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 훈련 수요 조사: 전국
A Vocational Training Demand Survey
- 저자
- 나영선 김상호 전재식 김철희 조은상 이상돈 주인중 조경원 고혜원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6-3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6.12.31
- 등록일
- 2006.12.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1. 연구내용 3 2. 연구방법 4 제2장 표본추출 및 설계 제1절 사업체 조사 11 1. 모집단 11 2. 표본추출 12 3. 지방노동청별 표본추출 방법 15 4. 실제 조사대상 19 제2절 실업자 조사 35 제3장 전국 산업구조 및 고용특성 제1절 인구구조 및 특성 37 1. 인구현황 37 2. 구성비 38 제2절 산업구조 및 특성 40 1. 지역내 총생산 현황 40 2. 사업체 현황 42 제3절 고용구조 및 특성 44 1. 고용총괄지표 변화추이 44 2. 산업별 취업자 현황 46 3. 직업별 취업자 현황 48 4.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현황 51 5. 교육정도별 취업자 현황 53 제4절 시사점 55 제4장 사업체 인력 및 훈련 수요 조사 제1절 일반 현황 57 제2절 근로자 이직 및 충원 현황 68 제3절 인력 및 훈련 수요 71 1. 부족인원 71 2. 2007년도 충원예정인원 및 외부훈련수료자 충원예정인원 75 3. 2008~2010년 충원계획 83 제4절 시사점 94 제5장 실업자 훈련 수요 조사 제1절 실업자의 특성 97 제2절 전직 경험 99 제3절 취업ㆍ창업 요구 108 제4절 훈련 경험 115 제5절 훈련 수요 124 제6절 시사점 137 제6장 실업자훈련기관 훈련 공급 조사 제1절 훈련기관 및 과정 현황 139 1. 훈련기관 현황 139 2. 2005년 실업자 훈련과정 현황 140 3. 2005년 실업자 훈련과정 참여자 현황 146 제2절 2007년 개설 희망 과정 164 1. 2007년 개설 희망 과정 현황 164 2. 2007년 개설 희망 과정 훈련인원 180 제3절 2008~2010년 개설 희망 과정 183 1. 2008~2010년 개설 희망 과정 현황 183 2. 2008~2010년 개설 희망 과정 훈련인원 198 제4절 시사점 202 제7장 훈련 수요 및 공급의 적정성 분석 제1절 서울청 208 제2절 부산청 212 제3절 대구청 216 제4절 경인청 219 제5절 광주청 223 제6절 대전청 227 제8장 정책제언 SUMMARY 237 <부록 1> 사업체 인력 및 직업훈련 수요 조사지 241 <부록 2> 개인(실업자) 대상 직업훈련 요구 조사지 255 <부록 3> 실업자훈련기관 실태조사지 267 참고문헌 275
이 연구의 목적은 인력 및 직업훈련에 관한 지역별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현장 지향적인 훈련계획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역별 산업변화에 따른 인력 및 훈련수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지역의 직업훈련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사업체 인력충원계획 등에 따른 인력 및 훈련 수요를 파악한다. 둘째, 지역 실업자를 대상으로 실업자훈련 수요조사를 파악한다. 셋째, 지역의 실업자훈련기관을 중심으로 다음 연도 훈련공급능력을 파악한다. 넷째, 6개 지방노동청별로 훈련수요·공급의 적정성을 분석한다.
The Korean Ministry of Labour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have been working together on this study of vocational training demand so as to satisfy the demands of business enterprises. The following issues have been examined in this study; 1. How many people do employers intend to employ the people who have completed training for the unemployed? 2. How many unemployed people want to undertake training for the unemployed? 3. How many people can be trained in training institutes? 4. What is each optimum level of training demand and supply across the six regional Labour Administration Offices? Results of this study made into these issues are as follows: 1. We surveyed 7,196 business enterprises across the country to examine their demands for manpower and training. As a result, we found that 16.1% of total respondents suffered manpower shortages. Manpower shortages were particularly acute in services fields; personal services & other public repair services were the most in need of manpower, followed by business services and the transportation industry. 2. We surveyed 7,247 unemployed people who visited job centers, (oper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bour), about their job experiences, training experiences, and training demands. 44.3% of respondents said they planned to undertake training for the unemployed in the future. They expressed preferences for services training, with IT service training second, followed by office administration and machinery equipment training. 3. We surveyed the status of enrollees in training courses, including courses already having been completed in 2005 and desirable courses that might be offered in 2007, and from 2008 to 2010 at a total of 633 training institutes. To summarize, the preferred training courses among the unemployed and among training institutes was roughly the same in most regions. Generally, training institutes have focused on inviting as many trainees as possible, and have been opening and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rainee preferences. However, these courses have not related closely enough with the demands of industry. As a result, the employment rates have been relatively low, despite the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
<표 Ⅰ-1> 사업체 조사의 주요 내용․6 <표 Ⅰ-2> 실업자훈련기관 조사의 주요 내용․9 <표 Ⅱ-1> 전국 지방노동청 및 지청 현황․12 <표 Ⅱ-2> 지방관서별 조사대상 사업체수의 할당․13 <표 Ⅱ-3> 지방관서별 조사대상 실업자수의 할당․36 <표 Ⅲ-1> 전국의 연령별 인구분포(추계인구)․38 <표 Ⅲ-2> 전국의 연령별, 성별 15세 이상 인구․39 <표 Ⅲ-3> 전국의 산업별 지역내총생산․41 <표 Ⅲ-4> 전국의 산업별 사업체수․43 <표 Ⅲ-5> 전국의 고용총괄지표 변화추이․45 <표 Ⅲ-6> 전국의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추이․47 <표 Ⅲ-7> 전국의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추이․49 <표 Ⅲ-8> 전국의 종사상지위별 취업자수 변화추이․52 <표 Ⅲ-9> 전국의 교육정도별 취업자수 변화추이․54 <표 Ⅳ-1> 지방관서별 조사대상 사업체 개요․58 <표 Ⅳ-2> 조사대상 사업체 특성․60 <표 Ⅳ-3> 사업체의 노조유무․61 <표 Ⅳ-4> 사업체의 노조가입률․62 <표 Ⅳ-5> 사업체의 매출액․63 <표 Ⅳ-6> 사업체의 교육훈련비․64 <표 Ⅳ-7> 매출액 대비 교육훈련비 평균 비중․65 <표 Ⅳ-8> 교육훈련비 대비 고용보험환급액, 회사자체 부담금 비중․67 <표 Ⅳ-9> 전체 이직 및 채용인원․69 <표 Ⅳ-10> 업종별 부족인원․71 <표 Ⅳ-11> 직업별 부족인원․73 <표 Ⅳ-12> 업종별 충원인원․75 <표 Ⅳ-13> 직업별 충원인원․77 <표 Ⅳ-14> 사업체의 2007년 충원예정인원 중 훈련직종별 외부훈련수료자충원수요․79 <표 Ⅳ-15> 지방노동청별 사업체의 2007년 충원예정인원 중 외부훈련수료자의 충원수요(추정값)․81 <표 Ⅳ-16> 직업별 인력충원 증감여부․83 <표 Ⅳ-17> 업종별 인력충원 증감여부․85 <표 Ⅳ-18> 직업별 증가시 비율 평균․87 <표 Ⅳ-19> 직업별 감소시 비율평균․89 <표 Ⅳ-20> 훈련여부별 충원비중․90 <표 Ⅳ-21> 훈련직종별 충원계획 인원 비중․92 <표 Ⅴ-1> 실업자 조사 응답자의 특성․98 <표 Ⅴ-2> 실업자조사 응답자의 지방관서별 특성․99 <표 Ⅴ-3> 최근 직장경험․100 <표 Ⅴ-4> 최근 직장을 그만둔 시기․101 <표 Ⅴ-5> 최근 직장의 소재지․102 <표 Ⅴ-6> 최근 직장의 주 업종․103 <표 Ⅴ-7> 최근 직장의 종업원 수․104 <표 Ⅴ-8> 최근 직업의 종류․105 <표 Ⅴ-9> 최근 직장의 종사상 지위․106 <표 Ⅴ-10> 최근 직장의 월평균 임금(세전)․107 <표 Ⅴ-11> 최근 직장을 그만둔 이유․108 <표 Ⅴ-12> 취업․창업 희망의사․109 <표 Ⅴ-13> (취업희망시) 희망하는 직업․110 <표 Ⅴ-14> 최근 직업 대비 희망 직업․111 <표 Ⅴ-15> (취업희망시) 월평균 임금․111 <표 Ⅴ-16> (창업희망시) 희망하는 업종․113 <표 Ⅴ-17> (창업희망시) 희망 창업지원프로그램․114 <표 Ⅴ-18> (창업희망시) 월평균 희망소득․114 <표 Ⅴ-19> 훈련경험 여부․116 <표 Ⅴ-20> 참여한 훈련직종(대분류)․117 <표 Ⅴ-21> 참여한 훈련직종(중분류)․118 <표 Ⅴ-22> 참여한 훈련기관 유형․122 <표 Ⅴ-23> 참여한 훈련기간․122 <표 Ⅴ-24> 훈련직종 선택이유(1순위)․123 <표 Ⅴ-25> 훈련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123 <표 Ⅴ-26> (훈련이 취업에 도움이 안 된 경우)그 이유․124 <표 Ⅴ-27> 훈련에 참여할 계획여부․125 <표 Ⅴ-28> 희망 훈련 직종(대분류)․126 <표 Ⅴ-29> 희망 훈련 직종(중분류)․128 <표 Ⅴ-30> 희망 훈련기관 ․133 <표 Ⅴ-31> 선호하는 훈련방법․134 <표 Ⅴ-32> 훈련 직종 선택이유(1순위)․135 <표 Ⅴ-33> 훈련불참 사유․136 <표 Ⅵ-1> 설립연도 현황․139 <표 Ⅵ-2> 노동부 지방청별 직업훈련전담 인원 현황․140 <표 Ⅵ-3> 지역별 훈련분야 현황․140 <표 Ⅵ-4> 2005년 종료 과정 훈련유형별 훈련과정 현황․141 <표 Ⅵ-5> 2005년 종료 과정 총 시간수 현황․143 <표 Ⅵ-6> 2005년 종료 과정 1인당 교육훈련비(정부지원금)․144 <표 Ⅵ-7> 2005년 종료 과정 1인당 교육훈련비(개인 부담금)․145 <표 Ⅵ-8> 2005년 종료 과정 참여자(확정인원) 현황․146 <표 Ⅵ-9> 2005년 종료 과정 훈련직종 중분류별 참여자(확정인원) 현황․147 <표 Ⅵ-10> 2005년 종료 과정 지역별 수료자 현황․149 <표 Ⅵ-11> 2005년 종료 과정 훈련직종 중분류별 수료자 현황․150 <표 Ⅵ-12> 2005년 종료 과정 자격취득자 현황․152 <표 Ⅵ-13> 2005년 종료 과정 훈련직종 중분류별 자격취득자 현황․153 <표 Ⅵ-14> 2005년 종료 과정 취업자 현황․155 <표 Ⅵ-15> 2005년 종료 과정 훈련직종 중분류별 취업자 현황․156 <표 Ⅵ-16> 2005년 종료 과정 수료율․158 <표 Ⅵ-17> 2005년 종료 과정 자격취득률․159 <표 Ⅵ-18> 2005년 종료 과정 취업률․160 <표 Ⅵ-19> 2005년 종료 과정 취업 유형별 현황․161 <표 Ⅵ-20> 2005년 종료 과정 타 지역 취업률 현황․164 <표 Ⅵ-21>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 훈련과정․165 <표 Ⅵ-22> 서울지방노동청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167 <표 Ⅵ-23> 부산지방노동청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169 <표 Ⅵ-24> 대구지방노동청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171 <표 Ⅵ-25> 경인지방노동청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173 <표 Ⅵ-26> 광주지방노동청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175 <표 Ⅵ-27> 대전지방노동청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177 <표 Ⅵ-28> 2007년 희망 훈련과정 시간 현황․179 <표 Ⅵ-29> 2007년 훈련희망인원 현황․180 <표 Ⅵ-30> 2007년 훈련직종 대분류․중분류별 훈련희망인원 현황․181 <표 Ⅵ-31> 2008~2010년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 현황․183 <표 Ⅵ-32> 2008~2010년 서울지방노동청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 현황․186 <표 Ⅵ-33> 2008~2010년 부산지방노동청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 현황․188 <표 Ⅵ-34> 2008~2010년 대구지방노동청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 현황․190 <표 Ⅵ-35> 2008~2010년 경인지방노동청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 현황․192 <표 Ⅵ-36> 2008~2010년 광주지방노동청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 현황․194 <표 Ⅵ-37> 2008~2010년 대전지방노동청 훈련유형별 희망 과정 현황․196 <표 Ⅵ-38> 2008~2010년 희망 훈련과정 시간 현황․198 <표 Ⅵ-39> 2008~2010년 지역별 훈련 참가자(훈련 희망자) 현황․199 <표 Ⅵ-40> 2008~2010년 훈련직종 중분류별 훈련 참가자(훈련 희망자)현황․200 <표 Ⅵ-41> 훈련유형별 종료 과정 현황 및 개설 희망 과정 비교․203 <표 Ⅵ-42> 재취직훈련의 종료 과정 및 개설 희망 과정 비교․204 <표 Ⅵ-43> 훈련시간별 종료 과정 및 개설 희망 과정 비교․205 <표 Ⅶ-1> 서울청 사업체의 외부훈련기관 수료자 수요/훈련기관 훈련공급/실업자 희망 비교․208 <표 Ⅶ-2> 부산청 사업체의 외부훈련기관 수료자 수요/훈련기관 훈련공급/실업자 희망 비교․212 <표 Ⅶ-3> 대구청 사업체의 외부훈련기관 수료자 수요/훈련기관 훈련공급/실업자 희망 비교․216 <표 Ⅶ-4> 경인청 사업체의 외부훈련기관 수료자 수요/훈련기관 훈련공급/실업자 희망 비교․220 <표 Ⅶ-5> 광주청 사업체의 외부훈련기관 수료자 수요/훈련기관 훈련공급/실업자 희망 비교․224 <표 Ⅶ-6> 대전청 사업체의 외부훈련기관 수료자 수요/훈련기관 훈련공급/실업자 희망 비교․228 [그림 Ⅰ-1] 2006년 인력 및 훈련 수요조사 연구컨소시엄 모형․5 [그림 Ⅱ-1] 지방청별 종사자수․1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능력개발 훈련 수요 조사 | 2006.01.01~2006.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