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Ⅱ): 총괄보고서

College to Work Transi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Youth(Ⅱ)
저자
채창균 김승보 옥준필 오호영 정재호 최영섭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1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11.30
등록일
2006.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노동시장 이행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3
제2장  이용자료
 제1절「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실시 7
 제2절 수능성적 및 대학교육 관련 기존 통계자료의 활용 11
 제3절 기업 사례 조사의 실시 12
제3장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제1절  대졸 신입사원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평가 14
   1. 대졸 신입사원의 대학교육 만족도 14
   2. 대학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대학교육으로부터의 도움도 20
   3. 대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24
 제2절  기업의 대졸 신규 채용인력에 대한 평가 25
   1. 대졸 신규 채용인력의 능력 수준이 기업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 25
   2. 대졸 신규 채용인력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28
 제3절  대학교육에 대한 요구 30
   1. 대학교육이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 30
   2.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 32
   3.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와 괴리도 34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42
제4장  신입사원 채용실태와 특성
 제1절  기업의 채용 현황 46
   1. 기업의 채용 규모와 채용인력의 분포 46
   2. 기업의 채용 형태와 기준 51
 제2절  채용 결정 요인 분석 55
   1. 기업의 채용 규모 결정 요인 분석 55
   2. 신입사원의 특성과 일자리의 질 62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70
제5장  기업의 대학서열화에 대한 대응
 제1절  대학서열의 추세와 결정요인 분석 74
   1. 문제제기 74
   2. 선행 연구 검토 76
   3. 대학서열화의 추세분석 79
   4. 대학서열의 결정요인 분석 84
   5. 교육여건과 대학서열 변동 92
 제2절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 97
   1. 문제제기 97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00
   3. 대학서열과 임금 104
   4.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 졸업생간 임금격차 109
   5.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 졸업생간 임금분위수별 격차 115
 제3절  대학서열화와 기업의 인사정책 119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27
제6장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구조와 성과
 제1절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의미와 연구의 필요성 131
 제2절  기업 측면에서 바라본 현장실습 133
   1. 선진국 사례의 시사점 133
   2. 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 분석 136
   3. 기업 사례조사 결과 분석 148
   4. 기업 대상 분석 결과의 종합 152
 제3절  신입사원(학생) 입장에서 바라본 현장실습 157
   1. 현장 실습/인턴십의 경험과 특징 157
   2. 현장실습/인턴십이 학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추론 165
   3. 현장실습/인턴십의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170
   4. 신입사원 대상 분석 결과의 종합 179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81
제7장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교육훈련
 제1절  대졸 신입사원 교육훈련의 실태와 특성 184
   1. 기업의 신입사원에 대한 교육훈련 제공 실태 184
   2. 대졸 신입사원의 교육훈련 참여 실태 195
 제2절  기업내 교육훈련의 결정요인과 성과분석 201
   1.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교육훈련의 제공 201
   2. 대졸 신입사원의 교육훈련 참가와 그 성과에 대한 분석 207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26
제8장  결 론
 제1절  요약 229
 제2절  정책과제 238
   1. 대학생 직업능력평가 제도의 도입 238
   2. 지방대학의 경쟁력 강화 지원 240
   3. 현장실습(인턴십)의 활성화 지원 242
SUMMARY 245
<부록 1> 부표 253
<부록 2> 기업의 대학교육만족도 조사(인사팀장용) 264기업의 대학교육만족도 조사(신입사원용) 290
참고문헌 315
  먼저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등을 주요 직업기초능력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대졸 신입사원의 채용 실태와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또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채용과 관련하여 대학 서열화의 문제가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 문제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다시 말해 대학서열의 고착화는 기업의 신입사원 선별 기준을 고착화시켜 대학의 변화 의지를 꺾고 결과적으로 기업의 대학불신이 심화되는 악순환적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대학서열화의 실태와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및 기업의 대응 등에 대해 다각도로 분석해 본다. 한편 대학과 기업의 효과적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한 기제 중 하나가 바로 현장실습/인턴십이므로, 이들 제도의 실시 실태와 성과에 대해서도 분석을 시도한다. 나아가 대학교육과 기업 요구수준 간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기업 내 교육훈련 실태 등을 분석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들을 토대로 대학 교육의 개선 및 대졸 청년층의 원활한 노동시장 이행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해 본다.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ntire process of activities taking place from corporate employment to the training of new college graduates, based on a large-scale survey of enterprises.
  Chapter 3 analyzes the satisfaction levels and requirements for college education, based on evaluations made by new graduate employees and corporate personnel manager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표 Ⅱ-1> 업종 구분․8
<표 Ⅱ-2> 조사 기업의 특성․9
<표 Ⅱ-3> 조사 신입사원의 특성․10
<표 Ⅲ-1> 대학교육 만족도․16
<표 Ⅲ-2> 전문대학 교육 만족도(계열별․대학소재지별)․18
<표 Ⅲ-3> 4년제 대학 교육 만족도(계열별․대학소재지별)․19
<표 Ⅲ-4> 직업기초능력 하위 능력 요소의 의미․21
<표 Ⅲ-5> 대학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22
<표 Ⅲ-6> 대학교육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의 도움도․23
<표 Ⅲ-7> 대학교육의 학문기초능력과 직업능력 형성에의 도움도․24
<표 Ⅲ-8> 대학이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고 있는지에 대한평가․25
<표 Ⅲ-9> 대졸 신규 채용인력의 능력 수준이 기업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26
<표 Ⅲ-10> 과거와 비교해 볼 때 기업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정도․27
<표 Ⅲ-11> 기업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정도가 확대된 이유․28
<표 Ⅲ-12> 채용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29
<표 Ⅲ-13> 과거 대졸 신규 채용인력과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비교․30
<표 Ⅲ-14> 대학교육의 현재 방향․31
<표 Ⅲ-15> 대학교육이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32
<표 Ⅲ-16>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인사담당자)․33
<표 Ⅲ-17>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대졸 신입사원)․34
<표 Ⅲ-18>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인사담당자)․35
<표 Ⅲ-19>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대졸 신입사원)․36
<표 Ⅲ-20> 직업기초능력의 괴리도(인사담당자)․37
<표 Ⅲ-21> 직업기초능력의 괴리도(대졸 신입사원)․39
<표 Ⅳ-1> 기업의 채용 현황․48
<표 Ⅳ-2> 학력별 채용 현황․49
<표 Ⅳ-3> 신입사원과 경력사원의 채용현황․50
<표 Ⅳ-4> 신입사원 채용형태․52
<표 Ⅳ-5> 신입사원 채용 시 주요 고려 요인․53
<표 Ⅳ-6> 취업재수생 선호 여부․54
<표 Ⅳ-7>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량․59
<표 Ⅳ-8> 대졸 일자리 창출률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61
<표 Ⅳ-9> 대졸 신입사원의 기초통계량․64
<표 Ⅳ-10> 임금함수의 추정 결과․67
<표 Ⅳ-11>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69

<표 Ⅴ-1> 표본의 범위․79
<표 Ⅴ-2> 대학서열의 연도간 스피어만 상관계수․82
<표 Ⅴ-3> 대학서열과 교육여건간의 스피어만 상관계수․84
<표 Ⅴ-4> 대학서열과 전공내 대학서열․86
<표 Ⅴ-5> 요약통계․95
<표 Ⅴ-6> 1994년과 2003년 대학수능순위 변화 회귀분석 결과․96
<표 Ⅴ-7> 학교수준의 요약통계․106
<표 Ⅴ-8> 졸업생 임금자료 요약통계․111
<표 Ⅴ-9> 위계선형모형(HLM) 추정결과․113
<표 Ⅴ-10> 임금함수 추정결과․114
<표 Ⅴ-11> 신규채용 시 출신대학 중시 정도․120
<표 Ⅴ-12> 신규채용 시 출신대학 중시 이유․121
<표 Ⅴ-13> 출신대학 중시 유형․123
<표 Ⅴ-14> 출신대학 중시 단계․125
<표 Ⅴ-15> 출신대학 중시 경향의 변화․126

<표 Ⅵ-1> 지난 3년간 현장 실습을 시행한 경험․136
<표 Ⅵ-2> 현장실습의 참여대상․137
<표 Ⅵ-3> 현장실습을 시행하는데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141
<표 Ⅵ-4> 현장실습 실시 목적․141
<표 Ⅵ-5> 실습 후 실습생의 업무 능력 향상 여부․143
<표 Ⅵ-6> 현장실습이 실습생 배치 부서 업무에 미치는 영향․145
<표 Ⅵ-7> 지난 3년간 현장 실습을 실시하지 않은 가장 중요한 이유․147
<표 Ⅵ-8> 대학입학 후 첫 직장에 입사하기 전 현장실습 경험여부․158
<표 Ⅵ-9> 현장실습과 전공의 관련성․159
<표 Ⅵ-10> 현장실습에 대한 대학․기업의 지도감독․160
<표 Ⅵ-11> 현장실습의 사전직무연수시간과 급여, 기간, 1일 근무시간․161
<표 Ⅵ-12> 현장실습의 도움 정도․161
<표 Ⅵ-13> 대학입학 후 첫 직장에 입사하기 전 인턴십 경험여부․163
<표 Ⅵ-14> 인턴십과 전공의 관련성․163
<표 Ⅵ-15> 인턴십 참여 계기․164
<표 Ⅵ-16> 현장실습 참여에 대한 Probit 모형의 결과․166
<표 Ⅵ-17> 현장실습효과 회귀분석 결과 (종속변수=Log 월임금)․176
<표 Ⅵ-18> 사회계열 현장실습 Log 월임금, 교차항 이용․177
<표 Ⅵ-19> 공학계열 현장실습 Log 월임금, 교차항 이용․178

<표 Ⅶ-1> 신입사원교육실시 여부․185
<표 Ⅶ-2> 신입사원의 업무습득기간과 1인당 교육훈련비․186
<표 Ⅶ-3> 교육 형태별 교육훈련실시 실태(업종별)․189
<표 Ⅶ-4> 교육 형태별 교육훈련실시 실태(기업규모별)․190
<표 Ⅶ-5> 교육 내용별 교육훈련실시 실태(업종별)․193
<표 Ⅶ-6> 교육 내용별 교육훈련실시 실태(기업규모별)․194
<표 Ⅶ-7> 교육훈련 활성화의 제약 요인․195
<표 Ⅶ-8> 대학에서 배운 것만으로 현 일자리의 업무 수행에 충분한가?․196
<표 Ⅶ-9> 업무수행에 부족한 능력을 어떻게 메우는가?․197
<표 Ⅶ-10> 현 일자리의 업무 수행에 충분한 능력 습득까지의 소요기간․198
<표 Ⅶ-11> 교육훈련 형태별 신입사원의 참여 실태․199
<표 Ⅶ-12> 교육훈련 내용별 신입사원의 참여 실태․200
<표 Ⅶ-13> 훈련실시 여부에 대한 로짓 모형․203
<표 Ⅶ-14> 업무습득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205
<표 Ⅶ-15> 신입사원 1인당 교육훈련비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206
<표 Ⅶ-16> 대학교육과 기업 요구수준 간 괴리 정도의 변화에 따른 신입사원 교육훈련비 증감 효과․207
<표 Ⅶ-17>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량․210
<표 Ⅶ-18>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 교육 형태별․214
<표 Ⅶ-19>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 교육 내용별․215
<표 Ⅶ-20> 기업 제공 교육훈련 참여 확률․216
<표 Ⅶ-21> 교육형태별 임금함수 추정-전문대학및4년제대학졸업신입사원․222
<표 Ⅶ-22> 교육 형태별 임금함수 추정-4년제 대학 졸업 신입사원․223
<표 Ⅶ-23> 교육내용별 임금함수 추정-전문대학및4년제대학졸업신입사원․224
<표 Ⅶ-24> 교육 내용별 임금함수 추정-4년제 대학 졸업 신입사원․225
[그림 Ⅲ-1] 대학교육 만족도․15
[그림 Ⅲ-2] 직업기초능력의 괴리도 비교․40
[그림 Ⅲ-3] 전문대졸 신규인력의 직업기초능력 괴리도․40
[그림 Ⅲ-4] 4년제 대졸(인문사회계열) 신규인력의 직업기초능력 괴리도․41
[그림 Ⅲ-5] 4년제 대졸(이공계열) 신규인력의 직업기초능력 괴리도․41
[그림 Ⅴ-1] 연도별 대학 수능서열․81
[그림 Ⅴ-2] 학교요인의 학과별 수능점수 변동 기여율(전체)․90
[그림 Ⅴ-3] 학교요인의 학과별 수능점수 변동 기여율(지역별, 규모별)․92
[그림 Ⅴ-4] 대학별 순위변동치의 분포․94
[그림 Ⅴ-5] 수능 10분위별 지방대 분포․107
[그림 Ⅴ-6] 수능분위수별 수도권대학과 지방대학 졸업생간 임금격차․108
[그림 Ⅴ-7] 임금분위수별 지방대생 임금차별․11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Ⅱ) 2006.01.01~2006.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