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문별 인적자원개발지원 시스템 구축: 금융 산업과 디자인 산업을 중심으로
Building the Support System for Sectoral Human Resource Development(II): Exploring the sectoral HRD policies for the Financial and Design Industry
- 저자
- 최영섭 김미란 정향진 민주홍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6-3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6.12.31
- 등록일
- 2006.12.31
요 약 제1부 총론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13 제3절 연구 방법 16 제2장 서비스산업 인적자원개발: 의의와 필요성 제1절 서비스 산업의 분류 및 경제적 중요성 23 제2절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30 제3절 서비스 산업 경쟁력 제고의 핵심: 금융 산업과 디자인 산업 36 제3장 금융 및 디자인 산업 거시 분석 제1절 생산물 시장의 현황 및 특징 48 제2절 노동시장의 현황 및 특징 52 제3절 소결: 산업별 심층 분석에 대한 시사점 88 제2부 금융 산업의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전략 제1장 금융 환경 및 금융 산업의 변화 제1절 금융 산업의 경제적 의의 95 제2절 금융 환경의 변화 102 제3절 금융 업종별 변화와 시사점 110 제4절 금융 산업의 노사관계 117 제2장 금융 산업 인력수급의 현황 및 특성 제1절 금융 산업의 고용기반 및 고용구조 125 제2절 이직ㆍ재취업 현황과 임금구조 137 제3절 금융부문 유관기관과 교육기관 현황 144 제4절 금융인력 양성ㆍ관리 체계에 대한 평가 157 제3장 금융 산업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 제1절 조사 개요 173 제2절 시장 여건 및 전망에 대한 인식 176 제3절 인력구조 및 인력수급 현황 179 제4절 재직인력과 핵심인력 현황 190 제5절 인적자원개발 실태 198 제6절 업종별 공동 인적자원개발 현황 및 의견 208 제7절 실태조사의 시사점 214 제4장 국내ㆍ외 금융 산업의 산업별 접근 현황 제1절 정부의 금융인력 양성정책과 논의 현황 219 제2절 금융 산업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평가 233 제3절 해외 금융 산업별 접근 사례 236 제5장 결론: 금융 산업의 인적자원개발 방향과 전략 제1절 금융 산업 인적자원개발의 현안 265 제2절 금융 산업 인적자원개발의 방향 및 과제 273 제3절 금융 산업 인적자원개발 협의체의 가능성 및 방향 277 제4절 금융 산업 인적자원개발 협의체의 운용방안 281 제3부 디자인 산업의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전략 제1장 디자인 산업의 현황 및 동향 제1절 디자인 산업의 전략적 중요성 295 제2절 디자인 산업의 범위와 특성 304 제3절 디자인 산업의 현황과 전망 309 제2장 디자인 인력수급 현황 및 관련 이해당사자 동향 제1절 디자인 인력수급 현황 337 제2절 디자인 인적자원개발 관련 이해당사자 동향 353 제3장 디자인 산업 인적자원개발 실태와 문제점 제1절 조사개요 363 제2절 시장 여건 및 전망에 대한 인식 366 제3절 디자인 관련 인력구조 및 인력수급 현황 368 제4절 재직인력과 핵심인력 현황 383 제5절 인적자원개발 현황 393 제6절 업종별 공동 인적자원개발현황 및 의견 407 제7절 요약 및 시사점 416 제4장 해외 디자인 산업의 산업별 접근 현황 제1절 해외 디자인 산업 관련 정책 현황 425 제2절 해외 디자인 인적자원개발 현황 437 제3절 해외 디자인 산업의 산업별 접근 사례 448 제5장 결론: 디자인 산업의 인적자원개발 방향과 전략 제1절 디자인 산업 인적자원개발의 현안 및 기본 방향 465 제2절 디자인 산업 인적자원개발의 주요 영역과 사업 470 제3절 디자인 산업 인적자원개발 협의체의 활용가능성 및 구성 방향 477 제4절 디자인 산업 인적자원개발협의체의 운영방안 484 SUMMURY 489 <부록 1> 금융 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설문지 497 <부록 2> 디자인 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설문지 (전문기업) 517 <부록 3> 디자인 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설문지 (일반기업) 544 참고문헌 57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산업별 접근의 확대,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분야 산업별 협의체의 기초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서비스 산업의 특정 세부 업종을 대상으로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전략을 모색하게 된다. 이 경우 서비스 산업 전체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서비스 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지식기반산업으로서의 특성을 공유하며, 산업적 중요성도 상대적으로 큰 비즈니스 관련 서비스 분야를 우선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관련 서비스 중, 디자인 산업과 금융 산업에 집중하여 이들 산업에서의 인적자원개발 전략을 모색하기로 한다. 디자인과 금융은 비즈니스 관련 서비스 내에서도 국민경제에서의 전략적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KDI, 2006), 각각 중소기업/횡단적 노동시장 위주(디자인), 대기업/내부노동시장 위주(금융)의 차별화된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호 대조적 특성을 갖는 이들 두 산업에서의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접근을 검토함으로써, 이들 산업에서의 인적자원개발 전략을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향후 서비스 산업에서의 산업별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 Background of research and macro-economic situation of the financial and design industry A. Background of research Nowadays it is well known that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is a critical factor for enhanc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economy. Therefore, a systematic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policy that meet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industry is of critical importance. The service industry consists of different sub-industries, and is as affected by the rapid changes in technology and market as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us, it is important to develop HRD policies that suit each sub-industries' needs. There is a urgent need to transform the government-driven, and manufacturing industry-skewed HRD system into one that promot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and approaches each sub-industry singly. This study analyzes and considers HRD strategies for the financial industry and design industry as the key sub-industries that enhance competitiveness within the service industry. B. Macro-economic situation of the financial and design industry Financial industry and design industry are very different in terms of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 structure. Therefore,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HRD should be distinct. Structurally, the two industries are similar in that both ar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ies, and are strategic industries with great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 But there are also differences. The financial industry is experiencing fierce global competition, and is in the midst of a domestic M&A wave. On the other hand, the design industry is divided into two types, small & medium sized designing firms(called 'design production') and 'design teams' within large firms. The workforce in these two service industries are relatively young and highly educated, and are composed of a higher ratio of female workers compared to thos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or the rest of the service industry. In terms of employment and wage level, the financial industry's internal labor market is developed with priority given to male-permanent workers. Meanwhile, the design industry has a relatively high turnover rate. ...
<표 1-Ⅰ-1>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협의체 관련 기관 및 역할․10 <표 1-Ⅰ-2> 금융 산업 실태조사 모집단․19 <표 1-Ⅰ-3> 금융 산업 실태조사 표본 구성․19 <표 1-Ⅰ-4> 디자인 산업 실태조사 모집단․21 <표 1-Ⅰ-5> 디자인 산업 실태조사 표본 구성․21 <표 1-Ⅱ-1> 지식집약도 기준 서비스산업 분류․24 <표 1-Ⅱ-2> KDI 서비스 산업 분류․25 <표 1-Ⅱ-3> 지식집약 비즈니스 서비스(KIBS) 분류․26 <표 1-Ⅱ-4> 산업별 부가가치 생산비중 추이(2000년 불변)․31 <표 1-Ⅱ-5> 산업별 취업자 비중 추이․32 <표 1-Ⅱ-6> 전산업 생산 중간투입 중 서비스 생산물 투입 추이․33 <표 1-Ⅱ-7> 제조업 전체 서비스투입비중 변화 추이․33 <표 1-Ⅱ-8> 제조업․서비스업의 성장률 및 총요소생산성 증가율․34 <표 1-Ⅱ-9> 제조업․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국제비교․35 <표 1-Ⅱ-10>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요인분해(1992-2004년)․36 <표 1-Ⅱ-11> 업종별 서비스 투입계수 변화․37 <표 1-Ⅲ-1> 서비스 산업의 GDP 비중 및 순위 추이․48 <표 1-Ⅲ-2> 산업별 취업자 및 1인당 GDP 추이․49 <표 1-Ⅲ-3> 2004년 현재 규모별 사업체 및 종사자 구성비․50 <표 1-Ⅲ-4> 2000년~2004년 사업체 및 종사자 연평균 증감율․51 <표 1-Ⅲ-5> 금융 산업과 디자인 산업 근로자의 인적속성․53 <표 1-Ⅲ-6> 금융 산업과 디자인 산업 근로자의 학력 구성․54 <표 1-Ⅲ-7> 산업별 직업별 구성비․55 <표 1-Ⅲ-8> 금융 관련 직업 종사자의 산업별 분포․57 <표 1-Ⅲ-9> 디자인 관련 직업 종사자의 산업별 분포․57 <표 1-Ⅲ-10> 규모별 종사자 분포․58 <표 1-Ⅲ-11> 기업형태별 종사자 분포․59 <표 1-Ⅲ-12> 자격증 보유자 비율․60 <표 1-Ⅲ-13> 종사상 지위별 구성비․61 <표 1-Ⅲ-14> 비정규직의 계약 조건별 분포․61 <표 1-Ⅲ-15> 소득 및 근로조건․62 <표 1-Ⅲ-16> 금융 관련 직업 종사자의 월평균 소득․62 <표 1-Ⅲ-17> 디자인 관련 직업 종사자의 월평균 소득․63 <표 1-Ⅲ-18> 노동조합 조직률․63 <표 1-Ⅲ-19> 산업 및 직업 더미 추정계수․65 <표 1-Ⅲ-20> 산업 및 직업별 순소득격차 (월평균소득 기준)․66 <표 1-Ⅲ-21> 산업 및 직업별 순소득격차 (시간당소득 기준)․66 <표 1-Ⅲ-22> 기초통계․68 <표 1-Ⅲ-23> 월평균소득 추정결과․69 <표 1-Ⅲ-24> 시간당소득 추정결과․70 <표 1-Ⅲ-25> 인력부족 상황․78 <표 1-Ⅲ-26> 금융 산업의 직업별 인력부족상황․79 <표 1-Ⅲ-27> 디자인 산업의 직업별 인력부족상황․79 <표 1-Ⅲ-28> 고용보험 직능사업실적 추이: 전체․80 <표 1-Ⅲ-29> 고용보험 적용 추이․81 <표 1-Ⅲ-30> 금융 산업의 직업능력개발사업 현황․82 <표 1-Ⅲ-31> 디자인 산업 직업능력개발사업 현황․82 <표 1-Ⅲ-32> 산업별 직업능력개발훈련 현황(2005년)․84 <표 1-Ⅲ-33>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훈련분야별 분포(2005): 훈련인원기준․85 <표 1-Ⅲ-34>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훈련분야별 분포(2005): 지원금액기준․86 <표 1-Ⅲ-35> 재직근로자 훈련의 주요 특성(2005년): 전체, 제조업, 서비스업, 금융 산업, 디자인 산업․87 <표 2-Ⅰ-1> 금융 산업의 GDP 비중 추이․97 <표 2-Ⅰ-2> 금융 산업의 부가가치율 추이․99 <표 2-Ⅰ-3> 금융 산업의 항목별 부가가치․99 <표 2-Ⅰ-4> 산업별 피용자수 및 비중 추이․100 <표 2-Ⅰ-5> 산업별 고용계수 및 고용유발계수 추이․101 <표 2-Ⅰ-6> 업종별 상위 4개사의 시장점유율 추이․103 <표 2-Ⅰ-7> 금융권별 ROA 추이․107 <표 2-Ⅰ-8> 금융권별 건전성 지표․108 <표 2-Ⅰ-9> 금융권별 총자산추이․109 <표 2-Ⅰ-10> 시중은행별 점포수 추이․111 <표 2-Ⅱ-1> 금융 산업 취업자 추이․125 <표 2-Ⅱ-2> 금융 산업 업종별 종사자수․126 <표 2-Ⅱ-3> 금융 산업 업종별 사업체 수․127 <표 2-Ⅱ-4> 금융 산업의 취업자 형태 및 추이․128 <표 2-Ⅱ-5> 금융 산업 인력 추이․129 <표 2-Ⅱ-6> 금융 산업의 비정규직 비중 및 추이․131 <표 2-Ⅱ-7> 금융 산업의 파트타임 근로자 비중․131 <표 2-Ⅱ-8> 금융 산업 종사자 비중(성별 기준)․133 <표 2-Ⅱ-9> 금융 산업 종사자 비중(고용형태 기준)․135 <표 2-Ⅱ-10> 금융 산업 종사자 비중(연령 기준)․137 <표 2-Ⅱ-11> 금융 산업 종사자 이직률․138 <표 2-Ⅱ-12> 이직․해고 발생건수 및 사유․139 <표 2-Ⅱ-13> 시중은행 전체 직급별․고용형태별 인력 변동․142 <표 2-Ⅱ-14> 금융 산업 임금 추이: 월평균 기준․143 <표 2-Ⅱ-15> 금융 산업 임금추이: 정액급여 기준․143 <표 2-Ⅱ-16> 주요 금융연수(교육)기관 현황․149 <표 2-Ⅱ-17> 연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의 과정 구성․153 <표 2-Ⅱ-18> 경영전문대학원의 과정 구성․154 <표 2-Ⅱ-19> 경영전문인력 채용 현황․159 <표 2-Ⅱ-20> 금융연수기관의 연수 실적(2005년)․160 <표 2-Ⅱ-21> 전문 연수기관의 연수과정 현황․160 <표 2-Ⅱ-22> 주요 금윰허브 경쟁국의 금융부문 인력 구성․163 <표 2-Ⅱ-23> 국내외 금융기관의 생산성 비교․164 <표 2-Ⅱ-24> 수수료 구조 국제 비교(2003년 기준)․164 <표 2-Ⅱ-25> 금융 관련 자격증 종류(발급기관별)․166 <표 2-Ⅲ-1> 금융기업 산업분류별 표본특성표․175 <표 2-Ⅲ-2> 금융기업 규모별 표본특성표․176 <표 2-Ⅲ-3> 연평균 성장률 전망(금융 산업)․177 <표 2-Ⅲ-4> 향후 3년간 경영 및 자금운용 전략(금융 산업)․178 <표 2-Ⅲ-5> 직종별․수준별 인력 분류(금융 산업)․179 <표 2-Ⅲ-6> 종사자수 및 인력구조 현황․180 <표 2-Ⅲ-7> 향후 3년여간 분야별 비정규직 활용정도 변화 예상(5점척도)․181 <표 2-Ⅲ-8> 정규직 신규채용 및 고용조정(총 정규직 종사자 대비 비율 평균)․182 <표 2-Ⅲ-9> 외국 학위 및 외국 실무경력 보유자(총 종사자 대비 비율 평균)․182 <표 2-Ⅲ-10> 분야(직종)별 인력선발 기준․183 <표 2-Ⅲ-11> 분야(직종)별 인력선발 도구․184 <표 2-Ⅲ-12> 향후 3년간 직종별 인력규모 변화 예상 (5점척도)․186 <표 2-Ⅲ-13> 향후 3년간 직종별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의 내용과 수준 변화 예상․187 <표 2-Ⅲ-14> 새로운 인력수요 발생 시 주요 대처 방식․187 <표 2-Ⅲ-15> 신규인력 확보 시 업무별 지원자 수 (5점척도)․188 <표 2-Ⅲ-16> 해당 업무 지원자의 지식이나 기술수준 (5점척도)․189 <표 2-Ⅲ-17> 필요 인력을 제때 확보하지 못하는 이유․189 <표 2-Ⅲ-18> 분류별 현재 재직인력의 자질 만족도 (5점척도)․190 <표 2-Ⅲ-19> 현재 재직인력의 문제점․191 <표 2-Ⅲ-20> 분류별 핵심인력 확보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193 <표 2-Ⅲ-21> 분류별 핵심인력 유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194 <표 2-Ⅲ-22> 분류별 핵심인력 운영․관리상의 어려움․195 <표 2-Ⅲ-23> 향후 3년간 핵심인력 중 전직․이직 속도 예상 (5점척도)․196 <표 2-Ⅲ-24> 분야별 핵심인력의 현재까지 계약방식 및 향후3년 예상계약방식․198 <표 2-Ⅲ-25> 교육훈련 자체 교육시설 및 장비 구축 정도 (5점척도)․200 <표 2-Ⅲ-26> CEO나 임원, 경영진이 교육훈련에 대해 갖는 관심 및 지원정도 (5점척도)․200 <표 2-Ⅲ-27> 최근 3년간 교육훈련의 활성화 정도 (5점척도)․201 <표 2-Ⅲ-28> 재직자에게 제공할 교육훈련 선정 시 가장 크게 고려하는 요인․202 <표 2-Ⅲ-29> 직종별 교육훈련활동이 활성화 되지 않은 이유․204 <표 2-Ⅲ-30> 사외 교육훈련 프로그램 이용 시 어려운 점․204 <표 2-Ⅲ-31> 사내 교육훈련 프로그램 이용 시 어려운 점․205 <표 2-Ⅲ-32> 향후 3년간 직종별 교육훈련 투자 변화 예상 (5점 척도)․206 <표 2-Ⅲ-33> 직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자격증․206 <표 2-Ⅲ-34> 분류별 공동 교육훈련 활성화를 위한 노력 여부․208 <표 2-Ⅲ-35> 분류별 공동 교육훈련을 위한 노력의 성과․209 <표 2-Ⅲ-36> 공동협력(대응)이 필요한 분야․211 <표 2-Ⅲ-37> 상설화된 모임이나 기구의 필요성․211 <표 2-Ⅲ-38> 상설기구 구성 시 참여 의사․212 <표 2-Ⅳ-1> 금융인력양성 연차별 계획․224 <표 2-Ⅳ-2> 금융 산업 인적자원개발 관련 금융특위 논의 과정․231 <표 2-Ⅳ-3> 직업별 고용 비중: 영국․239 <표 2-Ⅳ-4> 현재 요구되는 숙련수준과 향후 요구 수준의 변화․241 <표 2-Ⅳ-5> 인력부족 사유별 부족인원(vacancy) 현황․242 <표 2-Ⅳ-6> 숙련 격차(skills gap) 현황․243 <표 2-Ⅳ-7> 근로자 교육훈련에서의 사용자 참여정도에 대한 지표․243 <표 2-Ⅳ-8> 2004~2005년 중 호주진출 성공사례 발표내용․257 <표 2-Ⅳ-9> Axiss 주요기능 활동수준 및 형태별 분류․258 <표 2-Ⅳ-10> IBF의 금융 산업 직무군 분류․262 <표 3-Ⅰ-1> 디지털 시대 디자인의 동향․298 <표 3-Ⅰ-2> 디자인의 동향․299 <표 3-Ⅰ-3> 기술개발과 디자인개발 비교․301 <표 3-Ⅰ-4>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에 있어 디자인/혁신/창조성의 기여도․301 <표 3-Ⅰ-5> 가치사슬에 의한 디자인 산업의 분류체계․305 <표 3-Ⅰ-6> 디자인 산업 및 비 디자인 산업의 인력 범위․307 <표 3-Ⅰ-7> 디자인 산업 및 비 디자인 산업의 인력 범위․309 <표 3-Ⅰ-8> 우리나라 디자인산업 발전사․314 <표 3-Ⅰ-9> 국내 디자인 관련 법․317 <표 3-Ⅰ-10> 연도별 디자인 전문회사 증가 추이․319 <표 3-Ⅰ-11> 디자인 재정․320 <표 3-Ⅰ-12> 디자이너 규모․320 <표 3-Ⅰ-13> 국내외 주체별 중요도․경쟁력 순위․323 <표 3-Ⅰ-14> 제품 품목별 디자인 경쟁력․323 <표 3-Ⅰ-15>「주요선진국의 디자인 분야별 순위」․324 <표 3-Ⅰ-16> SWOT 분석 프레임․328 <표 3-Ⅰ-17> 우리나라의 SWOT 분석 결과․330 <표 3-Ⅰ-18> 산업 환경과 디자인․331 <표 3-Ⅰ-19> 산업사회와 지식정보사회의 특성 비교․331 <표 3-Ⅱ-1> 디자인 관련 졸업생 구성비 현황․338 <표 3-Ⅱ-2> 디자인 관련 고등 교육 기관별, 성별 전체 졸업생 수․338 <표 3-Ⅱ-3> 디자인 관련 교육 기관별, 전공별 졸업 생 수․339 <표 3-Ⅱ-4> 디자인 관련 고등 교육 기관의 성별, 전공별 졸업생 수․339 <표 3-Ⅱ-5> 디자인 관련 학과 졸업생 취업률 현황․340 <표 3-Ⅱ-6>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계열 성별, 전공별 졸업 현황․341 <표 3-Ⅱ-7> 디자인 학원 수․343 <표 3-Ⅱ-8> 디자인교육기관 및 인원․344 <표 3-Ⅱ-9> 디자인 교육의 수준․345 <표 3-Ⅱ-10> 디자인 대학의 취업현황 분석․347 <표 3-Ⅱ-11> 취업률 부진 이유․347 <표 3-Ⅱ-12> 우리나라 비영리 협회의 명칭 및 인적자원개발․356 <표 3-Ⅱ-13> 우리나라 디자인 관련 연구소․357 <표 3-Ⅱ-14> 한국디자인진흥원 연혁․358 <표 3-Ⅱ-15> 인적자원개발 관련 제반 문제점․362 <표 3-Ⅲ-1> 디자인 기업 종합 표본특정표․365 <표 3-Ⅲ-2> 매출액 및 영업이익 증감 현황(디자인 산업)․367 <표 3-Ⅲ-3> 최근 핵심 디자인 프러덕트 및 디자인서비스 수준․367 <표 3-Ⅲ-4> 2006년 현재 생산․판매 전략 유형․368 <표 3-Ⅲ-5> 직종별․수준별 인력 분류․369 <표 3-Ⅲ-6> 2006년 현재 디자인관련직 인력구조 현황․370 <표 3-Ⅲ-7> 2006년 현재 디자인관련직 인력 특성 (평균)․371 <표 3-Ⅲ-8> 디자인관련직 신규채용 및 고용조정․372 <표 3-Ⅲ-9> 2006년 현재 디자인관련직 외국 학위 및 경력자 현황․373 <표 3-Ⅲ-10> 인력수급 정책에 따른 디자인관련직의 인력분포 변화(평균)․374 <표 3-Ⅲ-11> 디자인관련 인력 선발 기준․375 <표 3-Ⅲ-12> 디자인 관련 인력 선발 도구․376 <표 3-Ⅲ-13> 향후 2년간 직종별 인력규모 변화 예상 (5점척도)․377 <표 3-Ⅲ-14> 직종별 지식과 기술의 내용과 수준 변화․378 <표 3-Ⅲ-15> 인력수요 발생 시 대처 방식․379 <표 3-Ⅲ-16> 신규인력 확보 시 업무별 지원자 수 (5점척도)․380 <표 3-Ⅲ-17> 해당 업무 지원자의 지식이나 기술수준 (5점척도)․381 <표 3-Ⅲ-18> 필요 인력을 제때 확보하지 못하는 이유․382 <표 3-Ⅲ-19> 현재 재직인력의 문제점․384 <표 3-Ⅲ-20> 핵심인력 채용 시 학력과 경력의 비중․386 <표 3-Ⅲ-21> 핵심인력이 현재 갖추어야할 핵심능력․388 <표 3-Ⅲ-22> 핵심인력이 향후 5년 내 갖추어야할 핵심능력․389 <표 3-Ⅲ-23> 분류별 핵심인력 확보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390 <표 3-Ⅲ-24> 분류별 핵심인력 유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391 <표 3-Ⅲ-25> 분류별 핵심인력 운영․관리상의 어려움․392 <표 3-Ⅲ-26> 향후 3년간 핵심인력 중 전직․이직 속도 예상․393 <표 3-Ⅲ-27> 교육훈련 자체 교육시설 및 장비 구축 정도(5점 척도)․394 <표 3-Ⅲ-28> CEO나 임원, 경영진이 교육훈련에 대해 갖는 관심 및 지원정도 (5점척도)․395 <표 3-Ⅲ-29> 최근 2년간 교육훈련의 활성화 정도 (5점척도)․397 <표 3-Ⅲ-30> 재직자에게 제공할 교육훈련 선정 시 가장 크게 고려하는 요인․397 <표 3-Ⅲ-31> 직종별 교육훈련활동이 활성화 되지 않은 이유․399 <표 3-Ⅲ-32> 사외 교육훈련 프로그램 이용 시 어려운 점․400 <표 3-Ⅲ-33> 사내 교육훈련 프로그램 이용 시 어려운 점․401 <표 3-Ⅲ-34> 교육․훈련기관에서 개선해야할 사항․402 <표 3-Ⅲ-35> 향후 2년간 교육훈련 투자 변화․404 <표 3-Ⅲ-36> 직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자격증․405 <표 3-Ⅲ-37> 분류별 공동 교육훈련 활성화를 위한 노력 여부․408 <표 3-Ⅲ-38> 분류별 공동 교육훈련을 위한 노력의 성과․409 <표 3-Ⅲ-39> 공동 대처 필요에 대한 전문회사의 디자인관련 종사자 비율 및 매출액에 따른 응답․411 <표 3-Ⅲ-40> 공동협력(대응)이 필요한 분야․412 <표 3-Ⅲ-41> 상설화된 모임이나 기구의 필요성․413 <표 3-Ⅲ-42> 상설기구 구성 시 참여 의사․414 <표 3-Ⅳ-1> 외국의 디자인 관련 법․435 <표 3-Ⅳ-2> 프랑스 디자인 산업의 Sectoral Approach 사례․455 <표 3-Ⅴ-1> 디자인 인적자원개발협의체 실행 전략 및 세부 과제․483 [그림 1-Ⅰ-1] 산업별 연구 내용 요약․14 [그림 1-Ⅱ-1] OECD 주요 국가 총산출 중간투입 및 최종수요 구성비(1997)․29 [그림 1-Ⅱ-2] 제조업 재화 체화 서비스 부문 부가가치 비중․29 [그림 1-Ⅱ-3] EU 기업의 혁신 기업 비중 (1998-2000)․38 [그림 1-Ⅱ-4] 일본 기업의 혁신 기업 비중 (1999-2001)․39 [그림 1-Ⅱ-5] 서비스산업 부문별 학력별 취업자 비중․40 [그림 1-Ⅱ-6] 서비스산업 부문별 직업별 취업자 비중․41 [그림 1-Ⅱ-7] 금융 및 비즈니스 서비스 GDP 비중 (2002년)․43 [그림 1-Ⅱ-8] 금융 및 비즈니스 서비스 취업자 비중 (2003년)․43 [그림 1-Ⅲ-1] 연령-로그임금곡선(월평균소득 기준, 만나이)․76 [그림 1-Ⅲ-2] 경력-로그임금 곡선(월평균소득 기준, 개월수)․77 [그림 2-Ⅰ-1] 금융 산업의 부가가치 추이․98 [그림 2-Ⅰ-2] 외국계 금융기관의 시장지배력1)․104 [그림 2-Ⅱ-1] 산업별 여성인력 비중(2004년 기준)․129 [그림 2-Ⅱ-2] 산업별 비정규직 비중(2004년 기준)․130 [그림 2-Ⅱ-3] 시중은행의 직급별 인력분포 추세․141 [그림 2-Ⅱ-4] 국내 은행 임직원 비중 추이․162 [그림 2-Ⅲ-1] 노조가입률․176 [그림 2-Ⅲ-2] 매출액 및 영업이익 증감 현황(금융 산업)․177 [그림 2-Ⅲ-3] 향후 3년여간 분야별 비정규직 활용정도 변화 예상(5점척도)․180 [그림 2-Ⅲ-4] 향후 3년여간 채용(계약) 규모 및 방향 변화 예상(5점척도)․183 [그림 2-Ⅲ-5] 인력 미수급 시 경영피해가 가장 큰 인력․184 [그림 2-Ⅲ-6] 장기적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인력․185 [그림 2-Ⅲ-7] 현재 재직인력의 자질 만족도(5점척도)․190 [그림 2-Ⅲ-8] 현재 재직인력의 경쟁력 상승을 위해 모색되고 있는 대책․192 [그림 2-Ⅲ-9] 핵심인력 확보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 및 향후 활용 변화․192 [그림 2-Ⅲ-10] 핵심인력 유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193 [그림 2-Ⅲ-11] 핵심인력 운영․관리상의 어려움․194 [그림 2-Ⅲ-12] 최근 3년간 핵심인력 중 전직․이직 현황․196 [그림 2-Ⅲ-13] 핵심인력의 현재까지 채용대상 및 향후3년 간 예상채용대상․197 [그림 2-Ⅲ-14] 핵심인력의 현재까지 계약방식 및 향후3년 예상계약방식․197 [그림 2-Ⅲ-15] 교육훈련 전담부서 여부․199 [그림 2-Ⅲ-16] 교육훈련에 대한 회사 차원의 지원 제도나 정책․201 [그림 2-Ⅲ-17] 교육훈련 실시 및 강화 희망 기관․203 [그림 2-Ⅲ-18] 직종별 교육훈련활동의 활성화 정도(5점척도)․203 [그림 2-Ⅲ-19] 자격증이 채용과 인사관리에 미치는 영향․207 [그림 2-Ⅲ-20] 자격증이 채용과 인사관리에 미치는 영향(4점척도)․207 [그림 2-Ⅲ-21] 공동 교육훈련 활성화를 위한 노력 여부․208 [그림 2-Ⅲ-22] 공동 교육훈련을 위한 노력의 성과․209 [그림 2-Ⅲ-23] 공동 교육훈련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이유․210 [그림 2-Ⅲ-24] 인력수급 및 교육훈련을 위한 공동대처의 필요성․210 [그림 2-Ⅲ-25] 상설기구 참여시 참여 방법․212 [그림 2-Ⅲ-26] 상설기구의 성과도출 기간 예상․213 [그림 2-Ⅲ-27] 상설기구의 성과를 위한 정부 지원․213 [그림 2-Ⅳ-1] 영국의 산업별 GDP 비중(2003년)․236 [그림 2-Ⅳ-2] 영국의 산업별 취업자 비중(2005년)․237 [그림 2-Ⅳ-3] 영국 금융 산업의 연간 성장률 추이 및 전망․238 [그림 2-Ⅳ-4] 영국 금융 산업의 연간 취업자증가율 추이 및 전망․238 [그림 2-Ⅳ-5] AXISS Australia의 기능 및 조직운영․256 [그림 3-Ⅰ-1] 디자인 속성 분류 체계․322 [그림 3-Ⅰ-2] 기술개발방법․325 [그림 3-Ⅰ-3] 애로사항․326 [그림 3-Ⅲ-1] 노조 유무․366 [그림 3-Ⅲ-2] 디자인관련직 추이․370 [그림 3-Ⅲ-3] 향후 2년간 디자인관련직의 채용 방향 변화 예상․373 [그림 3-Ⅲ-4] 디자인관련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요구 학력․374 [그림 3-Ⅲ-5] 인력 미수급 시 경영피해가 가장 큰 인력․376 [그림 3-Ⅲ-6] 장기적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인력․377 [그림 3-Ⅲ-7] 현재 재직인력의 자질 만족도 (5점척도)․383 [그림 3-Ⅲ-8] 현재 재직인력의 경쟁력 상승을 위해 모색되고 있는 대책․385 [그림 3-Ⅲ-9] 핵심인력의 현재까지 채용대상 및 향후 2년 예상채용대상․385 [그림 3-Ⅲ-10] 핵심인력의 현재까지 계약방식 및 향후 2년 예상계약방식․386 [그림 3-Ⅲ-11] 기업구분별 핵심인력 채용 시 학력과 경력의 비중 (평균)․387 [그림 3-Ⅲ-12] 분야별 및 총 디자인관련 인원수별 핵심인력 채용 시 학력과 경력의 비중(평균)․387 [그림 3-Ⅲ-13] 핵심인력 유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390 [그림 3-Ⅲ-14] 핵심인력 운영․관리상의 어려움․391 [그림 3-Ⅲ-15] 최근 3년간 핵심인력 중 전직․이직 현황․392 [그림 3-Ⅲ-16] 교육훈련 전담부서 여부․394 [그림 3-Ⅲ-17] 교육훈련에 대한 회사 차원의 지원 제도나 정책․396 [그림 3-Ⅲ-18] 교육훈련 실시 및 강화 희망 기관․398 [그림 3-Ⅲ-19] 직종별 교육훈련활동의 활성화 정도 ․399 [그림 3-Ⅲ-20] 교육훈련 기관과 공동 산학연계 프로그램 실시 경험 및 향후 계획․403 [그림 3-Ⅲ-21] 자격증이 채용과 인사관리에 미치는 영향․406 [그림 3-Ⅲ-22] 자격증이 채용과 인사관리에 미치는 영향․406 [그림 3-Ⅲ-23] 공동 교육훈련 활성화를 위한 노력 여부․407 [그림 3-Ⅲ-24] 공동 교육훈련을 위한 노력의 성과․408 [그림 3-Ⅲ-25] 공동 교육훈련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이유․409 [그림 3-Ⅲ-26] 공동 교육훈련 활성화 활동이 없는 이유․410 [그림 3-Ⅲ-27] 인력수급 및 교육훈련을 위한 공동대처의 필요성․410 [그림 3-Ⅲ-28] 상설기구 참여시 참여 방법․414 [그림 3-Ⅲ-29] 상설기구의 성과도출 기간 예상․415 [그림 3-Ⅲ-30] 상설기구의 성과를 위한 정부 지원․415 [그림 3-Ⅳ-1] 국가별 디자인 진흥 전략의 패러다임 변화․42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산업부문별 인적자원개발 지원시스템 구축-디자인 산업과 금융 산업을 중심으로- | 2006.01.01~2006.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