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Ⅱ)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훈련

Corporat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Educ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llege Graduates
저자
채창균 옥준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18-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11.30
등록일
2006.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신입사원 교육훈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3
제2장  이용자료
제3장  기업의 채용 실태와 특성
 제1절  기업의 채용 현황 10
   1. 기업의 채용 규모와 채용인력의 분포 10
   2. 기업의 채용 형태와 기준 16
 제2절  채용 결정 요인 분석 26
   1. 기업의 채용 규모 결정 요인 분석 26
   2. 신입사원의 특성과 일자리의 질 33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42
제4장  대학교육 만족도와 요구
 제1절  대졸 신입사원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평가 46
   1. 대졸 신입사원의 대학교육 만족도 46
   2. 대학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대학교육으로부터의 도움도 52
   3. 대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56
 제2절  기업의 대졸 신규 채용인력에 대한 평가 57
   1. 대졸 신규 채용인력의 능력 수준이 기업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 57
   2. 대졸 신규 채용인력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60
 제3절  대학교육에 대한 요구 62
   1. 대학교육이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 62
   2.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 64
   3.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와 괴리도 67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74
제5장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교육훈련
 제1절  대졸 신입사원 교육훈련의 실태와 특성 78
   1. 기업의 신입사원에 대한 교육훈련 제공 실태 78
   2. 대졸 신입사원의 교육훈련 참여 실태 88
 제2절 기업 내 교육훈련의 결정 요인과 성과 분석 94
   1.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교육훈련의 제공 94
   2. 대졸 신입사원의 교육훈련 참가와 그 성과에 대한 분석 100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18
제6장  결 론
SUMMARY 129
<부록 1>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인사팀장용) 135
<부록 2>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대졸신입사원용) 161
참고문헌 187
  본 연구에서 기업에 대한 대규모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조사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했던 것은 바로 여기에 그 배경이 있다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의 채용 실태와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대학교육과 기업 요구수준 간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교육훈련 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 교육의 개선 및 대졸 청년층의 원활한 노동시장 이행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해 볼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comprehensⅣe analysis of the entire process of actⅣities taking place from corporate employment to the training of new college graduates, based on a large-scale survey of enterpris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Chapter 3 on the corporate employment situation:
First, the regression analysis of corporate employment scope decision factors showed that the rate of job creation was in proportion to those of market competitⅣeness, new technology introduction, and owners' management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the job creation rate was in reverse proportion to the existence of labor unions, the level of salaries, and enterprise size. In terms of industry type, the service industry exhibited a relatⅣely high rate of job crea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Second, the estimate of wage functions for new employees in 2005, and the logistic analysis of full-time employment or otherwise among large enterprises suggested that enterprises primarily take into consideration AAT scores, namely academic backgrounds, rather than efforts made during college attendance, with the exception of how they considered overseas training experiences. This means that enterprises are currently placing little trust in college education or in the younger population's efforts in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after college entrance, and are overly dependent on latent faculties expressed in scholastic performance prior to college life.
...
<표 Ⅱ-1> 업종 구분․6
<표 Ⅱ-2> 조사 기업의 특성․7
<표 Ⅱ-3> 조사 신입사원의 특성․8
<표 Ⅲ-1> 기업의 채용 현황․12
<표 Ⅲ-2> 학력별 채용 현황․14
<표 Ⅲ-3> 신입사원과 경력사원의 채용현황․15
<표 Ⅲ-4> 신입사원 채용형태․17
<표 Ⅲ-5> 신입사원 채용 시 주요 고려 요인․18
<표 Ⅲ-6> 취업재수생 선호 여부․19
<표 Ⅲ-7> 신규채용 시 출신대학 중시 정도․20
<표 Ⅲ-8> 신규채용 시 출신대학 중시 이유․22
<표 Ⅲ-9> 출신대학 중시 유형․23
<표 Ⅲ-10> 출신대학 중시 단계․24
<표 Ⅲ-11> 출신대학 중시 경향의 변화․25
<표 Ⅲ-12>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량․30
<표 Ⅲ-13> 대졸 일자리 창출률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32
<표 Ⅲ-14> 대졸 신입사원의 기초통계량․36
<표 Ⅲ-15> 임금함수의 추정 결과․39
<표 Ⅲ-16>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41
<표 Ⅳ-1> 대학교육 만족도․48
<표 Ⅳ-2> 전문대학 교육 만족도(계열별․대학소재지별)․50
<표 Ⅳ-3> 4년제 대학 교육 만족도(계열별․대학소재지별)․51
<표 Ⅳ-4> 직업기초능력 하위 능력 요소의 의미․53
<표 Ⅳ-5> 대학졸업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54
<표 Ⅳ-6> 대학교육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의 도움도․55
<표 Ⅳ-7> 대학교육의 학문기초능력과 직업능력 형성에의 도움도․56
<표 Ⅳ-8> 대학이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57
<표 Ⅳ-9> 대졸 신규 채용인력의 능력 수준이 기업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58
<표 Ⅳ-10> 과거와 비교해 볼 때 기업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정도․59
<표 Ⅳ-11> 기업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정도가 확대된 이유․60
<표 Ⅳ-12> 채용 당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61
<표 Ⅳ-13> 과거 대졸 신규 채용인력과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비교․62
<표 Ⅳ-14> 대학교육의 현재 방향․63
<표 Ⅳ-15> 대학교육이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64
<표 Ⅳ-16>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인사담당자)․65
<표 Ⅳ-17> 대학교육 중 강화해야 할 내용(대졸 신입사원)․66
<표 Ⅳ-18>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인사담당자)․67
<표 Ⅳ-19> 직업기초능력의 직업에서 중요도(대졸 신입사원)․68
<표 Ⅳ-20> 직업기초능력의 괴리도(인사담당자)․69
<표 Ⅳ-21> 직업기초능력의 괴리도(대졸 신입사원)․71
<표 Ⅴ-1> 신입사원 교육실시 여부․79
<표 Ⅴ-2> 신입사원의 업무습득기간과 1인당 교육훈련비․80
<표 Ⅴ-3> 교육 형태별 교육훈련실시 실태(업종별)․82
<표 Ⅴ-4> 교육 형태별 교육훈련실시 실태(기업규모별)․83
<표 Ⅴ-5> 교육 내용별 교육훈련실시 실태(업종별)․86
<표 Ⅴ-6> 교육 내용별 교육훈련실시 실태(기업규모별)․87
<표 Ⅴ-7> 교육훈련 활성화의 제약 요인․88
<표 Ⅴ-8> 대학에서 배운 것만으로 현 일자리의 업무 수행에 충분한가?․89
<표 Ⅴ-9> 업무수행에 부족한 능력을 어떻게 메우는가?․90
<표 Ⅴ-10> 현 일자리의 업무 수행에 충분한 능력 습득까지의 소요기간․91
<표 Ⅴ-11> 교육훈련 형태별 신입사원의 참여 실태․92
<표 Ⅴ-12> 교육훈련 내용별 신입사원의 참여 실태․93
<표 Ⅴ-13> 훈련실시 여부에 대한 로짓 모형․96
<표 Ⅴ-14> 업무습득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98
<표 Ⅴ-15> 신입사원 1인당 교육훈련비 결정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99
<표 Ⅴ-16> 대학교육과 기업 요구수준 간 괴리 정도의 변화에 따른 신입사원 교육훈련비 증감 효과․100
<표 Ⅴ-17>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량․102
<표 Ⅴ-18>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 교육 형태별․106
<표 Ⅴ-19>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 교육 내용별․107
<표 Ⅴ-20> 기업 제공 교육훈련 참여 확률․108
<표 Ⅴ-21> 교육형태별 임금함수 추정-전문대학 및 4년제대학 졸업 신입사원․114
<표 Ⅴ-22> 교육 형태별 임금함수 추정-4년제 대학 졸업 신입사원․115
<표 Ⅴ-23> 교육내용별 임금함수 추정-전문대학 및 4년제대학 졸업 신입사원․116
<표 Ⅴ-24> 교육 내용별 임금함수 추정-4년제 대학 졸업 신입사원․117
[그림 Ⅳ-1] 대학교육 만족도․47
[그림 Ⅳ-2] 직업기초능력의 괴리도 비교․72
[그림 Ⅳ-3] 전문대졸 신규인력의 직업기초능력 괴리도․72
[그림 Ⅳ-4] 4년제 대졸(인문사회계열) 신규인력의 직업기초능력 괴리도․73
[그림 Ⅳ-5] 4년제 대졸(이공계열) 신규인력의 직업기초능력 괴리도․7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Ⅱ) 2006.01.01~2006.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