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Ⅱ)
대학서열화와 기업
Ranking of Colleges and Corporate Employment
- 저자
- 오호영 김승보 정재호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6-18-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6.11.30
- 등록일
- 2006.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대학서열화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개념 정의 4 제3절 연구범위 9 제4절 연구내용 및 구성 11 제5절 연구방법 15 1. 문헌연구 15 2. 통계자료 15 3. 설문조사 16 제2장 대학서열화의 전개 및 환경 변화 제1절 선행연구 검토 19 1. 대학서열화의 현황과 추이 20 2. 대학서열의 형성 및 결정요인 20 3.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 22 4. 연구에 대한 시사점 23 제2절 대학교육의 성장 24 1. 대학교육의 대중화 24 2. 교육여건의 변화 27 제3절 노동시장의 변화 29 1. 비정규직의 확대 30 2. 청년층 실업률의 상승 32 3. 경력직 위주의 채용관행 33 4. 조기퇴직의 관행화 34 제3장 대학서열화의 추세와 결정요인 분석 제1절 대학서열화의 추세 37 1. 자료의 구성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7 2. 대학서열의 추세 39 3. 대학서열의 변동성 41 4. 대학서열과 교육여건 43 제2절 대학서열의 결정요인 분석 45 1. 학교서열과 전공서열 45 2. 학교효과 실증분석 48 3. 교육여건과 대학서열 변동 55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61 제4장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지방대생 임금격차를 중심으로 제1절 문제제기 63 1. 서론 63 2. 인적자원개발에서 지방대학의 중요성 65 3.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67 제2절 대학서열과 임금 71 1. 자료의 구성 71 2. 대학서열과 임금 73 제3절 지방대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78 1. 출신학교의 임금효과 78 2. 임금함수 추정결과 79 3. 임금구조 분석 84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89 제5장 대학의 서열화와 기업 인사정책 제1절 분석 자료 및 분석틀 91 제2절 대학서열화와 인사정책 95 1. 채용기준으로 기업의 출신대학 중시 현황 95 2. 기업의 출신대학 중시 이유와 유형, 단계 98 3. 기업의 출신대학 중시 추세 100 4. 출신대학 중시와 교육훈련, 지방대 출신 평가 104 제3절 대학서열화와 근로자 인식 109 1. 채용기준으로서의 출신대학에 대한 근로자 인식 109 2. 근로자 특성별 출신대학 중시 112 3. 근로자 학력별 출신대학 중시 116 4. 4년제 대졸자의 출신대학 소재지와 전공별 출신대학 중시 120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28 제6장 요약 및 정책과제 제1절 요약 131 제2절 정책과제 136 1. 대학통계의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 136 2. 대학정보의 공개 138 3.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140 SUMMARY 143 <부록 1> 부표 147 <부록 2>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 설문지(인사담당자용) 153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 설문지(대졸신입사원용) 159 참고문헌 163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대학서열화의 성격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합리적 대학서열화를 모색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대학교육은 지식을 다루는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일반인의 평가가 쉽지 않고, 지식의 속성상 외부효과가 크므로 성과를 측정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미국, 일본 등 외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소위 명문대학은 길게는 수백 년 동안 명문대학의 명성을 이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서열화가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대학 간 경쟁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수용하면서 최근 전개되고 있는 대학교육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대학서열화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대학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이를 위한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d the problem of ranking colleges, an activity that influences the corporate employment of new employees. Firstly, no remarkable change was found in the ranking of colleges during the period of analysis, and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conditions did not affect the ranking of colleges that much. Secondly, a hig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general college ranking and college ranking within each major. However, each major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ranking in the major study area was highly related to general college ranking, while the filed of education exhibited a somewhat low correlation rate,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ranking and major ranking the lowest in the major of medicine. Third,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wages between provincial and metropolitan area college graduates: The average monthly pay of provincial graduates was 1.7477 million, 11.5% lower than that of the 1.9752 million won paid on average to metropolitan area graduates. On the other hand, provincial graduates exhibited 262.70 points, 13.82% lower than the 304.90-point average found among metropolitan area graduates in terms of AAT score, which may be considered an individual ability index. This suggests that the differences in AAT scores, to a considerable extent, accounts for the difference in wages between provincial and metropolitan college graduates. Fourth, the estimate of hierarchical linear models suggested that 12.2% of wage changes among graduates could be explained by inter-college variations. More specifically, this means that 12.2% and 87.8% of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wages were caused by those in colleges and in graduates, respectively. When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wage discrimination for provincial college graduates was 2.61% in general, 2.21% among males and 3.76% among females. This suggests that, considering the average monthly wage difference of 13.0% between provincial and metropolitan area graduates, differences in wages are explained to a large degree by productivity disparities. ...
<표 Ⅱ-1> 대학교와 대학생 수의 변화․26 <표 Ⅲ-1> 표본의 범위․38 <표 Ⅲ-2> 학교 및 학과별 수능점수의 유사지니계수․41 <표 Ⅲ-3> 대학서열의 년도간 스피어만 상관계수․43 <표 Ⅲ-4> 대학서열간의 스피어만 상관계수․44 <표 Ⅲ-5> 대학서열과 운영수입지출중 등록금비율간의 스피어만 상관계수․45 <표 Ⅲ-6> 대학서열과 전공내 대학서열․47 <표 Ⅲ-7> 요약통계․57 <표 Ⅲ-8> 1994년과 2003년 대학수능순위 변화 회귀분석 결과․59 <표 Ⅳ-1> 4년제 대학의 지역별 분포․66 <표 Ⅳ-2> 학교수준의 요약통계․74 <표 Ⅳ-3> HLM 추정결과․78 <표 Ⅳ-4> 졸업생 임금자료 요약통계․81 <표 Ⅳ-5> 임금함수 추정결과․83 <표 Ⅴ-1> 표본 특성 Ⅰ․92 <표 Ⅴ-2> 표본 특성 Ⅱ․93 <표 Ⅴ-3> 대학서열화와 기업 채용정책의 분석 틀․95 <표 Ⅴ-4> 채용기준으로서 출신대학 중시 현황․96 <표 Ⅴ-5> 산업별 출신대학 중시․96 <표 Ⅴ-6> 기업 규모별 출신대학 중시․97 <표 Ⅴ-7> 노동조합 유무별 출신대학 중시․98 <표 Ⅴ-8> 기업 소재지별 출신대학 중시․98 <표 Ⅴ-9> 출신대학 중시 이유․99 <표 Ⅴ-10> 출신대학 중시 유형․100 <표 Ⅴ-11> 출신대학 중시 단계․100 <표 Ⅴ-12> 산업별 출신대학 중시 추세․101 <표 Ⅴ-13> 기업규모별 출신대학 중시 추세․102 <표 Ⅴ-14> 출신대학 중시 정도별 중시 추세․102 <표 Ⅴ-15> 출신대학 중시 이유별 중시 추세․103 <표 Ⅴ-16> 출신대학 중시 유형별 중시 추세․104 <표 Ⅴ-17> 출신대학 중시와 신입사원 능력습득 소요기간․105 <표 Ⅴ-18> 출신대학 중시와 신입사원 1인당 교육훈련비․106 <표 Ⅴ-19> 출신대학 중시 정도별 졸업생 취업기초능력 평가-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 졸업생 비교․107 <표 Ⅴ-20> 출신대학 중시 추세별 졸업생 취업기초능력 평가-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 졸업생 비교․108 <표 Ⅴ-21> 출신대학 중시 현황․109 <표 Ⅴ-22> 출신대학 중시 이유․110 <표 Ⅴ-23> 출신대학 중시 유형․110 <표 Ⅴ-24> 출신대학 중시 단계․111 <표 Ⅴ-25> 출신대학 중시 추세․111 <표 Ⅴ-26> 학력별 출신대학 중시․112 <표 Ⅴ-27> 출신대학 소재지별 출신대학 중시․113 <표 Ⅴ-28> 전공별 출신대학 중시․114 <표 Ⅴ-29> 정규직 여부별 출신대학 중시․114 <표 Ⅴ-30> 직종별 출신대학 중시․115 <표 Ⅴ-31> 학력별 출신대학 중시 이유․117 <표 Ⅴ-32> 학력별 출신대학 중시 유형․118 <표 Ⅴ-33> 학력별 출신대학 중시 단계․119 <표 Ⅴ-34> 학력별 출신대학 중시 추세․120 <표 Ⅴ-35> 출신대학 소재지별 출신대학 중시 현황(4년제 대졸)․121 <표 Ⅴ-36> 출신대학 소재지별 출신대학 중시 이유(4년제 대졸)․122 <표 Ⅴ-37> 출신대학 소재지별 출신대학 중시 유형(4년제 대졸)․122 <표 Ⅴ-38> 출신대학 소재지별 출신대학 중시 단계(4년제 대졸)․123 <표 Ⅴ-39> 출신대학 소재지별 출신대학 중시 추세(4년제 대졸)․124 <표 Ⅴ-40> 전공별 출신대학 중시 현황(4년제 대졸)․124 <표 Ⅴ-41> 전공별 출신대학 중시 이유(4년제 대졸)․125 <표 Ⅴ-42> 전공별 출신대학 중시 유형(4년제 대졸)․126 <표 Ⅴ-43> 전공별 출신대학 중시 단계(4년제 대졸)․127 <표 Ⅴ-44> 전공별 출신대학 중시 추세 인식(4년제 대졸)․127 [그림 Ⅰ-1] 연구 흐름도․14 [그림 Ⅱ-1] 대학재학생수 변화 추이(4년제 일반대학교)․25 [그림 Ⅱ-2] 학교 당 학생수 변화 추이․28 [그림 Ⅱ-3] 교수1인당 학생수 변화 추이․29 [그림 Ⅱ-4] 비정규 근로자 추이․31 [그림 Ⅲ-1] 년도별 대학 수능서열․39 [그림 Ⅲ-2] 대학서열의 연도간 산포도․42 [그림 Ⅲ-3] 학교요인의 학과별 수능점수 변동 기여율(전체)․53 [그림 Ⅲ-4] 학교요인의 학과별 수능점수 변동 기여율(지역별, 대학규모별)․55 [그림 Ⅲ-5] 학교요인의 학과별 수능점수 변동 기여율(지역별, 규모별)․57 [그림 Ⅳ-1] 대학별 수능점수와 임금․75 [그림 Ⅳ-2] 수능 10분위별 지방대 분포․76 [그림 Ⅳ-3] 수능분위수별 수도권대학과 지방대학 졸업생간 임금격차․77 [그림 Ⅳ-4] 임금분위수별 지방대생 임금격차․8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Ⅱ) | 2006.01.01~2006.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