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Ⅰ-1> 부산청 연구컨소시엄․4
<표 Ⅰ-2> 전국 6개청별의 사업체모집단 분포 및 표본․5
<표 Ⅰ-3> 실업자표본의 지역노동청별 조사대상자 수 배분․6
<표 Ⅱ-1>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연령별 인구분포․8
<표 Ⅱ-2> 연령별, 성별, 교육수준별 부산시 15세 이상 인구․9
<표 Ⅱ-3> 연령별, 성별, 교육수준별 울산시 15세 이상 인구․10
<표 Ⅱ-4> 연령별, 성별, 교육수준별 경남 15세 이상 인구․11
<표 Ⅱ-5>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산업별 지역 내 총 생산(2004)․12
<표 Ⅱ-6>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산업별 사업체 수(2004)․14
<표 Ⅱ-7> 부산․울산․경남 고용 총괄지표의 변화추이․16
<표 Ⅱ-8> 부산․울산․경남 산업별 취업자 수 변화추이․17
<표 Ⅱ-9> 부산․울산․경남 직업별 취업자 수 변화추이․18
<표 Ⅱ-10> 부산․울산․경남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수 변화추이․19
<표 Ⅱ-11> 부산․울산․경남 교육정도별 취업자 수 변화추이․20
<표 Ⅱ-12>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취업알선현황․21
<표 Ⅲ-1> 부산시 10대 전략산업 육성방향․24
<표 Ⅲ-2> 경남지역 산업발전의 SWOT분석․29
<표 Ⅲ-3> 부산광역시 직업능력개발사업 추진부서․31
<표 Ⅲ-4> 부산시의 직업능력개발사업 예산 (2005년 12월말 현재)․32
<표 Ⅲ-5> 유관기관의 직업능력개발사업․39
<표 Ⅲ-6> 울산시 직업능력개발사업․40
<표 Ⅳ-1> 조사대상 사업체 특성․64
<표 Ⅳ-2> 노조 유무․65
<표 Ⅳ-3> 노조가입률․66
<표 Ⅳ-4> 매출액 현황․67
<표 Ⅳ-5> 교육훈련비․68
<표 Ⅳ-6> 매출액 대비 교육훈련비 평균 비중․70
<표 Ⅳ-7> 교육훈련비 대비 고용보험환급액, 회사자체 부담금 비중․71
<표 Ⅳ-8> 전체 이직 및 채용인원․72
<표 Ⅳ-9> 현원․73
<표 Ⅳ-10> 부족인원․75
<표 Ⅳ-11> 2007년 충원예정 인원․78
<표 Ⅳ-12> 5인 이상 사업체의 2007년 충원인원 중 외부훈련수료자의 충원수요(업종별)․80
<표 Ⅳ-13> 5인 이상 사업체의 2007년 충원인원 중 외부훈련수료자의 충원수요(직업별)․81
<표 Ⅳ-14> 5인 이상 사업체의 2007년 충원인원 중 외부훈련수료자의충원수요(직업훈련직종별)․82
<표 Ⅳ-15> 5인 이상 사업체의 2007년 충원인원 중 외부훈련수료자의충원수요(직업훈련직종별 훈련수준)․83
<표 Ⅳ-16> 5인 이상 사업체의 2007년 충원인원 중 외부훈련수료자의 충원수요(학력별)․85
<표 Ⅳ-17> 5인 이상 사업체의 2007년 충원인원 중 외부훈련수료자의충원수요(신규/경력별)․91
<표 Ⅳ-18> 5인 이상 사업체의 2007년 충원인원 중 외부훈련수료자의충원수요(연령대별)․95
<표 Ⅳ-19> 해당 업종의 향후 경기전망․99
<표 Ⅳ-20> 직업별 인력충원 증감여부․102
<표 Ⅳ-21> 업종별 인력충원 증감여부․103
<표 Ⅳ-22> 직업별 증감비율․105
<표 Ⅳ-23> 직업별 감소비율․107
<표 Ⅳ-24> 훈련별 충원비중․109
<표 Ⅳ-25> 훈련직종별 충원계획 인원 비중․110
<표 Ⅳ-26> 훈련직종별 충원계획 훈련기간(개월)․112
<표 Ⅴ-1> 실업자 조사 응답자의 특성․116
<표 Ⅴ-2> 응답자의 지방관서 특성․117
<표 Ⅴ-3> 최근 직장경험․118
<표 Ⅴ-4> 최근 직장을 그만둔 시기․119
<표 Ⅴ-5> 최근 직장의 소재지․120
<표 Ⅴ-6> 최근 직장의 주 업종․121
<표 Ⅴ-7> 최근 직장의 종업원 수․123
<표 Ⅴ-8> 최근 직업의 종류․124
<표 Ⅴ-9> 최근 직장의 종사상 지위․125
<표 Ⅴ-10> 최근 직장의 월평균 임금(세전)․126
<표 Ⅴ-11> 최근 직장을 그만둔 이유․127
<표 Ⅴ-12> 취업·창업 희망의사․128
<표 Ⅴ-13> (취업희망 시) 희망하는 직업․129
<표 Ⅴ-14> (취업희망 시) 월평균 임금․130
<표 Ⅴ-15> (창업희망 시) 희망하는 업종․131
<표 Ⅴ-16> (창업희망 시) 희망 창업지원 프로그램․132
<표 Ⅴ-17> (창업희망 시) 월평균 희망소득(세전)․133
<표 Ⅴ-18> 훈련 경험 여부․134
<표 Ⅴ-19(1)> 참여한 훈련직종(대분류)․135
<표 Ⅴ-19(2)> 참여한 훈련직종(중분류)․136
<표 Ⅴ-20> 참여한 훈련기관 유형․138
<표 Ⅴ-21> 참여한 훈련기간․139
<표 Ⅴ-22> 훈련직종 선택이유(1+2순위)․140
<표 Ⅴ-23(1)> 훈련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141
<표 Ⅴ-23(2)> (훈련이 취업에 도움이 안 된 경우)그 이유․141
<표 Ⅴ-24> 훈련에 참여할 계획여부․142
<표 Ⅴ-25(1)> 희망 훈련 직종(대분류)․143
<표 Ⅴ-25(2)> 희망 훈련 직종(중분류)․146
<표 Ⅴ-26> 희망 훈련기관․149
<표 Ⅴ-27> 선호하는 훈련방법․150
<표 Ⅴ-28> 훈련 직종 선택이유․151
<표 Ⅴ-29> 훈련불참 사유․152
<표 Ⅴ-30> 상위 5개 희망훈련직종(대분류)․155
<표 Ⅴ-31> 상위 5개 희망훈련직종(중분류)․156
<표 Ⅵ-1> 부산․울산․경남지역 직업훈련기관 현황․162
<표 Ⅵ-2> 2005년 훈련유형별 과정 현황․163
<표 Ⅵ-3> 2005년 총 시간수 현황․164
<표 Ⅵ-4> 2005년 1인당 교육훈련비(정부지원금)․165
<표 Ⅵ-5> 2005년 1인당 교육훈련비(개인부담금)․167
<표 Ⅵ-6> 2005년 지역별 참가자(확정인원) 현황․168
<표 Ⅵ-7> 2005년 훈련직종 대분류․중분류별 참가자(확정인원) 현황․169
<표 Ⅵ-8> 2005년 지역별 수료자 현황․172
<표 Ⅵ-9> 2005년 훈련직종 중분류별 수료자 현황․173
<표 Ⅵ-10> 2005년 지역별 자격취득자 현황․175
<표 Ⅵ-11> 2005년 훈련직종 대분류․중분류별 자격취득자 현황․176
<표 Ⅵ-12> 2005년 지역별 취업자 현황․178
<표 Ⅵ-13> 2005년 훈련직종 대분류․중분류별 취업자 현황․179
<표 Ⅵ-14> 2005년 지역별 수료율․182
<표 Ⅵ-15> 2005년 지역별 자격취득률․183
<표 Ⅵ-16> 2005년 지역별 취업률․185
<표 Ⅵ-17> 2005년 지역별 취업유형 현황․187
<표 Ⅵ-18> 지역별 취업자 대비 타 지역 취업률․188
<표 Ⅵ-19>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과정(전체)․190
<표 Ⅵ-20> 부산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과정․192
<표 Ⅵ-21> 울산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과정․194
<표 Ⅵ-22> 경남 2007년 훈련유형별 희망과정․196
<표 Ⅵ-23> 2007년 희망 총 시간 수․198
<표 Ⅵ-24> 2007년 지역별 훈련 참가자(훈련 희망자) 현황․199
<표 Ⅵ-25> 2007년 훈련직종 훈련 참가자(훈련 희망자) 현황․200
<표 Ⅵ-26> 훈련유형별 희망과정(전체)․202
<표 Ⅵ-27> 부산 훈련유형별 희망과정․205
<표 Ⅵ-28> 울산 훈련유형별 희망과정․207
<표 Ⅵ-29> 경남 훈련유형별 희망과정․209
<표 Ⅵ-30> 희망 총 시간 수․210
<표 Ⅵ-31> 지역별 훈련 참가자(훈련 희망자) 현황․212
<표 Ⅵ-32> 훈련직종 중분류별 훈련 참가자(훈련 희망자) 현황․213
<표 Ⅵ-33> 부산․울산․경남지역 훈련유형별 희망훈련과정 수 변화․217
<표 Ⅵ-34> 부산․울산․경남지역 훈련분야별 희망훈련과정 수 변화․217
<표 Ⅵ-35> 부산․울산․경남지역 훈련분야별 훈련참가희망자 수 변화․218
<표 Ⅶ-1> 부산청․222
[그림 Ⅲ-1] 울산시 산업진흥분야의 비전과 과제․27
[그림 Ⅲ-2] 직업능력개발 및 고용의 연계체제․55