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소기업 연계형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Developing a Program that Supporting Employment Connect the Discharged Soldiers and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저자
박동열 홍선이 윤형한 이정표 강명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6-2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6.12.20
등록일
2006.12.20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3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4
   1. 문헌 및 자료 분석 4
   2. 전문가협의회 및 간담회 개최 5
   3. 국내외 출장을 통한 면담조사 5
   4. 설문조사 6
   5. 세미나 개최 8
제2장  제대군인 취업지원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
 제1절  제대군인 취업지원 관련 정책 현황 9
   1. 국내 제대군인 취업지원 정책 9
   2. 국외 제대군인 취업지원 정책 46
 제2절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현황 78
   1. 전직소양 교육 운영 현황 78
   2. 전문직무능력 향상 교육 운영 현황 92
제3장  제대군인 취업 특성 및 프로그램 개발 요구 분석
 제1절  제대군인의 취업 특성 및 지원체계 101
   1. 제대군인의 취업 특성 101
   2. 제대군인의 취업지원현황 103
 제2절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요구 119
 제3절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 진단 도구 및 능력 분석 125
   1. 제대군인에게 요구되는 직무 수준과 능력 125
   2.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 진단 도구 131
   3. 제대군인 전문직무수행능력 분석 140
제4장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
 제1절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과 주요 내용 161
   1.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 161
   2. 제대군인 대상 사회적응 프로그램의 주요내용 164
   3. 제대군인 대상의 훈련·취업 연계된 전문능력 향상 프로그램 183
 제2절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안 207
   1. e-learning을 통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운영 방안 207
   2. 제대군인 훈련ㆍ취업 연계된 전문능력향상 프로그램 운영 방안 210
   3.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 223
제5장  요약 및 결론
SUMMARY 231
<부록 1> 제대군인 적합 직종별 직무수행 능력 세부분석 235
<부록 2> 제대군인 희망직종 순위 265
<부록 3> 제대군인 직종별 설문지 267
<부록 4> 제대군인의 직업기초능력 진단 도구(BARS) 497
<부록 5> 제대군인의 전문능력향상프로그램 개발요구분석 설문지 505
참고문헌 509
  우리나라 제대군인들은 취업의지는 높으나 기업이 요구하는 전문성이나 업무능력의 부족으로 민간 기업부문으로의 진출이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있어서 제대군인이 중소 기업 요구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중소기업 연계형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이 연구에서는 제대군인 취업지원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과 프랑스·독일의 취업지원 제도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제대 군인의 취업특성과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제대군인 취업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과 주요 내용을 도출하였고, 직업 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과 전문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제대군인 취업지원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 
   - 제대군인 취업 특성 및 프로그램 개발 요구 분석
   -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 
  According to the research, most of the men in Korea who fulfilled their military service are doing their best to get a job, but it's very hard for them to get a job for a private company. That's because they ar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that the companies need. In this situation, it's necessary that som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connect them with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addition, that program can analyze and diagnose whether they have competence that the enterprises need. We reviewed the literature, posed questions to the discharged soldiers, interviewed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held seminars.  
  Each chapter has following contents.
  In Chapter 2, we surveyed the supporting policy and the program for the discharged soldiers at home and abroad. Besides, it contains a good lesson that the excellent supporting employment system in French and Germany give our country.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ducational training to improve the basic educational knowledge and the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the programs of supporting the discharged employment.
  In Chapter 3,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harged soldiers and analyzed the needs for developing the programs and management related to the discharged employment.
  In Chapter 4. We brought the directions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supporting discharged soldiers´ employment program to a conclusion. Also, we suggested that the programs to improve the vocation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ability should be operated efficiently.
  The basic directions of the supporting programs for the discharged soldiers´ employment is to support that the discharged soldiers should have competitive power at the labor market by developing abilities before they finish their service in the army. To realize this, we developed an instrument that understands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and job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discharged soldiers. and we also suggested five programs to manage supporting discharged soldiers´ employment.
...
<표 Ⅰ-1> 전문가협의회의 운영․5
<표 Ⅰ-2> 제대군인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요구 조사 내용․6
<표 Ⅰ-3> 조사응답자의 연령 및 복무기간․7
<표 Ⅰ-4> 조사응답자의 병과특기․7
<표 Ⅱ-1> 학교-군-사회 간 연계체계 구축 개념․12
<표 Ⅱ-2> 전역 전․후 취업지원 활동개념․13
<표 Ⅱ-3> 군교육․경력의 자격인증 개념․20
<표 Ⅱ-4> 학점인정관련 군 교육과정 평가위원회 기능․20
<표 Ⅱ-5> 중소기업체험활동의 사업별 세부 내용․27
<표 Ⅱ-6> 단기사업 프로그램 가이드․30
<표 Ⅱ-7> 해외취업전제 연수프로그램 및 인턴파견프로그램 계획(2006)․38
<표 Ⅱ-8> 해외시장개척요원 양성 사업 교육내용․40
<표 Ⅱ-9> 인턴십 사업개요․41
<표 Ⅱ-10> 연방군의 직업교육 지원 기준․59
<표 Ⅱ-11> 전직 지원 수혜자 현황․66
<표 Ⅱ-12> 지원금 수혜자․67
<표 Ⅱ-13> 직급별 지원금 수혜자․67
<표 Ⅱ-14> 복무 4년 미만 군인의 제대 1년~1년6개월 전 직업진로선택․68
<표 Ⅱ-15> 사관에게 지급된 직업진로결정 지원금 수혜자․69
<표 Ⅱ-16> 부사관에게 지급된 직업진로결정 지원금 수혜자․70
<표 Ⅱ-17> 장교에게 지급된 직업진로결정 지원금 수혜자․71
<표 Ⅱ-18> 4년 이상 복무 군인의 직업교육․72
<표 Ⅱ-19> 2005년 지급된 전문직업교육 지원금 수혜자의 주요 현황․72
<표 Ⅱ-20> 기업체 재취업 기간(SAE)․73
<표 Ⅱ-21> 업무 적응기간(PAE)․73
<표 Ⅱ-22> 개인창업(PIC)․74
<표 Ⅱ-23> 구직기술기간(S.T.R.E)․74
<표 Ⅱ-24> 4년 이상 복무 모든 군인의 취업 현장실습․75
<표 Ⅱ-25> 전직휴가 사용자․76
<표 Ⅱ-26> 제대군인의 사회활동분야에 따른 2005년 업종분류․77
<표 Ⅱ-27> 리헥트 해리슨의 전직지원프로그램(재취업)․82
<표 Ⅱ-28> 리헥트 해리슨의 전직지원프로그램(창업)․83
<표 Ⅱ-29> 제이엠커리어의 전직지원프로그램 교육내용․87
<표 Ⅱ-30>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온라인 교육 개설과목․88
<표 Ⅱ-31> 제대군인지원센터 정기 전직워크숍 프로그램․89
<표 Ⅱ-32> 국가보훈처 직업능력개발교육 교육과정별 주요내용․90
<표 Ⅱ-33> 최근 3년간 기능사양성 1년 과정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적․91
<표 Ⅱ-34> 최근 3년간 사회적응훈련 추진실적․91
<표 Ⅱ-35> 2006년 전역예정자 양성계획․92
<표 Ⅱ-36> 한국능률협회의 전문직무능력 향상 프로그램(부동산개발지도사)․94
<표 Ⅱ-37> 2006년 삼성중공업 연수원의 직업훈련생 차수별 모집인원․96
<표 Ⅱ-38> 기술교육원의 기업별 양성직종․98
<표 Ⅲ-1> 연도별 전역자의 취업현황․105
<표 Ⅲ-2> 계급별 현 취업현황․106
<표 Ⅲ-3> 학력별 현 취업현황․107
<표 Ⅲ-4> A기관 등록 제대군인의 연령․학력 구성․108
<표 Ⅲ-5> A기관 등록 제대군인 연령별 직위 구성․109
<표 Ⅲ-6> A기관 등록 제대군인 학력별 직위 구성․109
<표 Ⅲ-7> 제대군인 연령별 희망직업․111
<표 Ⅲ-8> 제대군인 학력별 희망직업․112
<표 Ⅲ-9> 제대군인 직위별 희망직업․112
<표 Ⅲ-10> 제대군인 연령별 희망연봉․113
<표 Ⅲ-11> 제대군인 학력별 희망연봉․114
<표 Ⅲ-12> 제대군인 직위별 희망연봉․114
<표 Ⅲ-13> 제대군인 연령별 자격증․115
<표 Ⅲ-14> 취업준비 제대군인 학력별 자격증 소지․116
<표 Ⅲ-15> 취업준비 제대군인 경력별 자격증 소지․116
<표 Ⅲ-16> B기관 등록 제대군인 현황․117
<표 Ⅲ-17> 학력별 제대군인의 인원과 백분율․117
<표 Ⅲ-18> 희망업종별 제대군인의 인원과 백분율․118
<표 Ⅲ-19> 병과 특기 분야 취업 희망 여부․119
<표 Ⅲ-20> 인턴십 또는 현장실습 경험 여부․119
<표 Ⅲ-21> 취업률 제고를 위한 인턴십 또는 현장실습의 필요성․120
<표 Ⅲ-22> 추진중인 정부 해외 인턴십 참여 의사 여부․120
<표 Ⅲ-23> 인턴십/현장실습 참여 유형․121
<표 Ⅲ-24> 직장선택 고려 요소․121
<표 Ⅲ-25> 성공적인 직장 생활을 위해 필요한 요소․122
<표 Ⅲ-26> 제대군인 취업지원을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정책․122
<표 Ⅲ-27> 인턴십, 현장실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123
<표 Ⅲ-28> 인턴십, 현장실습 이수 희망 기관․123
<표 Ⅲ-29> 인턴십, 현장실습 실시의 적절한 시기 및 실습 기간․124
<표 Ⅲ-30> 조사응답자의 학력별 희망직종․125
<표 Ⅲ-31> 국가자격체계와 제대군인 학력 요구수준․126
<표 Ⅲ-32> 국가자격체계: 직무수행수준․127
<표 Ⅲ-33> 기업이 바라는 인재상 및 주요 직업기초능력․128
<표 Ⅲ-34> 기업이 바라는 직업기초능력․130
<표 Ⅲ-35> 행동성과척도 유형별 장․단점․132
<표 Ⅲ-36> 노무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 수준․140
<표 Ⅲ-37> 경영(마케팅)컨설턴트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1
<표 Ⅲ-38> 영업관리사무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1
<표 Ⅲ-39> 기술영업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2
<표 Ⅲ-40> 물류관리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2
<표 Ⅲ-41> 구매자재관리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3
<표 Ⅲ-42> 물품보관 및 정리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3
<표 Ⅲ-43> 촬영기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4
<표 Ⅲ-44> 문화재보존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5
<표 Ⅲ-45> 기록물관리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5
<표 Ⅲ-46> 소방관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6
<표 Ⅲ-47> 소방설비기술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6
<표 Ⅲ-48> 구급요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7
<표 Ⅲ-49> 사회복지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8
<표 Ⅲ-50> 직업상담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9
<표 Ⅲ-51> 장례지도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49
<표 Ⅲ-52> 전기안전기술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0
<표 Ⅲ-53> 보일러 설치 및 수리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1
<표 Ⅲ-54> 건설기계운전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1
<표 Ⅲ-55> 버스운전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2
<표 Ⅲ-56> 도로운송사무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2
<표 Ⅲ-57> 품질관리원(정밀측정)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3
<표 Ⅲ-58> 산업안전관리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4
<표 Ⅲ-59> 환경관리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4
<표 Ⅲ-60> 하천감시원(수질관리인)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5
<표 Ⅲ-61> 주택관리사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6
<표 Ⅲ-62> 경비·경호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6
<표 Ⅲ-63> 건물시설관리인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7
<표 Ⅲ-64> 인명구조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8
<표 Ⅲ-65> 주차관리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8
<표 Ⅲ-66> 조경관리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9
<표 Ⅲ-67> 식물재배원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59
<표 Ⅲ-68> 농림어업 관련 전문가에 관한 제대군인 직무수행능력수준․160
<표 Ⅳ-1> 직업기초능력과 제대군인지원센터 프로그램․165
<표 Ⅳ-2> 고졸 제대군인의 직무수행 수준․166
<표 Ⅳ-3> 고졸 제대군인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주요내용․167
<표 Ⅳ-4> 대졸 제대군인의 직무수행 수준․171
<표 Ⅳ-5> 대졸 제대군인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주요내용․172
<표 Ⅳ-6> 대졸이상 제대군인의 직무수행 수준․178
<표 Ⅳ-7> 대졸이상 제대군인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주요내용․180
<표 Ⅳ-8> 제대군인 대상 노무사 양성 프로그램․183
<표 Ⅳ-9> 제대군인 대상 경영컨설턴트(마케팅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184
<표 Ⅳ-10> 제대군인 대상 영업관리사무원 양성 프로그램․185
<표 Ⅳ-11> 제대군인 대상 기술영업원 양성 프로그램․186
<표 Ⅳ-12> 제대군인 대상 물류관리사 양성 프로그램․186
<표 Ⅳ-13> 제대군인 대상 구매자재관리사 양성 프로그램․187
<표 Ⅳ-14> 제대군인 대상 물품보관 및 정리원 양성 프로그램․188
<표 Ⅳ-15> 제대군인 대상 촬영기사 양성 프로그램․188
<표 Ⅳ-16> 제대군인 대상 기록물관리사 양성 프로그램․189
<표 Ⅳ-17> 제대군인 대상 소방관 양성 프로그램․190
<표 Ⅳ-18> 제대군인 대상 의료장비기사 양성 프로그램․191
<표 Ⅳ-19> 제대군인 대상 구급요원(응급구조사) 양성 프로그램․192
<표 Ⅳ-20> 제대군인 대상 사회복지사 양성 프로그램․194
<표 Ⅳ-21> 제대군인 대상 직업상담사 양성 프로그램․195
<표 Ⅳ-22> 제대군인 대상 장례지도사 양성 프로그램․196
<표 Ⅳ-23> 제대군인 대상 보일러 설치 및 수리원 양성 프로그램․197
<표 Ⅳ-24> 제대군인 대상 건설기계운전원 양성 프로그램․198
<표 Ⅳ-25> 제대군인 대상 버스운전사 양성 프로그램․198
<표 Ⅳ-26> 제대군인 대상 산업안전관리원 양성 프로그램․200
<표 Ⅳ-27> 제대군인 대상 대기환경관리자 양성 프로그램․201
<표 Ⅳ-28> 제대군인 대상 하천감시원 양성 프로그램․202
<표 Ⅳ-29> 제대군인 대상 경호·경비원 양성 프로그램․203
<표 Ⅳ-30> 제대군인 대상 인명구조원 양성 프로그램․204
<표 Ⅳ-31> 제대군인 대상 조경관리원 양성 프로그램․205
<표 Ⅳ-32> 제대군인 대상 식물재배원 양성 프로그램․206
<표 Ⅳ-33> 체험사업 협약서 예시(중소기업 체험학습 협약서)․219
<표 Ⅳ-34> 약정서 예시(중소기업 체험활동 약정서)․220
<표 Ⅳ-35> 제대군인의 인턴십 프로그램 관련 법률 개선(안)․224
[그림 Ⅰ-1] 연구의 추진 절차 및 내용․8
[그림 Ⅱ-1] 청년패키지사업의 추진체계․44
[그림 Ⅱ-2] 전직지원실의 상담분류․51
[그림 Ⅱ-3] 제대예정 현역군인의 교육프로그램 참가현황․52
[그림 Ⅱ-4] 자격시험분류표․53
[그림 Ⅱ-5] 제대군인 취업지원 지출금의 분류․54
[그림 Ⅱ-6] 전직단계의 진행 과정․76
[그림 Ⅱ-7] 리헥트 해리슨(LHH)의 전직지원 프로세스․80
[그림 Ⅱ-8] 프로그램 진행방향(3개월 진행 + 9개월 사후관리)․84
[그림 Ⅱ-9] 제이엠커리어의 제대군인 취업 프로세스․85
[그림 Ⅱ-10] 제이엠커리어의 제대군인 전직지원프로그램 총괄표․85
[그림 Ⅱ-11] 직업훈련기관 담당자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직업훈련기간․92
[그림 Ⅲ-1] 기업이 바라는 대학 교과과정․129
[그림 Ⅲ-2] 직업기초능력 진단 도구의 예․133
[그림 Ⅲ-3] 직무능력 모형 예시․134
[그림 Ⅳ-1] 제대군인의 민간부분 취업제고를 위한 전략과 추진과제․162
[그림 Ⅳ-2] 제대군인 취업지원 프로그램 영역․164
[그림 Ⅳ-3] e-learning을 통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운영 방안․208
[그림 Ⅳ-4] 제대군인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직업훈련과정 개발 및 적용 방안․211
[그림 Ⅳ-5] 제대군인의 중소기업 체험사업 운영 절차․21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소기업 연계형 제대군인 취업 지원 프로그램 개발 2006.01.01~2006.12.2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