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Ⅱ)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구조와 성과

Structure and Outcomes of Work-Based Learning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저자
정주연 장수명 최영섭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18-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09.30
등록일
2006.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도제훈련; 기업 현장실습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필요성 3
 제2절  본 연구의 주제들 6
 제3절  본 연구의 자료들 7
제2장  선진국의 도제훈련과 기업 현장실습에 대한 경험
 제1절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과 도제훈련의 차이점과 공통점 9
 제2절  도제훈련의 의미 10
 제3절  도제훈련에 대한 경제적 접근 12
   1. 도제훈련의 직접적인 비용(costs)과 편익(benefits) 12
   2. 도제훈련의 비용과 편익에 대한 질적인 연구들 17
   3. 도제훈련 기간후의 도제훈련생의 비용과 편익 18
 제4절  도제훈련에 대한 제도적 접근 20
   1. 전체적인 지배구조(Overall governance) 22
   2. 도제훈련에 대한 영국의 지배구조의 차이 23
   3. 도제훈련에서 교육의 역할과 내용(educational role and content) 25
   4. 작업장에서의 훈련(Workplace training) 26
   5. 재정적인 조건들(financial attributes) 27
 제5절  유럽 도제훈련의 시사점 29
   1.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과 유럽 도제훈련의 연관성 29
   2. 우리나라 대학생 기업현장실습에 대한 시사점 31
 제6절  영국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경험과 시사점 37
 제7절  독일과 영국의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 사례들 40
   1. 독일의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 40
   2. 영국의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 44
   3. 전문인력 재교육을 위한 기업-대학과의 협력 사례 50
   4. 국가별 공통점과 차이점 51
제3장  기업대상 설문조사 결과
 제1절  개요 55
 제2절  기업의 현장실습 실태 56
제4장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제1절  개요 101
 제2절  현장실습과 인턴십의 실태 102
제5장  기업 사례조사 결과
 제1절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유형 131
 제2절  (주)만도의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 경북대-만도트랙 132
   1. 대학생 현장실습이 시작된 배경 132
   2. 대학 측의 관심과 지원 133
   3. 기업측의 재정적인 지원 134
   4. 대학과 회사의 유기적이고 보완적인 협조 134
   5. 현장실습 참여 대학생의 사전 및 사후관리 136
   6. 기업의 애로점 137
 제3절  삼성전자의 대학생 인턴십 138
   1. 업무소개 및 인재확보형 인턴십 138
   2. 대학생 인턴십의 유형과 내용 140
   3. 삼성전자의 대학생 인턴십의 성과 143
   4. 대학생 인턴십에 대한 정부지원에 대한 견해 143
 제4절  한국 시계공업 협동조합의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 144
   1. 한국 시계공업 협동조합의 역할 145
   2. 우리나라 시계산업의 현황과 전망 145
   3. 시계회사들의 인력수요와 동서울 대학의 학과 개설 147
   4. 동서울 대학의 교육과정과 시계회사들의 지원 149
   5. 정부지원에 대한 입장 150
 제5절  기업사례조사의 주요 결과와 정책적 시사점 150
   1. 대학생 현장실습의 기업별 모델들 150
   2.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실시계기 152
   3. 외부제도적 지원이 유용한 경우 154
   4. 사례조사에서 나타난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성과 156
제6장  신입사원 입장에서 본 현장실습의 경제적 성과
 제1절  현장실습과 인턴십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추론 159
 제2절  기존 연구 결과 검토 165
 제3절  분석 방법 170
 제4절  현장실습의 성과분석 결과 175
제7장  결론: 연구결과의 종합적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제1절  기업 대상 분석 결과 요약 209
   1. 우리나라 실습의 전반적인 실태 209
   2.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더 적극적인가? 210
   3. 실습에 대한 투자에 산업별 차이가 있나? 213
   4. 사회적 합의나 정부 지원이 실습 활성화를 유도할까? 214
   5. 대학과 기업 간의 성공적인 파트너십이 중요한가? 215
 제2절  신입사원 대상 분석 결과 요약 217
 제3절  정책적 시사점 218
   1. 현장실습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들 221
SUMMARY 229
참고문헌 233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와 년제 대학을 포함한 고등교육 단계에서의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여기에 참여하는 기업과 학생들에게 과연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지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소기업들에게도 적절한 조치들이 이뤄질 경우 현장실습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경우에도 임금 측면에서는 다소 부정적이지만 취업기간을 단축시키는 데는 확실히 긍정적 효과가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장실습에서 기대되는 이러한 효과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이를 통해 과연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들이 어떤 환경적 조건하에서 대학 현장실습을 실시하는지 그리고 그런 현장실습의 경제적 효과가 어떤 것인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게 된다.
  Work-based learning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intends to provide opportunities of utilizing their theoretical knowledges at workplace levels of firms, which are taught by class room education at colleges. That learning aims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college graduates to adapt to actual workplace environments for firms and help to improve their industrial competitiveness. At the same time, such learning also guarantees higher wages, skills, and employment security for college graduates by choosing appropriate jobs reflecting their occupational preferences and capabilit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practices of work-based learning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also examines their impacts for employment and wage of college graduates. 
  For those research goals, this study particularly deals with the following two issues. First, this study examines actual levels of interests and types of investments of Korean firms in work-based learning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 On the basis of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of that subject in Britain and Germany, this study derived a theoretical framework regarding industry- and firm-specific determinants promoting or discouraging firms' investment for that training.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whether such theoretical framework is also relevantly useful to analyze the Korean experience. In both nations, the literature about experiences in both dual apprenticeship training and workplace-based learning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was reviewed for this purpose.
  Secon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mpacts of work-based learning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wag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fter they were employed in labor marke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For such research goals, this study relies on two types of data, survey data for 532 firms and 3,400 new employees in those firms and case studies in two firms and one industry (Samsung Electronic Company, Mando Machinery Company, and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 watch industry)  owning work-based learning programs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    
  A major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only four among five firms did not provide work-based learning programs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 However, among firms owning those programs, those programs were frequently observed among large-sized firms than in small- and medium-sized ones and in industries utilizing advanced technologies and showing optimistic prospects for growth than in other industries. Such finding was similarly observed in Britain and Germany. Three case studies of firms and industry also confirm that finding. In particular, lack of capabilities of individual firms for providing such program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was serious.
  This study also generates a set of useful policy implications. Above all, the government needs to investigate industry- and firm-specific environments encouraging and discouraging work-based learning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varying across industries and firms. 
  On the basis of those data on current practices of those programs, the government needs to seek to concentrate its supportive policies o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Such firms feel desperate to recruit capable college graduates but failed to do so due to low popularity among them. Effective work-based learning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could contribute to modifying such attitude of them as well as to enhanc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those firms by retaining capable students. In order to design such polic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 set of useful lessons could be derived from both effective dual apprenticeship training and work-based learning for college students in Germany and exemplary cooperation betwee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nd one college in the Korean watch industry.    
...
<표 Ⅱ-1> 도제훈련생의 비용과 그 구성요소들․15
<표 Ⅱ-2> 독일에서 기업규모나 회사가 속한 부문에 따른 훈련비용 (1991년)․17
<표 Ⅱ-3>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회사가 도제훈련생을 양성하는 이유(1997년)․20
<표 Ⅱ-4> 유럽 6개국의 도제훈련의 실시의 정도 (1997년 기준)․21
<표 Ⅱ-5> 도제훈련의 교육의 내용과 작업장의 훈련․24
<표 Ⅱ-6> 루턴대학의 훈련과정 개요․46
<표 Ⅲ-1> 지난 3년간 현장 실습 실시 여부․56
<표 Ⅲ-2> 현장실습의 시행실적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대상․57
<표 Ⅲ-3> 현장실습의 시행실적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전공․58
<표 Ⅲ-4> 현장실습의 시행실적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기간․59
<표 Ⅲ-5> 현장실습의 시행실적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인원․60
<표 Ⅲ-6> 현장실습의 시행실적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참여대학․61
<표 Ⅲ-7> 현장실습의 운영방식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실시계기․62
<표 Ⅲ-8> 현장실습의 운영방식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모집방법․64
<표 Ⅲ-9> 현장실습의 운영방식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실습계획․65
<표 Ⅲ-10> 현장실습의 운영방식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인력수요․66
<표 Ⅲ-11> 현장실습의 운영방식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담당업무․67
<표 Ⅲ-12> 현장실습의 운영방식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실습수준․68
<표 Ⅲ-13> 현장실습의 운영방식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기업의 관리방식․69
<표 Ⅲ-14> 현장실습의 운영방식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실습결과 평가․70
<표 Ⅲ-15> 가장 최근의 현장실습에 대한 정부의 지원 여부․70
<표 Ⅲ-16> 가장 최근의 현장실습에 대한 정부의 지원 부처․71
<표 Ⅲ-17> 가장 최근의 현장실습에 대한 기업 필요에 따른 지원금액 수준․72
<표 Ⅲ-18> 가장 최근의 현장실습에 대한 정부의 지원의 행정절차․72
<표 Ⅲ-19> 현장실습을 시행하는데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73
<표 Ⅲ-20> 현장실습 실시 목적․75
<표 Ⅲ-21> 실습이 끝났을 때 실습생의 업무 수행능력 향상 여부․77
<표 Ⅲ-22> 현장실습생 업무 수행능력이 향상된 가장 중요한 원인․79
<표 Ⅲ-23> 현장실습생 업무의 수행능력이 향상되지 않은 가장 중요한 원인․80
<표 Ⅲ-24> 현장실습생에 대한 급여지급 방식․81
<표 Ⅲ-25> 현장실습생 월급여수준․82
<표 Ⅲ-26> 현장실습생의 업무기여도와 비교한 급여수준․83
<표 Ⅲ-27> 현장실습생의 업무기여도와 비교하여 낮은 임금을 지불하는 이유․84
<표 Ⅲ-28> 현장실습생의 업무기여도와 비교하여 높은 임금을 지불하는 이유․85
<표 Ⅲ-29> 유사 업무 신입사원의 생산성 대비 실습생의 생산성․86
<표 Ⅲ-30> 유사 업무 신입사원의 월 평균 급여․87
<표 Ⅲ-31> 현장실습 전체에 걸쳐 기업이 부담했던 관리비용․88
<표 Ⅲ-32> 현장실습 업무에 비교하여 적정한 월급여수준․89
<표 Ⅲ-33> 현장실습이 실습생 배치 부서 업무에 미치는 영향․91
<표 Ⅲ-34> 현장실습에 따라 기대되는 효과에 대한 평가․92
<표 Ⅲ-35> 지난 3년간 현장실습을 실시하지 않은 가장 중요한 이유․94
<표 Ⅲ-36> 지난 3년 이전 현장실습을 시행한 경험 여부․95
<표 Ⅲ-37> 앞으로 현장 실습을 시행할 계획 여부․96
<표 Ⅲ-38> 어떤 점이 달라져야 현장실습에 참여 의향․98
<표 Ⅲ-39> 현장실습에 따라 기대되는 효과 참조․99
<표 Ⅳ-1> 대학입학 후 첫 직장에 입사하기 전 현장실습 경험여부(1)․102
<표 Ⅳ-2> 대학입학 후 첫 직장에 입사하기 전 현장실습 경험여부(2)․103
<표 Ⅳ-3> 전공별 현장실습 경험․103
<표 Ⅳ-4> 현장실습 이수기간․104
<표 Ⅳ-5> 전공별 현장실습 이수기간․104
<표 Ⅳ-6> 현장실습과 전공의 관련성(1)․105
<표 Ⅳ-7> 현장실습과 전공의 관련성(2)․106
<표 Ⅳ-8> 전공별 현장실습과 전공의 관련성․107
<표 Ⅳ-9> 현장실습 참여 계기․107
<표 Ⅳ-10> 현장실습의 내용․108
<표 Ⅳ-11> 현장실습 대상자 선발 주관(1)․109
<표 Ⅳ-12> 현장실습 대상자 선발 주관(2)․109
<표 Ⅳ-13> 현장실습과 학점취득 등의 공식적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여부․110
<표 Ⅳ-14> 전공별 현장실습과 학점취득과의 관련성 여부․110
<표 Ⅳ-15> 현장실습에 대한 대학의 지도감독․111
<표 Ⅳ-16> 현장실습에 대한 기업의 지도감독(1)․112
<표 Ⅳ-17> 현장실습에 대한 기업의 지도감독(2)․112
<표 Ⅳ-18> 현장실습의 운영 방식․113
<표 Ⅳ-19> 현장실습의 사전직무연수시간과 급여, 기간, 1일 근무시간․114
<표 Ⅳ-20> 현장실습의 사전직무연수 여부와 시간․114
<표 Ⅳ-21> 주당 근무일수와 수당지급 여부․115
<표 Ⅳ-22> 현장실습의 도움 정도․115
<표 Ⅳ-23> 현장실습 과정에서 가장 주요한 애로사항․116
<표 Ⅳ-24> 현장실습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117
<표 Ⅳ-25> 향후 현장실습의 방향․118
<표 Ⅳ-26> 대학입학 후 첫 직장에 입사하기 전 인턴십 경험여부․119
<표 Ⅳ-27> 전공별 인턴십 경험여부․119
<표 Ⅳ-28> 인턴십 이수기간․120
<표 Ⅳ-29> 인턴십과 전공의 관련성․120
<표 Ⅳ-30> 인턴십 참여 계기․121
<표 Ⅳ-31> 인턴십의 내용․122
<표 Ⅳ-32> 현장실습 참여에 대한 Probit 모형의 결과 (전체 표본과 전문대학졸)․123
<표 Ⅳ-33> 현장실습 참여에 대한 Probit 모형의 결과 (4년제 대졸)․125
<표 Ⅳ-34> 인턴십에 대한 Probit 모형의 결과 (전체 표본과 전문대학졸)․127
<표 Ⅳ-35> 인턴십에 대한 Probit 모형의 결과 (4년제 대학졸)․129
<표 Ⅴ-1> 경북대-만도트랙의 하계기업 현장실습의 과정․136
<표 Ⅴ-2> 삼성전자의 인문계와 이공계 대학 재학생에 대한 인턴십․141
<표 Ⅵ-1> 현장실습 경험유무에 따른 임금 차이․176
<표 Ⅵ-2> 현장실습 경험횟수에 따른 임금 차이․176
<표 Ⅵ-3> 현장실습에 따른 일자리의 획득기간․177
<표 Ⅵ-4> 현장실습경험과 정규직 여부․178
<표 Ⅵ-5> 현장실습경험에 따른 직무만족도․178
<표 Ⅵ-6> 현장실습횟수와 전공일치도․179
<표 Ⅵ-7> 현장실습기간과 전공일치도․179
<표 Ⅵ-8> 현장실습횟수와 업무수행에 필요한 훈련기간․180
<표 Ⅵ-9> 현장실습 효과 회귀분석 결과 (종속변수=Log 월임금)․182
<표 Ⅵ-10> OLS전문대학 졸업자 현장실습 (종속변수=Log 월임금)․184
<표 Ⅵ-11> OLS 4년제대 졸업자 현장실습 (종속변수=Log 월임금)․186
<표 Ⅵ-12> 사회계열 현장실습 Log 월임금, 교차항 이용․188
<표 Ⅵ-13> 공학계열 현장실습 Log 월임금, 교차항 이용․190
<표 Ⅵ-14> 사회계열 현장실습 Log 월임금, probit 모형 이용․191
<표 Ⅵ-15> 사회계열 인턴십 Log 월임금, probit 모형 이용․192
<표 Ⅵ-16> 공학계열 현장실습 Log 월임금, probit 모형 이용․193
<표 Ⅵ-17> 공학계열 인턴십 Log 월임금, 1단계 probit 모형 이용․194
<표 Ⅵ-18> 사회계열 현장실습과 인턴십 (도구변수, Log 월임금)․195
<표 Ⅵ-19> 공학계열 현장실습과 인턴십 (도구변수, Log 월임금)․196
<표 Ⅵ-20> 현장실습실시의 효과(Log 월임금: 전체 및 전문대졸)․197
<표 Ⅵ-21> 현장실습기업의 효과(Log 월임금: 4년제 졸업자)․199
<표 Ⅵ-22> 첫 일자리를 얻기까지 걸린 시간 OLS (전체 표본)․201
<표 Ⅵ-23> 첫 일자리를 얻기까지 걸린 시간 OLS (4년제대 졸업자)․203
<표 Ⅵ-24> 첫 일자리를 얻기까지 걸린 시간 OLS (전문대 졸업자)․205
<표 Ⅵ-25> 전공일치에 관한 Probit 모형․206
[그림 Ⅱ-1] 4년 도제훈련기간에 생산성, 임금, 훈련비용의 변화 (오스트레일리아, 1997년)․1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Ⅱ) 2006.01.01~2006.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