. The fourth purpose is to carry out an occupational analysis on one single type of occupation (musical therapist) in the field of health and medicine, and to analyze the gap betwee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real world"of the occupation itself. The fifth purpose is to compile the analyzed results based on the occupational research method into a report, to be titled "Occupational World in the Health and Medicine Industry"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students and job hunters in selecting their career. The sixth purpose is to suggest a policy alternative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demand and supply of workforce, qualifica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ccupational research on the health and medicine industr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is is occupational research conducted in a way that is oriented toward the actual field.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research mainly utilizes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workers in the industrial field,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al network between industrial concerns and relevant institutions. 
...
<표 Ⅰ-1> 심층 인터뷰 및 설문조사 현황․8
<표 Ⅰ-2> 심층 인터뷰 및 설문조사 응답자 분포․10
<표 Ⅱ-1> 캘리포니아 주 고용개발부의 직업정보 항목․14
<표 Ⅱ-2> BLS의 의료보건 관련 직업의 종사자 수 및 임금(2004년)․15
<표 Ⅱ-3> 보건의료산업의 연구동향․18
<표 Ⅱ-4> 국내 보건의료 관련 연구․19
<표 Ⅱ-5> 의료기사인력 배출현황․21
<표 Ⅱ-6> 보건의료분야 자격 및 직종 연구․22
<표 Ⅱ-7> 보건의료분야 관련 직무분석 현황․23
<표 Ⅲ-1> 국민 의료비의 규모 및 성장률․26
<표 Ⅲ-2> 의료기관 유형별 의료기관 수․27
<표 Ⅲ-3> 공공 및 민간 의료기관 현황․29
<표 Ⅲ-4> 우리나라 병원산업 현황․30
<표 Ⅲ-5> 지역별 의료기관 및 병상 수(2004년)․30
<표 Ⅲ-6> 보건의료산업의 특성․31
<표 Ⅲ-7> 보건산업 부문별 부가가치 비율․32
<표 Ⅲ-8> 보건의료서비스 부문의 고용구조(2000년)․33
<표 Ⅲ-9> GATS 하에서의 서비스 공급 형태․36
<표 Ⅲ-10> e-Health 주요 영역별 보건의료인력에 대한 영향․42
<표 Ⅳ-1> 보건의료산업과 관련 산업․47
<표 Ⅳ-2> 한국표준직업분류와 한국고용직업분류의 보건의료 관련 직업․64
<표 Ⅳ-3> 직능수준과 직능유형에 따른 보건의료산업의 직무구조․66
<표 Ⅳ-4> 선행연구의 주요 직종들․67
<표 Ⅳ-5> 주요 직업정보원의 보건의료산업의 직업비교표․69
<표 Ⅳ-6> 26개 연구대상 후보직종․71
<표 Ⅳ-7> 연구대상 직종 선정내용․71
<표 Ⅳ-8> 연구대상 20개 직종․74
<표 Ⅴ-1> 요양기관 유형별 의사 종사자 규모표․78
<표 Ⅴ-2> 전문의 등록현황․81
<표 Ⅴ-3> 요양기관 유형별 치과의사 종사자 규모․84
<표 Ⅴ-4> 요양기관 유형별 한의사 종사자 규모․89
<표 Ⅴ-5> 약사의 유형별 주요 임무(duty)․92
<표 Ⅴ-6> 요양기관 유형별 약사 종사자 규모․96
<표 Ⅴ-7> 요양기관 유형별 간호사 종사자 규모․100
<표 Ⅴ-8> 자격등록 간호사 수(1985-2004)․101
<표 Ⅴ-9> 요양기관 유형별 간호조무사 종사자 규모․105
<표 Ⅴ-10> 수의사 업무영역․107
<표 Ⅴ-11> 요양기관 유형별 물리치료사 종사자 규모․111
<표 Ⅴ-12> 임상심리사 업무영역․114
<표 Ⅴ-13> 요양기관 유형별 작업치료사 종사자 규모․118
<표 Ⅴ-14> 요양기관 유형별 임상병리사 종사자 규모․122
<표 Ⅴ-15> 요양기관 유형별 방사선사 종사자 규모․128
<표 Ⅴ-16> 기관 유형별 치과기공사 종사자 규모․133
<표 Ⅴ-17> 요양기관 유형별 치과위생사 종사자 규모․137
<표 Ⅴ-18> 요양기관 유형별 의무기록사 종사자 규모․153
<표 Ⅴ-19> 임상영양 서비스의 주요 내용․158
<표 Ⅴ-20>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직업능력․165
<표 Ⅴ-21> 직무수행능력(competencies)의 구조 및 내용․165
<표 Ⅴ-22> 직업별 전공이론지식 요구도 및 전공실무지식 요구도의 차이․167
<표 Ⅴ-23> 보건의료산업의 주요 직업에서 요구하는 태도․171
<표 Ⅴ-24> 재직기관 규모별 직무수행능력 요구도와 교육훈련 기여도에 대한 인식 차이․177
<표 Ⅴ-25> 핵심작업별 음악치료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요구도 및 대학교육의 기여도 차이․182
<표 Ⅴ-26> 영국의 의료전문직의 전문직화 과정․186
<표 Ⅴ-27> 보건의료직업 전문화 과정․187
<표 Ⅴ-28> 보건의료직업 전문화 과정(세부 내용)․188
<표 Ⅴ-29> 의사의 요인분석 결과․190
<표 Ⅴ-30> 한의사의 요인분석 결과․192
<표 Ⅴ-31> 치과의사의 요인분석 결과․193
<표 Ⅴ-32> 약사의 요인분석 결과․194
<표 Ⅴ-33> 간호사의 요인분석 결과․195
<표 Ⅴ-34> 직업별 전문직업성 측정문항 비교(핵심직업)․196
<표 Ⅴ-35> 직업별 전문직업성 측정문항 비교(기타 직업)․198
<표 Ⅴ-35> 직업별 전문직업성 측정문항 비교(계속)․199
<표 Ⅴ-36> 보건의료분야 핵심직업의 평균 직무만족․201
<표 Ⅴ-37> 보건의료분야 주요 직업의 평균 직무만족․202
<표 Ⅴ-38> 병원종류별 직무만족도․203
<표 Ⅵ-1> 우리나라 자격 현황(2005년 1월 현재)․206
<표 Ⅵ-2> 자격종목별 관련 부처 및 법령․209
<표 Ⅵ-3> 보건의료분야 직무분류․210
<표 Ⅵ-4> 보건의료분야 중분류 및 해당 자격종목․211
<표 Ⅵ-5> 자격종목별 관리부서 및 검정 시행기관․212
<표 Ⅵ-6> 연도별 응시자 및 취득자 수․216
<표 Ⅵ-7> 자격별 직업현황․217
<표 Ⅵ-8> 자격별 동일 직무분야 고용비율․219
<표 Ⅵ-9> 자격 취득자의 고용현황․220
<표 Ⅵ-10> 개인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적절성 - 취업자(5점 척도)․222
<표 Ⅵ-11> 자격분야별 자격의 활용정도 - 취업자(5점 척도)․223
<표 Ⅵ-12> 직무만족도(100점 척도)․224
<표 Ⅵ-13> 자격분야별 조직몰입도(5점 척도)․224
<표 Ⅵ-14> 일의 적합성(7점 척도)․225
<표 Ⅵ-15> 이직의도(빈도)․225
<표 Ⅵ-16> 의료분야 자격제도 문제점 및 필요자격․232
<표 Ⅵ-17> 의약분야 자격제도 문제점 및 필요자격․233
<표 Ⅵ-18> 간호분야 자격제도 문제점 및 필요자격․233
<표 Ⅵ-19> 수의분야 자격제도 문제점 및 필요자격․234
<표 Ⅵ-20> 의료지원분야 자격제도 문제점 및 필요자격․235
<표 Ⅵ-21> 기타분야 자격제도 문제점 및 필요자격․237
<표 Ⅵ-22> 보건의료분야 순수 민간자격․238
<표 Ⅵ-23> 활용이 기대되는 보건의료분야 민간자격․241
<표 Ⅶ-1> 직업(자격)별 입직에 필요한 학력수준․248
<표 Ⅶ-2> 음악치료사, 임상심리사, 의공기사의 교육 프로그램 및 내용․249
<표 Ⅶ-3> 교육훈련방식의 주요 직업․255
<표 Ⅶ-4> 병원 종류별 교육훈련장소(복수 응답)․257
<표 Ⅶ-5> 직업별 교육훈련장소(복수 응답)․259
<표 Ⅶ-6> 학교 교육과 수행업무 불일치 및 보완되어야 할 사항․264
<표 Ⅶ-7> 직업별 입사 후 교육훈련의 문제점․268
<표 Ⅷ-1> 보건의료산업 분야 직업의 양적 전망․272
<표 Ⅸ-1> 주요 직종의 직무와 관련된 교육훈련 이수 여부․295
<표 Ⅸ-2> 협회 보수교육이 직무수행에 기여한 정도․295
[그림 Ⅰ-1] 보건의료산업 직업연구의 연구 구성체계․6
[그림 Ⅲ-1] 1인당 국민 의료비와 기대수명의 관계․26
[그림 Ⅲ-2] 의료기관 종류별 병상 수 변화추이(1985~2004년)․28
[그림 Ⅲ-3] 보건의료산업 영역 간 선순환 구조․35
[그림 Ⅳ-1] 보건의료산업의 주요 직업 관계도․75
[그림 Ⅴ-1] 의사의 직무모형․79
[그림 Ⅴ-2] 인구 1000명당 내과의사(2003년)․80
[그림 Ⅴ-3] 연도별 인기과 정원변화 추이․82
[그림 Ⅴ-4] 의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83
[그림 Ⅴ-5] 치과의사의 직무모형․85
[그림 Ⅴ-6] 인구 1,000명당 치과의사 수(2003년)․86
[그림 Ⅴ-7] 치과의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87
[그림 Ⅴ-8] 한의사의 직무모형․88
[그림 Ⅴ-9] 한의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90
[그림 Ⅴ-10] 서울대학교 약제부의 조직도․94
[그림 Ⅴ-11] 의약분업과 약사의 역할변화․95
[그림 Ⅴ-12] 약사의 직업이동 경로․98
[그림 Ⅴ-13] 간호사의 직무모형․99
[그림 Ⅴ-14] 인구 1,000명당 간호사 수(2003년)․101
[그림 Ⅴ-15] 간호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02
[그림 Ⅴ-16] 미국의 간호사 부족 추이․103
[그림 Ⅴ-17] 간호조무사의 직무모형․105
[그림 Ⅴ-18] 간호조무사의 직업이동 경로․106
[그림 Ⅴ-19] 수의사의 직업이동 경로․109
[그림 Ⅴ-20] 물리치료사 직무모형․110
[그림 Ⅴ-21] 물리치료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12
[그림 Ⅴ-22] 임상심리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16
[그림 Ⅴ-23] 작업치료사의 직무모형․117
[그림 Ⅴ-24] 작업치료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19
[그림 Ⅴ-25] 임상병리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24
[그림 Ⅴ-26] 방사선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30
[그림 Ⅴ-27] 치과기공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34
[그림 Ⅴ-28] 치과위생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40
[그림 Ⅴ-29] 응급구조사의 직무모형․142
[그림 Ⅴ-30] 응급구조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44
[그림 Ⅴ-31] 의공기사의 직무모형․145
[그림 Ⅴ-32] 의공기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47
[그림 Ⅴ-33] 음악치료사의 임무․148
[그림 Ⅴ-34] 음악치료사의 직무모형․149
[그림 Ⅴ-35] 음악치료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51
[그림 Ⅴ-36] 의무기록사의 직무모형․152
[그림 Ⅴ-37] 의무기록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54
[그림 Ⅴ-38] 안경사의 직무모형․156
[그림 Ⅴ-39] 안경사(검안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57
[그림 Ⅴ-40] 영양사의 직무모형․160
[그림 Ⅴ-41] 임상영양사의 승진 및 직업이동 경로․161
[그림 Ⅴ-42] 보건의료산업의 주요 직종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169
[그림 Ⅴ-43] 보건의료산업 주요 직종의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대학교육의 기여도 차이․174
[그림 Ⅴ-44] 음악치료사의 직무수행능력 요구도 및 대학교육의 기여도 차이․181
[그림 Ⅵ-1] 면허성 자격과 노동시장의 비효율성․208
[그림 Ⅵ-2] 학력․자격증․경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정도․222
[그림 Ⅵ-3] 자격분야별 자격의 활용 정도․223
[그림 Ⅵ-4] 자격검정의 관리․운영 절차 및 범위․227
[그림 Ⅵ-5] 국시원 조직도․229
[그림 Ⅶ-1] 전공과 업무내용 일치 정도․250
[그림 Ⅶ-2] 교육훈련방식의 기여 정도․251
[그림 Ⅶ-3] 병원종류별 선배상사지도의 기여 정도․252
[그림 Ⅶ-4] 병원종류별 보수교육(협회)의 기여 정도․253
[그림 Ⅶ-5] 직업분류별 프로젝트 참여의 기여 정도․254
[그림 Ⅶ-6] 직업분류별 세미나 및 포럼의 기여 정도․254
[그림 Ⅶ-7] 교육훈련장소(복수 응답)․257
[그림 Ⅶ-8] 교육훈련기간․260
[그림 Ⅶ-9] 직업별 훈련 및 숙련 기간․261
[그림 Ⅶ-10] 향후 숙련수준의 요구 정도․262
[그림 Ⅶ-11] 직업별 지식과 기술 활용기간, 학습 필요성 및 대응 정도․263
[그림 Ⅷ-1] 치과의사의 일자리 전망 인식․277
[그림 Ⅷ-2] 의사의 일자리 전망 인식․278
[그림 Ⅷ-3] 의사들의 향후 5년 뒤 금전적인 수입 전망․279
[그림 Ⅷ-4] 약사들의 향후 직업전망․281
[그림 Ⅷ-5] 간호사의 향후 직업전망․283
[그림 Ⅷ-6] 간호조무사의 향후 직업전망․284
[그림 Ⅷ-7] 수의사의 향후 일자리전망․285
[그림 Ⅷ-8] 임상영양사의 향후 일자리전망․28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보건의료산업의 직업연구 2006.01.01~2006.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