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인적자원 통계시스템 구축 연구

Construction of HR Statistical System
저자
송창용 윤여인 유한구 손유미 박주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2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11.30
등록일
2006.11.30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내용 3
   1. 인적자원의 개념과 인적자원개발정책의 분류 3
   2. 인적자원 관련 통계의 현황 4
   3. 인적자원 통계시스템의 체계와 인적자원 DB의 구축 4
제2장  인적자원 통계시스템의 내용과 범위
 제1절  인적자원과 인적자원정책의 분류 7
   1. 영역별 분류 8
   2. 대상별 분류 8
   3. 인적자원개발기본법에 의한 분류 11
 제2절  인적자원 관련 통계의 수요 13
제3장  인적자원 관련 통계ㆍ지표 시스템 현황
 제1절  교육 관련 통계시스템 17
   1. 교육기본통계조사 18
   2.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22
   3.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24
   4. 교육정보화 시스템 26
 제2절  고용 관련 통계시스템 32
   1. 경제활동인구조사 39
   2. 노동력수요동향조사 42
   3. 기업체노동비용조사 43
   4.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44
   5.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 45
제4장  인적자원 통계시스템의 구축
 제1절  인적자원 통계시스템의 내용과 체계 49
   1. 인구ㆍ사회의 변화 51
   2. 교육일반 53
   3. 고등 교육 54
   4.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56
   5.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 57
   6. 평생학습 61
 제2절  인적자원통계 DB의 구축 63
제5장  결론
 제1절  정책 과제 74
   1. 인력수급통계 인프라의 개선 필요 74
   2. 인적자원 통계의 생성과 확충 75
 제2절  인적자원 통계 협력망 구축 77
   1. 인적자원 통계 협력 실태 및 인식 79
   2. 통계 협력망의 필요성 80
   3. 협력망 구축 방안 82
SUMMARY 85 
<부록 1> 인구주택총조사의 조사내용 91
<부록 2>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조사항목 변화 내용 100
<부록 3> 교육기본통계조사규정('01. 6.23) 101
<부록 4>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의 조사항목 105
<부록 5> 인적자본기업패널의 조사내용 112
<부록 6> 한국노동패널조사의 조사내용 116
<부록 7> 인적자원통계 DB 구축 대상 목록 124
<부록 8> 인적자원 통계 협력망 구축을 위한 유관기관 설문지 133
참고문헌  141
  본 연구는 실물, 경제 통계에 비하여 인적자원통계가 양적, 질적으로 현저히 부족하고, 인적자원 통계·지표를 정리·제공하는 인적자원 통계 시스템이 부재하다는 현실 인식에서 시작한다.
  이를 위해 인적자원개발 통계 인프라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인적자원 통계 시스템의 내용과 체계를 제시한 후 인적자원 통계 DB를 구축하여 인적자원 통계 시스템의 단초 를 제시하였다.
   ○ 주요 내용
    - 인적자원 통계 시스템의 내용과 범위 
    - 인적자원 관련 통계·지표 시스템 현황
    - 인적자원 통계 시스템의 구축 
    - 인적자원 통계 시스템의 향후 과제 
  As a contemporary society becomes knowledge-based, the importance of policy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 With this, the demand for statistic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s also been increasing because statistics makes a exact diagno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the results of adopted policy.
  Despite of its necessity, statistic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inadequate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and there is no HR statistics system arranging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statistics of human resou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ornerstone of HR statistics system through formulating a system of HR statistics, presenting the contents of it, and building the database of statistics of human resource. 
  HR statistics system provides statistics and indicators of school, department information, job information, certificate information, and industrial information for the people including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who are users of education, enterprises, government ministries and offices which make a policy, and every kinds of educational institution. Building HR statistics system means making the basis of arranging and providing a systemized HR statistics to users. Accordingly, HR statistics system puts data and indicators of the labor market and education market into a database, provides that timely to users in orde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and circulation of statistical information, and supports the formulation and execution and evaluation of HR resource policy which is related 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and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HR.      
  HR index in HR statistics system composed of 6 stages as follows: ① the demographic transition ② the formal school education(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③the higher education ④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labor market ⑤ the labor market ⑥ lifelong learning. And each stage composed of input, output and outcome, environment and structure. 
  The aim of this HR statistics system is to put every kind of data and indicators related with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o a database, and to make it easy to access and use the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very user.  
  To produce this HR statistical system, there are three things to be done. First, statistical data should be converted to a certain type of data which can be put in a database. Total 233 data which are the change of society/economy/education circumstance (53),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28), the higher education (73),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labor market (23),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19), and lifelong learning (37) are expected to be put in a database. Second, it should be produced to research a converted database on the web site of NHRD-Net at ease. That is, this service would be given by adding new menu on the web site of NHRD-NET which service is now underway. Third, it should be produced to let users decide weight as they wa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at is, users can make indexes at own discretion including deciding weight, and even can conduct a consistency check.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OECD countries is possible. To increase visual effects, extra components are expected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make a various type of graphs.  
...
<표 Ⅱ-1>「표준직업분류」와「고용직업분류」비교․10
<표 Ⅱ-2> 대상별 인적자원개발 분류․11
<표 Ⅱ-3> 인적자원개발 개념과 범주․12
<표 Ⅱ-4> 인적자원 통계에 대한 수요․14
<표 Ⅱ-5> 개인과 기업체 제공 통계정보․15
<표 Ⅱ-6> 정책결정자와 연구자, 교육기관․16
<표 Ⅲ-1>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의 주요 내용․17
<표 Ⅲ-2> 교육통계연보의 명칭 변경 현황․20
<표 Ⅲ-3>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의 설문지 변화('04, '05)․26
<표 Ⅲ-4> 인적자원통계정보체제구축의 단계별 추진목표․28
<표 Ⅲ-5> HRD-Net DB 구성 및 주요 내용․34
<표 Ⅲ-6> 고용보험 DB의 구성 및 주요 내용․48
<표 Ⅴ-1> 인적자원통계보유 기관간 통계협력 정도․80
<표 Ⅴ-2> 통계협력 장애요인․80
<표 Ⅴ-3> 인적자원통계 관리 시스템의 문제점․81
<표 Ⅴ-4> 분산형 인적자원 통계 관리 시스템 운영․82
<표 Ⅴ-5> 통계 협력망 필요성․82
<표 Ⅴ-6> 협력망의 참여 구성원의 범위․83
<표 Ⅴ-7> 인적자원통계 협력망의 성격․83
<표 Ⅴ-8> 인적자원통계 협력망의 과제 1순위․84
<표 Ⅴ-9> 인적자원통계 협력망의 과제 2순위․84
<표 Ⅴ-10> 통계 협력망에서 통계 수집절차․84
[그림 Ⅲ-1]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 홈페이지․18
[그림 Ⅲ-2] 교육통계조사의 보고절차 및 관련 기관의 역할․21
[그림 Ⅲ-3]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발전 단계․23
[그림 Ⅲ-4] 교육통계조사와 취업통계조사 요약․24
[그림 Ⅲ-5] 고용 관련 정보망․38
[그림 Ⅲ-6]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주요내용․41
[그림 Ⅳ-1] 인적자원 통계시스템 내용․63
[그림 Ⅳ-2] 통계시스템의 구축 범위와 절차․65
[그림 Ⅳ-3] 통계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성 절차․65
[그림 Ⅳ-4] 영역별 주요 지표 화면(예시)․66
[그림 Ⅳ-5] 맞춤 주요 지표 선택 화면(예시)․67
[그림 Ⅳ-6] 맞춤 주요 지표 결과 화면 1(예시)․68
[그림 Ⅳ-7] 맞춤 주요 지표 결과 화면 2(예시)․69
[그림 Ⅳ-8] 가중치 부여 선택화면(예시)․69
[그림 Ⅳ-9] 가중치 부여 결과 화면 2(예시)․70
[그림 Ⅳ-10] 가중치부여 결과 화면 3(예시)․71
[그림 Ⅴ-1] 인적자원 통계 연계시스템․7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적자원 통계시스템 구축 연구 2006.01.01~2006.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