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과학기술분야 해외박사의 진로와 고급인적자원정책

Careers of Korean Ph.Ds with Degrees of Foreign Countries and the HRD Policy of the Highly Skilled in Korea
저자
진미석 이수영 윤형한 김나라 오호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1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10.31
등록일
2006.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과학기술분야; 고급인적자원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4
   1. 미국박사의 진로활동 실태 분석 4
   2. 과학기술분야 해외박사 고급인적자원의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 도출 6
 제3절  연구의 방법 6
   1. 문헌 분석 6
   2. 일차자료 분석 6
   3. 설문조사 7
   4. 전문가 의견 수렴 12
   5. 기업사례 조사 13
 제4절  개념 정의 14
제2장  선행 연구 분석
 제1절  과학기술분야 고급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 현황 17
   1. 국가간 학생 이동 추세 18
   2. 고급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의 주요 촉진 요소 27
   3. 고급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의 경제적 효과 30
   4. 고급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이 혁신과 산업에 미치는 효과 32
   5. 고급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34
 제2절  국가별 고급인적자원의 국제이동 현황과 정책 사례 35
   1. 중국의 사례 35
   2. 인도의 사례 40
   3. 대만의 사례 43
 제3절  고급인력의 이동에 관한 국내 연구 47
   1. 한국 고급인력의 국제적 이동 47
   2. 고급인력의 두뇌유출 방지에 관한 연구 50
   3. 외국인 고급인력유치 방안 연구 52
 제4절 박사의 진로실태에 관한 연구 54
   1. 국내 박사 진로실태 관련 연구 54
   2. OECD의 CDH 프로젝트 56
   3. 미국의 박사취득자 조사 59
 제5절  소결 63
제3장  해외박사의 전체 규모와 미국박사의 현황
 제1절  해외박사의 규모 변화 추세 65
   1. 전반적인 변화 추세 65
   2. 전공별 변화 추세 68
   3. 성별 구성의 변화 추세 69
   4. 학위취득 연령의 변화 추세 69
 제2절  해외박사의 학위취득 국가 분포 70
   1. 박사취득 국가 70
   2. 전공별 박사취득 국가 72
 제3절  미국박사 취득자의 규모와 변화 추세 76
   1. 전반적인 변화 추세 76
   2. 미국박사의 전공분포 변화 78
   3. 미국박사의 성별 변화 80
 제4절  소결 82
제4장  미국박사의 특성과 학위 취득과정 및 만족도
 제1절  박사학위자들의 배경적 특성 85
   1. 부모의 교육적 배경 85
   2. 출신대학 및 학업성취 86
   3. 결혼 상태 88
   4. 거주유형별 배경변인 특성 89
 제2절  미국박사의 학위취득 과정 경험 91
   1. 학위취득 시간 91
   2. 박사학위과정을 위한 재원 94
   3. 학사전공과 박사전공의 일치 비율 96
 제3절  미국박사의 박사학위 진학동기 및 과정 만족도 97
   1. 박사과정 진학 동기 97
   2. 미국 유학하게 된 동기 99
   3. 박사과정 교육에 대한 만족도 100
   4. 박사학위의 효용가치에 대한 판단 102
 제4절  소결 104
제5장  미국박사들의 진로활동
 제1절  학위취득 당시 진로계획과 진로활동 107
   1. 진로확정 여부 108
   2. 포스트닥 진출 여부 109
   3. 미국 내의 취업 분야 112
   4. 학위취득 직후 미국박사의 진로 116
 제2절  미국박사 취득자들의 연구 및 포스트닥 활동 120
   1. 학위취득 이후 연구 활동 120
   2. 포스트닥 활동 121
 제3절  미국박사의 학위취득 이후 취업 활동 126
   1. 졸업 후 진로상황 126
   2. 풀타임 취업자의 취업활동 130
   3. 불완전취업자의 취업활동 및 계획 148
   4. 전공분야 취업전망 151
 제4절  소결 155
제6장  미국박사의 학위취득 이후 국제적 이동
 제1절  미국박사의 국내귀국 및 미국체류 현황 159
   1. 학위취득 당시 미국체류 계획 159
   2. 학위취득 이후 귀국 및 미국체류 비율의 추세 163
   3. 학위취득 이후 미국 체류자의 특성 165
 제2절 미국체류 박사들의 귀국 계획 169
   1. 귀국 계획 169
   2. 장기체류와 일시체류 계획 관련 요인 170
 제3절  국내거주 박사의 해외 재출국 계획 175
   1. 국내거주 박사의 해외 재출국 계획 175
   2. 해외취업 계획 결정요인 177
 제4절  소결 181
제7장  해외박사 고급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
 제1절 해외박사 인적자원정책의 방향 185
   1. 	폐쇄적ㆍ국가주의적 인재 확보에서 개방적ㆍ글로벌 인재 유치로 전환 185
   2. ‘유치’ 전략에서 ‘활용’ 방안으로 관점의 전환 186
   3. 양에서 질의 문제로 : 우선정책 대상으로서의 핵심역량 인적자원에 대한 관심 187
   4.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인적자원관리 정책의 관점에서의 접근 188
 제2절  해외박사 고급인적자원 활용 정책 방안 189
   1.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정책 방안 189
   2. 해외양성 고급인력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국내 여건 조성 방안 193
   3. 해외체류 고급인적자원 활용 방안 196
   4. 해외 고급 인적자원 정보 인프라 구축 198
 제3절  기업의 고급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제언 201
   1. A사의 사례 201
   2. B사의 사례 205
   3. C사의 사례 208
   4. 기업의 해외박사 인력 확보 및 유지 전략을 위한 시사 210
SUMMARY 213
<부록 1> 해외 박사학위 취득자 진로활동 실태조사 설문지 227
<부록 2> 미국박사 대상의 인터뷰 내용 240
<부록 3> 부표 252
참고문헌 257
  선진국에서 과학기술분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해외박사들은 우리 나라의 국가경쟁력 제고는 물론 R&D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고급인적자원이다. 하지만 그동안 이들에 대한 현황이나 실태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고급인력들이 해외에서 어느 정도로 양성되며 또 국내에 들어와서 어떻게 활용되는가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해외박사들의 학위 취득 이후 노동시장 이동과 국제적 이동의 관점에서 과학기술분야의 미국박사들의 진로실태, 특히 학위를 취득하고 난 후에도 외국에서 체류하고 있는 인력들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여 해외박사들의 진로와 국제적인 이동에 관하여 전반적인 실태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분야의 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고급인력의 양성과정과 활용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는 촉진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주요내용
   - 과학기술분야 고급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과 진로실태 관련 연구 분석 
   - 해외박사의 전체 규모와 미국박사의 현황
   - 미국박사의 특성과 학위취득과정 및 만족도
   - 미국박사의 진로활동 
   - 미국박사의 학위취득 이후 국제적 이동
   - 해외박사 고급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rapid globalization, the investment in R&D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highly skilled and talented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reas have become critical. In general, people who have been educated and earned a doctorate degree in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of advanced countries are considered to be highly talented human resources with glob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those doctoral recipients has great implications on the advancement of national R&D of Korea. Nevertheless, there are few surveys and research in status and current conditions of doctoral recipients in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areas who earned their degree abroad.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career histories and trajectories, and current status of doctoral recipients who earned their degree abroad, in particular in the areas of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or STE foreign doctoral hold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on how to utilize highly skilled and talented human resources with global competitiveness. The research focuses on two important aspects of STE foreign doctoral holders' career development. First, the research examined the STE foreign doctoral holders' transition patterns to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in other words, school-to-work transition processes. Second, the research looked at international mobility of higher skilled human resources as a result of STE foreign doctoral holders' decision to come back to Korea or stay in a foreign country after gradu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current career status of the STE foreign doctoral holders, we analyzed data from two main data sources; Korea Research Foundation's Database for Report of Doctoral Degree Earned in a Foreign Country, and the Survey of Earned Doctorates(SED) of the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lso, we conducted two rounds of our own survey of STE foreign doctoral holders(n=454) who earned a doctorate degree in the United States, and interviewed ten STE doctoral holders who earned their degree in the U.S. In addition, we carried out case studies,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n expert seminar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
<표 Ⅰ-1> 해외박사 대상 조사 내용(미국 잔류자 기준)․10
<표 Ⅰ-2> 조사대상자의 성별 구성․11
<표 Ⅰ-3> 연구의 내용별 방법․13
<표 Ⅰ-4> 기관별 전공 대분류 체계․14
<표 Ⅱ-1> OECD 국가들의 학생 국제이동 현황(1998년)․23
<표 Ⅱ-2> OECD의 학생비자에서 취업거부로 신분전환에 따른 규제(2001)․26
<표 Ⅱ-3> OECD 국가들의 외국 핵심인력 유치를 위한 정책․30
<표 Ⅱ-4> 외국에서 공부하는 중국인 학생 수와 졸업후 귀국자 수․36
<표 Ⅱ-5> OECD(2005) 박사학위 취득자의 직업경로 조사(CDH) 내용․57
<표 Ⅱ-6> NSF(2005)의 박사학위 취득자 종단 조사(SDR) 내용․62
<표 Ⅲ-1> 주요 시기별 해외박사의 성별 구성․69
<표 Ⅲ-2> 해외박사의 학위취득 국가․71
<표 Ⅲ-3> 전공분야별 박사취득 국가 순위․73
<표 Ⅲ-4> 과학기술분야 해외박사의 취득지역 분포․74
<표 Ⅲ-5> 과학기술분야 박사의 학위취득 국가 비중 변화․75
<표 Ⅲ-6>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의 전공별 구성(2004년)․79
<표 Ⅳ-1> 부모 교육수준․86
<표 Ⅳ-2> 미국박사의 출신 학부․87
<표 Ⅳ-3> 미국박사의 학업성취도․88
<표 Ⅳ-4> 미국박사의 결혼 상황․88
<표 Ⅳ-5> 과기분야 미국박사(기혼자)의 배우자 취업 상황․89
<표 Ⅳ-6> 미국-국내거주 박사의 부모교육, 학업성취, 출신대학, 학위취득 대학 유형 비교 ․90
<표 Ⅳ-7> 전공분야별․성별 한국인 미국박사 학위취득자의 재원․95
<표 Ⅳ-8> 박사과정 진학 동기․98
<표 Ⅳ-9> 미국 유학동기․100
<표 Ⅳ-10> 미국박사과정 교육에 대한 만족도․101
<표 Ⅳ-11> 박사학위 효용 가치 평가․103
<표 Ⅳ-12> 거주지와 성별 박사학위 효용가치 평가․103
<표 Ⅴ-1> 계열별 박사학위 취득 이후 연구활동․120
<표 Ⅴ-2> 거주국가․계열별 과기분야 박사의 연평균 연구활동 비교․121
<표 Ⅴ-3> 포스트닥 수료 및 수료계획 여부․122
<표 Ⅴ-4> 계열별 포스트닥 수료 및 수료계획 여부․122
<표 Ⅴ-5> 포스트닥 수료 및 수료계획 국가․123
<표 Ⅴ-6> 계열별 포스트닥 이수 이유․123
<표 Ⅴ-7> 국가별 포스트닥 이수 이유․124
<표 Ⅴ-8> 포스트닥 이수 기관 분포․125
<표 Ⅴ-9> 포스트닥 이수를 위한 재원․125
<표 Ⅴ-10> 미국박사의 성별․전공별․학위연도별 진로상황․126
<표 Ⅴ-11> 현재 주된 진로상황․127
<표 Ⅴ-12> 2004년 학위취득 미국박사의 현재 진로상황․129
<표 Ⅴ-13> 미국박사의 현재 직장에서 근무형태․129
<표 Ⅴ-14> 2004년 학위취득 미국박사들의 취업유형․130
<표 Ⅴ-15> 미국박사의 취업기관 유형․130
<표 Ⅴ-16> 취업박사의 정규직 비율(포스트닥 제외)․131
<표 Ⅴ-17> 취업박사들의 주된 업무(포스트닥 제외)․132
<표 Ⅴ-18> 국내거주 박사의 취업기관별 주 업무 분포․132
<표 Ⅴ-19> 국내거주 대학취업 박사의 비정규직 비율․133
<표 Ⅴ-20> 미국거주 취업박사의 취업기관별 주 업무․133
<표 Ⅴ-21> 취업박사의 연봉 회귀분석․134
<표 Ⅴ-22> 현재 일과 박사학위 전공과의 관련도․135
<표 Ⅴ-23> 취업기관유형별 전공과 업무 관련도․136
<표 Ⅴ-24> 현재 일의 수준과 박사학위 수준의 적합도․136
<표 Ⅴ-25> 현 업무가 박사학위 수준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박사 비율․137
<표 Ⅴ-26> 직무-학력수준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현재 일에 적합한 학력수준․137
<표 Ⅴ-27> 현재 직업 만족도․138
<표 Ⅴ-28> 미국거주 박사와 국내거주 박사의 직업만족도 평균 비교․139
<표 Ⅴ-29> 직업만족도 회귀분석․140
<표 Ⅴ-30> 현 직장의 미국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첫 풀타임 직장여부․142
<표 Ⅴ-31> 첫 직장을 얻기까지 걸린 기간과 응시 횟수․143
<표 Ⅴ-32> 현 직장을 구할 때 취업정보를 얻은 방법․143
<표 Ⅴ-33> 현 직장은 미국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몇 번째 풀타임 직장․144
<표 Ⅴ-34> 국내 직장이동 박사의 첫 직장과 현 직장의 유형 비교․146
<표 Ⅴ-35> 국내거주 박사의 이직계획․146
<표 Ⅴ-36> 미국거주 박사의 이직계획․147
<표 Ⅴ-37> 직장을 옮길 계획이 있다면 주된 이유(1순위)․147
<표 Ⅴ-38> 이직 선호기관․148
<표 Ⅴ-39>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지 않은 이유․149
<표 Ⅴ-40> 불완전 미취업 박사의 취업 관련 정보원․150
<표 Ⅴ-41> 불완전 미취업 박사의 취업선호기관․150
<표 Ⅴ-42> 불완전 미취업박사의 직장선택 기준․151
<표 Ⅴ-43> 전공분야의 학위취득 후 3년 이내 정규직 취업가능성․152
<표 Ⅴ-44> 세부전공별 취업전망․154
<표 Ⅵ-1> 15년간 미국박사 신고 DB와 SED 자료의 격차․164
<표 Ⅵ-2> 미국박사의 성별․학위취득연도별 미국거주율․167
<표 Ⅵ-3> 미국박사의 미국거주 요인에 관한 로짓분석․168
<표 Ⅵ-4> 미국거주 박사의 미국 체류계획․169
<표 Ⅵ-5> 미국에서 취업하려는 주된 이유․170
<표 Ⅵ-6> 미국박사의 학위취득 이후 미국체류 요인․170
<표 Ⅵ-7> 장기체류 계획자-일시체류 계획자간 결혼 및 자녀 수 차이․171
<표 Ⅵ-8> 취업기관, 유형 및 개인특성에 따른 미국 체류계획 비율․172
<표 Ⅵ-9> 미국거주 박사 중 장기체류자와 일시체류자간 직업만족도 비교․173
<표 Ⅵ-10> 미국거주 박사 중 장기체류자와 일시체류자의 취업전망 비교․174
<표 Ⅵ-11> 미국거주 박사의 미국 장기체류 계획 결정요인에 관한 로짓분석․174
<표 Ⅵ-12> 한국으로 귀국하고자 하는 가장 주된 이유․175
<표 Ⅵ-13> 국내거주 미국박사의 해외취업 의향․176
<표 Ⅵ-14> 국내거주 미국박사의 해외취업 의향 이유․176
<표 Ⅵ-15> 해외취업희망 박사와 비희망 박사의 배경변인 특성 비교․177
<표 Ⅵ-16> 해외취업희망 박사와 비희망 박사의 자녀유무 및 결혼여부 차이․178
<표 Ⅵ-17> 해외취업희망 박사와 비희망 박사의 취업기관 및 근무형태 비교․178
<표 Ⅵ-18> 해외취업희망 박사와 비희망 박사의 직업만족도 차이․179
<표 Ⅵ-19> 해외취업희망 박사와 비희망 박사의 취업전망 비교․180
<표 Ⅵ-20> 해외취업희망 여부 로짓분석․180
[그림 Ⅰ-1] 미국박사 진로활동 분석틀․5
[그림 Ⅱ-1] 미국 비시민권 박사의 미국잔류 비교․19
[그림 Ⅱ-2] 미국 시민권자와 비시민권자 포스트닥 인원 수 변화․20
[그림 Ⅱ-3] OECD 외국 유학생 주요 유입국․21
[그림 Ⅲ-1] 해외박사의 규모 변화 추세․66
[그림 Ⅲ-2] 과학기술분야 국내․외 박사의 배출시기 분포․67
[그림 Ⅲ-3] 해외박사의 전공계열 구성비 변화 추이․68
[그림 Ⅲ-4] 해외박사의 학위취득 연령 분포 변화․70
[그림 Ⅲ-5] 미국박사 취득자의 규모 변화․77
[그림 Ⅲ-6] 미국박사 취득자의 연간 변동률․78
[그림 Ⅲ-7] 전공분야별 한국인 미국박사의 학위취득자 비율․80
[그림 Ⅲ-8] 성별 한국인 미국박사의 전공별 구성․81
[그림 Ⅲ-9] 전공분야별 한국인 미국박사 취득자 중 여성의 비율․82
[그림 Ⅳ-1] 대학졸업 이후 박사학위 취득까지 걸리는 년수의 중앙값 : 2004년 한국인 미국박사의 경우․92
[그림 Ⅳ-2] 대학원 이후 박사학위 취득까지 걸리는 년수의 중앙값 : 2004년․93
[그림 Ⅳ-3] 전공분야별 한국인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 연령의 중앙값․94
[그림 Ⅳ-4] 한국인 미국박사와 미국 전체 박사학위취득자의 학사전공과 박사 전공의 일치 비율․96
[그림 Ⅳ-5] 과기분야 미국박사와 국내박사 과정생간 교육만족도 차이․102
[그림 Ⅴ-1] 미국박사의 학위취득 당시 진로확정 비율․108
[그림 Ⅴ-2] 한국인 미국박사의 전공별 취업 vs. 포스트닥 확정비율․110
[그림 Ⅴ-3] 한국인 vs.. 미국 전체 박사의 전공분야별 포스트닥 비율․111
[그림 Ⅴ-4] 한국인 미국박사의 전공별 포스트닥 확정비율 변화․112
[그림 Ⅴ-5] 한국인 미국박사의 전공분야별 미국내 취업분야․113
[그림 Ⅴ-6] 한국인 미국박사의 전공별 고등교육기관 취업 추세․114
[그림 Ⅴ-7] 한국인 미국박사의 전공별 민간부문 취업 추세․115
[그림 Ⅴ-8] 한국인 미국박사학위자의 성별 미국내 취업분야․116
[그림 Ⅴ-9] 한국인 미국박사(전체분야)의 학위취득 당시 진로계획․116
[그림 Ⅴ-10] 전체 미국박사의 학위취득 당시 진로계획․117
[그림 Ⅴ-11] 한국인 미국박사 중 미국체류 계획자의 당시 진로계획․118
[그림 Ⅴ-12] 한국인 미국박사 중 한국 귀국계획자의 당시 진로계획․119
[그림 Ⅴ-13] 국내거주 미국박사의 성별․전공별․학위연도별 진로상황․127
[그림 Ⅴ-14] 미국거주 미국박사의 성별․전공별․학위연도별 진로상황․128
[그림 Ⅴ-15] 미국거주 박사의 취업기관별 직업만족도․140
[그림 Ⅴ-16] 국내거주 박사의 취업기관별 직업만족도․141
[그림 Ⅴ-17] 기업과 대학취업 국내거주-미국거주 박사의 직업만족도 차이․142
[그림 Ⅴ-18] 미국거주 박사의 직장이동․144
[그림 Ⅴ-19] 국내거주 박사의 직장이동․145
[그림 Ⅴ-20] 미국박사의 취업전망 인식․152
[그림 Ⅴ-21] 미국박사의 계열별 취업전망․153
[그림 Ⅴ-22] 미국박사의 성별 취업전망․153
[그림 Ⅵ-1] 한국인 미국박사의 미국체류 계획․160
[그림 Ⅵ-2] 한국인 미국박사의 미국체류 계획 변화 추세․160
[그림 Ⅵ-3] 비미국시민권 미국박사의 미국체류 계획 변화 추세․161
[그림 Ⅵ-4] 과학기술분야 미국박사의 미국체류 계획 변화 추세․162
[그림 Ⅵ-5] 비과학기술분야 미국박사의 미국체류 계획 변화 추세․163
[그림 Ⅵ-6] 미국박사의 귀국계획비율과 추정귀국비율 변화 추이․165
[그림 Ⅶ-1] A사의 핵심인력 발굴-양성-채용-유지관리․20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과학기술분야 해외박사의 진로와 고급인적자원정책 2006.01.01~2006.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